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송시스템

Search Result 4,35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alysis of Wireless Relay Systems (무선 중계 시스템 분석)

  • Choi, Eunchong;Park, Youngwoong;Yun, Subin;Baek, Sodam;Lee, Jin;Lee, Dahee;Ju, Hyeryeon;Kang, Minju;Lee, Sang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273-276
    • /
    • 2021
  • 기존의 중계 시스템은 유선 기반으로 방송 중계차와 케이블 등이 필요하여 시간과 비용, 장소의 제약과 같은 여러 한계점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무선 중계 기술의 발전으로 무선 카메라만 있으면 긴급재난 현장이나 중계차가 들어갈 수 없는 지역에서도 중계가 가능하게 되면서 중계방송의 제한 범위가 좁아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간과 장소의 제약 없이 방송을 송출할 수 있는 5G 무선 중계 시스템을 분석한다. 분석한 시스템은 5G 모뎀이 장착된 MNG 장비를 이용해 UHD와 4K 신호를 무선으로 처리하여 초저지연·초고화질로 송출한다. 또한 현존하는 멀티뷰 기술을 접목시켜 시청자들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 PDF

A reach of the domestic production broadcasting equipment actual condition of usage investigation and trend through the broadcasting system tree analysis (방송시스템 트리분석을 통한 국산 방송장비 활용실태 조사와 동향 연구)

  • Seo, In-Ho;Choi, Seong-Jin;Park, Seung-Kyu
    • Journal of Satellit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 /
    • v.12 no.4
    • /
    • pp.87-94
    • /
    • 2017
  • The broadcast service environment is changed to the complicated equipment configuration of the server and network-based for the advanced technology application and various service providings. The broadcasting market is growing rapidly by the development of broadcasting environment. But as to the domestic production broadcasting equipment industry, the satisfaction of request of the consumer and market competitive power is showing the limit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single focused on goods and sale. This research gathered the opinion of the broadcasting technology experts and investigated the reality of usage of the domestic device in the broadcasting system. And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result we discovers the hybrid system model that synergy can come out in which the domestic device more than 2 combines out and there is the purpose.

Development of Integrated Broadcast Contents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Single Server (단일서버 기반의 통합 방송콘텐츠 송출시스템 개발)

  • Song, Han-Chun;Kim, Su-Hwa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2 no.6
    • /
    • pp.75-81
    • /
    • 2012
  •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ffective integrated broadcast contents transmission System based on single server system. Because of previous broadcast contents transmission system is consist of various individual functional equipment. And it is not easy to use and not effective to manage for broadcast contents transmission. In this paper, we evaluated and analysed of developed system in the test environment. As a result of performance test, It showed that it was well performed without any data error in the performance test, and It showed that it was well managed, controled, scheduled, processed of the integrated broadcast contents transmission environment.

K-Pointer : 6DOF Location Tracking Magnetic Field Sensor-Based Interactive AR System (K-Pointer : 6DOF 위치추적 자기장 센서 기반 인터랙티브 AR 시스템)

  • Yang, Ki-Sun;Jung, Byunghe;Kim, Byungsun-Sun;Kim, Ch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260-262
    • /
    • 2020
  • 본 논문은 6DOF 위치기반 자기장 센서(Liverty Latus, Pollhemus)를 사용한 가상현실 방송제작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증강현실 시스템, K-Pointer를 제안한다. 우리는 방송에서 추적 및 인식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Pollemus사의 6DOF 자기장기반 위치 추적 센서 리버티(수신부,소스)와 라투스(송신부,마커), 그리고 4입력 버튼장치를 결합한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기존 방송용 증강현실 시스템과 통합하여 새로운 인터랙티브 증강현실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방송용 증강현실 그래픽 합성 시스템(수신부)과 센서의 위치정보와 버튼 이벤트를 전송하는 시스템(송신부)으로 구성되며, 센서추적정보와 버튼이벤트 정보는 UDP로 실시간으로 수신부로 전송된다. 우리는 사용자 손의 모션과 버튼이벤트로 그래픽 정보를 인터랙티브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시스템은 기존의 합성중심의 방송용 증강현실 시스템을 사용자의 모션 기반 그래픽을 제어할 수 있는 인터랙티브 증강현실시스템으로 그 기능을 확장 시킬 수 있게 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광학식 추적을 하지 않기 때문에 조명의 변화에 영향이 없으며, 라투스 수신기가 작기 때문에 손에 쥐었을 때 거의 보이지 않고 가려도 추적이 강인하여 버튼장치를 통해 사용자가 정확한 이벤트로 직접 그래픽을 그리거나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A Study on Indoor Alert Broadcasting System for Mongolian Earthquake Disaster Warning System (몽골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을 위한 옥내경보방송 방안 연구)

