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송시스템

Search Result 4,357,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Implementation of Synchronizing Broadcasting System Using Audio Watermark (오디오 워터마크를 이용한 방송 동기화 시스템 구현)

  • 신동환;신승원;안종근;신영일;김종원;최종욱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1.11b
    • /
    • pp.181-18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워터마킹 기술을 방송 동기화 시스템에 적용하여 방송시스템을 자동화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현했다. 방송시스템은 대개의 경우 1개의 중앙방송과 다수의 지역방송국으로 구성된다. 방송동기화 시스템은 방송소재가 중앙방송에서 지방방송으로 전환하는 시점을 알리는 신호에 워터마크를 삽입하여 방송하고 다수의 지방 방송에서는 워터마크를 검출해서 방송소재의 전환을 자동으로 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방송동기화 시스템은 방송시스템의 특성을 중시하여 설계 제작되었다. 방송시스템의 오류는 바로 방송사고로 이어지는 만큼 동기신호를 잘못 검지하는 오류는 없어야 한다. 즉 워터마크가 없는 오디오에서 워터마크가 있다고 검출되는 경우가 0% 이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으로 실제 방송되는 라디오 신호를 갖고 실험해본 결과 위의 조건을 만족하고 다양한 환경 즉 압축 및 A/D, D/A, 노이즈 삽입에 대한 신뢰성 테스트를 수행하여 우수한 결과를 얻었다.

  • PDF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Interface of Indoor Alarm Broadcasting System (옥내경보방송시스템 연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Lee, Seung-Hyung;Ahn, Byung-Dug;Lee, Won-Seok;Min, S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285-287
    • /
    • 2018
  •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이 발생하는 등 각종 재난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비하는 사회적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재난발생 시 일반 대중들에 전달되는 경보와 방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 재난경보방송시스템은 오랜 역사를 거쳐 정부와 지자체가 관심을 가지고 구축해 왔으며,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장소나 여름철 집중호우가 예상되는 유원지 등에 집중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옥외를 중심으로 경보방송을 서비스하고 있었으나 건물 내부에는 경보나 방송이 전달되지 못하여 재난발생 시 대규모 피해가 예측되므로 옥내경보방송 서비스의 필요성이 중요하게 인식되었고 최근에는 지자체 별로 활발하게 시스템 설치가 진행되고 있다. 옥내경보방송은 구내방송시설인 전관방송시스템과 연계되어 서비스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본 저자도 이에 동의하는 바이다. 그러나 전관방송시스템은 오랜 동안 이와 같은 필요성이 없는 상태에서 구축되어 왔고 제조사 별로 외부장비의 연계 방식에 대하나 규격이 다르게 발전해 왔다. 따라서 옥내경보방송장치와 전관방송시스템을 연계하기 위해서는 장비의 제어와, 오디오 인터페이스(interface)가 필수적 요소이므로 이를 반드시 연계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옥내경보방송장치와 전관방송시스템들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이들의 개선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또한 연계 규격의 표준화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여 각 제조사들이 연계 규격을 준수하고 보다 많은 국민들이 재난경보방송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제언한다.

  • PDF

디지털 DBS 방송 시스템 기술

  • Son, W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3 no.7
    • /
    • pp.40-50
    • /
    • 1996
  • 본고에서는 디지털 DBS 방송시스템 기술을 설명하는데 있어 먼저 국제적 추세를 논하고 나서 무궁화호 위성을 위한 디지털 위성방송 시스템에 관한 구조를 송신국, RSMS 및 수신기로 나누어 논한 뒤 디지털 DBS 방송시스템 기술에 대해서는 비디오 기술, 오디오 기술, 데이터 기술, 변조 및 채널 부호기술 및 링크 분석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디지털 DBS 방송시스템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 논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Embedded System for Real Time Internet Broadcasting System (실시간 스케줄링 인터넷 방송 시스템을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 Hong, Myo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319-320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초중등학교의 조회 및 실내 집체 교육은 내용과 수준에 따라 학년별로 서로 다른 내용의 방송을 동시에 실시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사용 중인 방송 설비는 일방적으로 같은 내용의 방송을 전달하고 있고, 서로 다른 내용의 방송을 위하여 별도의 라인을 설비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비용부담을 안고 있다. 또한, 큰 건물의 재난 방송 시스템도 장소와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내용의 방송을 동시에 실시해야 하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즉, 위치에 따라 비상탈출 안내 방송을 실시하고 상황변화에 따라 장소에 맞는 방송을 전달하기 위한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미리 계획된 스케줄에 따라 동시에 청취자에 맞는 맞춤형 방송을 실시할 수 있는 인터넷 스케줄링 방송 시스템의 임베디드 시스템을 개발한다.

