• 제목/요약/키워드: 방송.통신융합

검색결과 796건 처리시간 0.029초

방송망을 통한 IP-TV에관한 연구 (IP-TV by broadcast network)

  • 홍성희;박병하;김찬규;이상원;홍인화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83-185
    • /
    • 2005
  • 현재 모든 IT산업의 중요 키워드는 융합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것은 방송과 통신의 융합이다. 하지만, 사업자간의 이해득실이 얽혀있는 상황에서 방통융합은 결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주요원인은 통신망을 통해 방송을 서비스하게되면 방송산업의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것이 틀림없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거대통신회사가 있는 경우에는 더욱더 방송산업의 타격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방송망을 통해 통신서비스를 지원하는 방통융합 서비스에 관한 연구이다.

  • PDF

IP망을 이용한 통신과 방송의 융합서비스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Conversion Service Using IP Network)

  • 서상용;김선정;김희찬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04-208
    • /
    • 2004
  •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기존의 ADSL망에서 VDSL 및 메트로 이더넷으로 진화함에 따라 PSTN망에 의한 전화서비스가 인터넷폰으로 점차 대체되어가며, 수 Kbps 대역폭의 웹캐스팅서비스는 수 Mbps 고화질 인터넷방송이 가능하며, 이러한 통신과 방송의 융합은 하나의 대세로 간주되어, 케이블 사업자의 케이블 모뎀을 이용한 방송 및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에 이어, 통신사업자들도 VOD 및 IP-TV, 인터넷폰을 동시에 제공하는 방안을 준비중에 있다. KT도 홈게이트웨이 기반의 상용 VOD 서비스가 2004년 6월에 개시되어 TV를 통한 홈엔터테인먼트의 초석을 다지게 되었으며 앞으로 IP-TV 및 인터넷폰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에 있다. 본고에서는 통신사업자 측면에서 통신 및 방송서비스가 어떻게 융합될 것이며 최신 이슈가 되고 있는 트리플 플레이 서비스 및 전망 그리고 해외 사례를 알아보고, KT에서 제공중인 IP망관련 서비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PDF

디지털 융합시대 방송통신 정책방향

  • 박재문
    • 정보와 통신
    • /
    • 제28권1호
    • /
    • pp.4-8
    • /
    • 2010
  • 디지털 기술이 발전하고 네트워크가 고도화되면서 방송과 통신, 그리고 미디어의 경계가 허물어지는 '디지털 융합'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IPTV 서비스가 출시 2년 만에 가입자가 3백만 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고, 디지털방송이 도입된 지 10년도 지나지 않았는데 벌써 디지털 3D 방송으로 진화하고 있다. 통신과 인터넷 분야 또한 급격한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혜성처럼 나타난 스마트폰은 기존 휴대폰을 새로운 흐름에 뒤처지는 유물로 전락시키고 있으며, 앱스토어, 태블릿PC, 스마트TV 등 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방송통신 서비스와 콘텐츠들이 등장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방송통신 시장의 최근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고,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새로운 방송통신 기술과 서비스를 선도해 나가기 위해 집중해야 할 주요 과제와 정책방향, 그리고 이를 대비하는 우리 모두의 바람직한 대응방안을 살펴본다.

모바일 방송통신융합 서비스 DMB2.0

  • 이승엽
    • 정보와 통신
    • /
    • 제26권10호
    • /
    • pp.32-39
    • /
    • 2009
  • 본고에서는 지상파DMB에서 방송소비자에게 TV/Radio 위주의 단방향 서비스에서 환골탈태하여 그동안 많은 사람들이 발전방향으로 기대하였던 모바일 방송통신 융합 서비스인 DMB2.0 (DMB2.0이란 명칭은 확정된 명칭이 아니라 아직 가칭이지만, 2.0이 의미하는 DMB에 서비스를 접목하는 측면에서 굳이 새 이름이 필요하겠냐는 게 대다수의 의견이다)에 대해서 단순히 데이터방송을 하나 추가하면서 너무 거창한 포장을 하는 것이 아니냐는 생각이 있을 수도 있겠으나, 그렇지 않음을 서비스 기획 측면에서 알아본다.

융합 방송을 위한 T2-MI 역 다중화기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T2-MI Demultiplexer for Hybrid Broadcasting)

  • 배철균;채창석;이효중;김영훈;김대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949-956
    • /
    • 2016
  • 최근 유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방송망을 통한 서비스의 제한이 없어짐에 따라 소비자가 원하는 망을 통하여 방송프로그램이 전달되는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방송과 통신 기반의 서비스 수신이 가능한 환경에서 방송망으로 전송된 고품질 멀티미디어 콘텐츠와 통신망으로 얻어진 부가 콘텐츠를 결합하여 최적화된 콘텐츠를 수신하는 기술인 네트워크 독립형 융합방송 시스템은 연구개발 초기 단계로 융합방송 수신 및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융합방송 기능을 수행하는 다중화 방식 및 역 다중화 방식도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세대 디지털 지상파 TV표준인 DVB-T2 시스템 규격의 변조기 인터페이스인 T2-MI를 기반으로 융합방송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역 다중화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이를 토대로 역 다중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모바일 방송 기술과 미래 융합 서비스