  • Lee, Seung-Hyung;Ahn, Byung-Dug;Lee, Won-Suk;Choi, Jo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6a
    • /
    • pp.1-4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2014년도 몽골에 구축된 지진조기경보시스템(EDWS : Earthquake Disaster Warning System)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우리나라 기업에서 구축 운영 중인 몽골 지진조기경보시스템은 VHF망과 위성망을 이용하여 재난 상황 발생 시 즉각적으로 옥외 경보방송과 TV, 라디오를 이용하여 상황을 전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울란바토르 시내 중심부에는 많은 관공서와 사무실, 극장, 쇼핑몰, 아파트 등이 밀집되어 있어 실내에서 재난경보 방송을 청취하기가 쉽지 않아 재난경보 사각 지대 및 음영지역이 존재하는 상태이다. 본 연구를 통해 정부 유관기관 및 인구밀집지역 건물 내부에 효과적인 옥내경보방송 방법을 제시하여 각종 재난 재해시 경보방송의 활용성을 높이고 몽골 정부기관과 대형 공공 건물에 의무적으로 옥내경보방송 장치 설치를 유도하여 보다 효율적인 경보방송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Proposed Method of Selective Broadcasting System for VR Personal Media Viewer (VR 개인방송 시청자를 위한 선택적 방송 시스템 제안)

  • Nam, Jin-Sol;Kim, Min-Ju;Kang, Ye-Jin;Park, Goo-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7.11a
    • /
    • pp.161-163
    • /
    • 2017
  • 다양한 연령층에서 시청자가 늘어나고 있는 개인방송에서도 VR 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기존의 VR 방송은 360도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시청자들이 VR로 보거나 개인방송 크리에이터들이 HMD를 착용하고 콘텐츠를 플레이 하는 영상을 시청자들이 시청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시청자들의 몰입감과 흥미를 더욱 유발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시청자의 입장에서 크리에이터가 진행하는 방송도 시청할 수 있고, 그 콘텐츠를 직접 즐길 수 있는 선택적 방송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존의 시스템보다 시청자로 하여금 몰임감을 향상시키고 참여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 PDF

The development of interactive augmented reality-aware broadcast service system for the multiview control service (시점제어형 멀티뷰 서비스를 위한 대화형 증감방송 서비스 시스템 개발)

  • Seok, Ju-Myeong;Kim, Hyeon-Cheol;Lee, Hui-Gyeong;Cha, Ji-Hun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6 no.3
    • /
    • pp.68-79
    • /
    • 2011
  • 증강현실 기술은 자동차 네비게이션, 착용형 컴퓨터, 교육, 군사 등 많은 산업분야의 기술진화에 기인할 것으로 예측된다. 본 논문에서 는 이러한 증강현실 기술을 방송 서비스에 적용함으로서 방송의 일방향성 특성의 한계를 극복하여 관련 부가정보를 상호작용 형태 로 제공하는 인포테인먼트 서비스를 제공하며 시청자가 관심이 있는 시청점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는 MPEG-4 LASeR 표준 기술 기반의 대화형 증감방송 서비스 시스템 개발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방송 서비스에 있어서 민감도가 높고 빠른 인식력을 가진 시각을 중심으로, 시청하는 시점을 선택제어가 가능한 시각추적 기반 실감 인터페이스를 추가적으로 개발함으로서 대화형 증감방 송 서비스 사용에 대한 소비자 편리성을 확보하였다. 그 결과 본 논 문에서 개발한 시스템은, 기존의 일방적인 화면시청에서 다양한 화 각시청이 가능하여 현장에 있는 것과 같은 증감방송 서비스가 가능해지고 단순 정보제공 중심에서 상호작용 형태의 역동적인 부가 정보 제공이 가능하여 대화형 증감방송 서비스의 초기 시스템 모 델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K-Box : Augmented reality broadcasting system using magnetic sensor based ballot box model tracking and its election applications (K-Box : 마그네틱 센서기반 투표함 모형 추적을 이용한 증강현실 선거 방송 시스템 및 어플리케이션 구현)