  • PDF

The Design of DMB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and Field Test (국지적 재난방송을 위한 DMB 방송 시스템 설계와 필드 테스트)

  • Koh, WooJong;Kwak, CheonSeob;Kwon, DaeBok;Park, SeonKyu;Park, Taeyoung;Chae, YoungSeok;Lee, Seung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06a
    • /
    • pp.90-93
    • /
    • 2014
  • 국내에서 DMB 방송은 대부분의 국민이 휴대하는 휴대폰에 수신기능이 구현되어 있고, 차량 네비게이션에서도 DMB 수신이 가능하여 상당히 보편적 미디어 창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DMB기반의 국지적 재난방송은 국지적 재난의 빈번한 발생과 휴대 기기가 갖는 고유의 개인 중심성과 이동성은 국지적 재난 미디어로 활용할 기술 개발은 큰 의미를 가진다. 국지적 재난방송을 위한 DMB 재난방송 서비스 모델과 방송 시스템 상위 설계 및 기술요구사항 도출 등의 연구를 연차별로 진행 하였다. DMB방송 시스템을 운영한 KBS의 경험을 반영하고, 국지적 방송을 위한 저비용의 시스템을 목표로 국지적 재난 정보 전달에 적합한 방송 시스템 상위 설계와 시스템 간 인터페스 및 기술 개발에 필요한 상세 요구사항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정확성과 실제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DMB 방송 차량을 이용한 필드 테스트를 추진하였다. 필드 테스트 에서는 KBS 재난방송시스템과 실시간 연동을 통해 향후 실제 재난방송에 활용 될 수 있는 방송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사항 들을 점검하였다.

  • PDF

Real-time Implementation of Synchronizing Broadcasting System Using Watermark (워터마크를 이용한 방송동기화 시스템의 실시간 구현)

  • Jeong Yangmo;Shin Donghwan;Kim Jongweon;Choi Jo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4.11a
    • /
    • pp.203-20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오디오 워터마킹 기술을 이용하여 중앙방송국과 지방방송국간의 방송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방송전환을 위한 동기화 시스템에서의 오 검출은 방송사고를 일으키기 때문에, 오디오 워터마크기술을 이용할 때 신뢰성이 매우 높아야 한다. 달 논문에서는 방송동기화 시스템에 효율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오디오 워터마킹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실시간으로 적용하여 방송전환에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개발된 오디오 워터마킹 알고리즘에 의해서 워터마크가 삽입된 방송신호의 SNR은 66.1dB로서 워터마크 삽입전의 방송신호와의 구분이 어려웠다. 강인성 테스트에서는 96kbps와 128kbps의 MP3 압축을 하였을 때에도 $100\%$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50dB 이하의 잡음첨가에 대해서도 $100\%$ 검출율을 보였다. 구현된 시스템은 240시간의 실제 방송상황에서 워터마크가 삽입된 방송신호에 대한 검출율이 $100\%$이고, 오검출율이 $0\%$로 방송시스템으로서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 PDF

Analysis of Waiting Time in a Data Broadcast System using User Cache (사용자 캐쉬를 사용한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의 사용자 대기시간 분석)