  • 김진필
    • 방송과미디어
    • /
    • 제25권3호
    • /
    • pp.68-83
    • /
    • 2020
  • 1990년대말, 한국은 북미 ATSC 방송표준을 사용하여, 세계최초 HD Digital TV 방송시대를 시작하였고, 이동방송을 위해서는 DMB를 이용한 모바일 방송을 상용화하여, 이는 디지털 방송미디어 산업의 발전과 함께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20여년이 지난 최근, 한국은 북미 최신 방송표준기술인 ATSC3.0을 세계 최초로 국내에 상용화하여 4K UHD 지상파 방송시대를 여는 성과를 또다시 이루었다. 하지만, 그동안 통신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고해상도 몰입형 컨텐츠의 IP 스트리밍 서비스가 대중화되었고, 이에 따른 젊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미디어 소비 성향 변화가 확산되어, 이제는 새로운 형태의 미래 융합 방송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기술과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관련 산학연 전문가들과 2027년 ATSC3.0 UHD로의 모든 전환 정책을 위해서 다양한 요구사항을 고려한, 미래형 모바일 방송을 포함한 UHD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미래형 모바일 방송은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자동차와 사이니지, 홈 TV에서도 서비스 영역이 확장되어야 하며, IP와 연동하여 인터렉티브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여야 하고, 오디오, 비디오 엔터테인먼트뿐만 아니라 인터넷 데이터와 공공, 관심 정보의 데이터 캐스팅 서비스까지 가능하여야 한다. 본 고에서는 미래형 모바일 방송을 위하여, 현재 상용 서비스가 가능한 최신의 방송과 통신기술인 ATSC3.0과 5G를 통한 방송의 서비스와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들의 미래융합 서비스의 가능성에 대하여 생각해 보는 기회를 삼고자 한다. 본 고의 구성은 서론에서는 방송미디어의 서비스 트렌드를 분석하여 모바일 방송의 복합적 요구사항을 도출해 보고, 본론에서는 현재, 한국의 지상파 UHD 방송표준 기술인 ATSC3.0의 이동방송으로서의 특성을 살펴보고, DMB 기술과 비교해 본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관심과 실험이 시작되고 있는 5G 방송에 대해서도 그 내용과 동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결론으로는 미래의 융합서비스에 대한 예측과 연구사항에 대하여 생각해 본다.

통신.방송 융합시대의 네트워크 기술

  •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 정보화사회
    • /
    • 통권105호
    • /
    • pp.36-39
    • /
    • 1996
  • 통신.방송 융합시대의 네트워크 기술은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 일본은 2010년까지 광 화이버망의 전국 정비를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원할하고도 효율적으로 가입자계 네트워크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네트워크의 기본적 조건을 명확히 함이 중요하다고 "정보통신기반정비프로그램"에서 지적하고 있다.

  • PDF

HTML5 기반 스마트TV 하이브리드 미디어서비스 (Smart TV Hybrid Media Service based on HTML5)

  • 이상윤;조준면;유정주;박상택;홍진우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9권3호
    • /
    • pp.11-16
    • /
    • 2014
  •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면서 새로운 서비스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서비스만 보고서는 방송서비스인지 통신서비스인지 분간이 힘든 기술들이 다수 등장하고 있다. 최근 스마트TV가 방송, 통신, 컴퓨팅의 대표적인 서비스로 부각되면서 멀티플랫폼 연동의 하이브리드 미디어서비스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송통신 융합서비스에 대해서 두 매체 간의 연관여부에 따라 2가지로 서비스를 분류하고 각 분류된 방식에 따른 다양한 하이브리드 미디어서비스의 실제 구현사례를 소개한다. 소개되는 서비스에는 개인형 홈스크린, 앱스토어, 콘텐츠 검색 및 추천, 패밀리톡, 대면 통신을 포함하는 스마트TV 홈스크린 기반 미디어 융합서비스와 하이브리드광고 서비스, 멀티앵글뷰 서비스, 멀티오디오 서비스를 포함하는 스마트TV 하이브리드 미디어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든 서비스가 HTML5 기반의 웹브라우저에서 동작하도록 구현하였다.

  • PDF

DOCSIS 기술 및 표준화 동향 분석 (An Analysis of DOCSIS Technology and Standard)

  • 김태균;최동준;유웅식;권호형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19권4호통권88호
    • /
    • pp.17-25
    • /
    • 2004
  • 디지털 방송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방송은 전통적인 방송의 영역뿐만 아니라 통신/방송 융합으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기존의 방송이 비디오와 오디오에 국한된 반면 다가오는 통신/방송 융합에서는 데이터를 통한 방송의 양방향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케이블 방송은 다른 매체인 지상파와 위성을 통한 방송과 비교할 때 물리적으로 양방향성을 확보하고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케이블 방송망을 통한 초고속 데이터 전송에 관한 규격인 DOCSIS의 기술 및 표준화 동향을 소개하고, DOCSIS 1.x와 DOCSIS 2.0의 상호운용성에 대하여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