  • Yang, Ki-Sun;Oh, Juhyon;Kim, Byungsun;Kim, Ch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11a
    • /
    • pp.18-20
    • /
    • 2015
  • 본 논문은 마그네틱 센서 기반의 오브젝트 추적 기술을 이용한 혼합현실 선거 방송 시스템을 제안한다. 마커 기반의 증강현실 기술은 방송환경에서는 강한 조명으로 인하여 마커의 특징점 추출의 간섭 및 소실로 추적이 끊기는 문제가 있다. 특히, 선거방송와 같은 생방송 중에 그래픽이 튀거나 사라지는 것은 방송 사고와 다름없다. 따라서, 우리는 조명이나 가림의 영향 없이 추적 성능을 강인하게 하기 위해서, 무선의 마그네틱 센서를 내장한 별도로 제작한 투표함 모형을 추적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마그네틱 센서를 내장한 실물 투표함을 실시간으로 추적하게 하고, 그 정보를 증강현실 방송 시스템과 통합한 시스템 구성 및 그것을 이용한 증강현실 선거 방송 어플리케이션을 보여준다. 그 결과, 연기자가 선거정보그래픽과 연동하는 투표함을 자유롭고 직관적으로 움직일 수 있었으며, 자연스러운 증강현실 합성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Implementation of an emotional subtitle editor for deaf and hearing impaired people (청각장애인을 위한 감성자막 편집기 구현)

  • Kim, Hyunsoon;Oh, Ju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120-123
    • /
    • 2021
  • 디지털화와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방송 서비스도 고품질 서비스를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하는 방송 환경에서 비장애인 대비 소외계층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UHD 자막 방송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한 연구인 '감성표현 자막 서비스 기술' 연구를 진행하였다. 감성표현 자막 서비스 기술은 단순한 텍스트의 전달이 아닌 이미지와 폰트 스타일을 포함한 다양한 시각적 표현을 통해 청각장애인의 방송 내용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감성표현 자막 서비스를 소개하고 해당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관련 기술과 시스템 구현 결과에 대하여 다룬다. 지상파 UHD 방송을 대상으로 개선된 형태의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핵심 시스템인 감성자막 편집기를 개발하였다. 감성자막 편집기는 화자의 감정 정보 등을 입력, 편집하고 편집된 감성자막을 영상과 싱크를 맞추어 재생하는 기술과 감성자막을 UHD 송출시스템으로 전송하는 시스템이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Hybrid network associated 3DTV Broadcasting System (이종망 연동형 3DTV 방송시스템 설계 및 구현)

  • Yun, Kugjin;Lee, Jin Young;Cheong, Won-sik;Lee, Gwangsoon;Kim, Kyu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06a
    • /
    • pp.146-149
    • /
    • 2014
  • 최근 ATSC는 방송망 기반의 서비스호환 3DTV 방송서비스 표준완료 이후 이종망 환경에서 하이브리드 3DTV 방송서비스에 대한 표준화를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디지털방송 화질열화 없이 Full HD 3D 화질을 보장하기 위한 방송망 및 IP 망 연동형 3D 비디오 방송시스템을 제안한다. 특히, ISO/IEC 23009-1 DASH를 활용한 3D 부가 영상 전송, 이종망 환경하에서 안정적인 3D 비디오 동기화 및 하이브리드 3DTV 수신기 개발을 위한 시스템 타켓 디코더 모델을 기술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기술은 하이브리드 3DTV 방송 표준화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하이브리드 3DTV 인코더 및 수신기 개발에 있어서 참조 모델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