  • Kim, Jong-Deok;Kim, Jong-Gwon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28 no.1
    • /
    • pp.82-92
    • /
    • 2001
  • 데이터 방송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많은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데이터 방송 시스템에서의 중요문제 중 하나는 사용자 기다림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사용자 대기시간을 줄이는 데는 두 가지 접근법이 있다. 하나는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는 방송 스케쥴의설계이고 다른 하나는 사용자 시스템이 지역 메모리를 캐쉬로 이용하여 사용자 요구에 즉각 응답하는 것이다. 이두 가지 접근법은 동시에 적용되어 전체 성능을 보다 좋게 할 수 있다. 효율적인 방송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위해서는 방송 스케쥴, 캐쉬 크기, 캐슁 정책등 여러 가지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놈누에서는 WWW과 같이 정보 항목들간에 구조적 연관 관계가 존재하는 시스템에서 앞서 기술한 여러 가지 요인을 함께 고려하여 방송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분석적 기법을 이용하여 채택한 방송 스케쥴 캐슁 정책의 조합으로 얻을수 있는 시스템 성능의 하한을 구하였다. 이 결과를 이용하면 여러 가지 시스템 구현 방안간의 성능 비교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방송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우리는 분석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 PDF

핫클립 생성 딥러닝 기술을 활용한 방송 시스템 지능화

  • 홍순기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28 no.2
    • /
    • pp.43-52
    • /
    • 2023
  • SBS에서는 다년간 지속적으로 핫클립 생성 딥러닝 기술을 방송 시스템에 적용하여 업무 효율을 높이려는 시도를 하였다. 본 기고문에서는 그동안 누적된 SBS의 핫클립 생성 딥러닝 기반 방송 시스템의 기획, 개발, 적용 및 운영 사례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려 한다. 또한 구축 과정에서 발생하는 어려움과 그에 대한 해결책도 공유하려 하였다. 본 기고문에서 소개할 딥러닝 기반 방송 시스템은 하이라이트 구간 예측, UHD 방송 A-ESG 서비스 운영 시스템, 유튜브 채널 운영 시스템, 매쉬업 콘텐츠 제작 지원 시스템 등이다.

  • PDF

재난 방송 시스템 구성 및 활용 현황

  • Gyeong, Il-S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0
    • /
    • pp.57-62
    • /
    • 2014
  • 재난 발생이 예상되거나 발행한 경우, 신속하게 정확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면, 효과적으로 재난 피해를 줄일 수 있다. KBS는 재난 방송 및 재난 경보방송 주관방송사로서 방송을 이용하여 전국적 및 국지적으로 재난 정보를 신속히 전달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KBS가 수행하고 있는 통합 디지털 재난 방송시스템과 그 활용 현황을 중심으로 하여, 재난 방송과 재난 경보방송의 개념, DMB 재난 경보방송, KBS가 구축한 통합 디지털 재난 방송 시스템의 상세 구성과 활용, 그리고 DTV 긴급경보 전송시스템에 대하여 알아본다.

Design of Home Shopping Live Broadcasting System Using Network (네트워크를 이용한 홈쇼핑 야외 생방송 방송시스템 설계)

  • Jung, Woo-Jin;Choi, Jae-Hyoung;Seo, Jeong-Han;Choi, Hyun-Woo;Kwon, Young-Man;Choi, Hong-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11a
    • /
    • pp.223-224
    • /
    • 2019
  • TV홈쇼핑 Full-HD(High Definition)로 제작, 송출되어 시청자가 시청하게 된다. 대부분의 장비들은 Coaxial Cable로 각 장비 간의 신호를 전달하며 제작, 송출되어 진다. 현재 IP기반의 제작 형태가 나오기 시작하며 UHD(Ulitra-HD) 제작 시스템에서는 IP 시스템 방식에 대해 이슈화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홈쇼핑 Full HD 생방송 제작에서 네트워크 케이블인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을 이용하여 생방송 방송시스템 설계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다양한 확장성 및 생방송 방송시스템에 활용된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