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송서비스

Search Result 3,406,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Research Trend of Intelligent Broadcast Content Service (방송환경에서의 지능적 콘텐츠 서비스 연구 현황)

  • Han, Seong-Hui;Jeong, Byeong-Hui;Lee, Dong-Jun;Kim, Hui-Jeong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9 no.3
    • /
    • pp.56-64
    • /
    • 2014
  • 인터넷이 방송에 활용된 이후 사용자는 플랫폼과 콘텐츠에 대하여 더 많은 선택권을 가지게 되었고 이러한 경향은 스마트 TV와 N-스크린 방송 도입 이후 더욱 확고해졌다. 방송사는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플랫폼을 확장하고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많은 사용자들과 많은 콘텐츠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방송사들은 데이터 분석을 서비스에 도입하기 시작하였고 여러 가지 지능적인 콘텐츠 서비스들을 고안하였다. KBS 기술연구소에서 진행한 관련 연구들의 흐름을 소개함으로써 방송 환경에서의 지능적 콘텐츠 서비스 흐름을 파악하고자 한다. 콘텐츠 추천을 시작으로 N-스크린 부가 서비스 활용, 데이터 자동 인식 연구까지의 동향을 소개한다.

2-way Service Using URL-style Command in DMB (DMB에서 URL방식 명령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

  • Lee, Jeong-Joon;Bae, Byung-Joon;Yun, Jeong-Il;Noh, 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2a
    • /
    • pp.29-32
    • /
    • 2007
  • 지상파 DMB 상용 서비스가 시작된 지 1년이 경과함에 따라 DMB 시청자의 수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DMB와 융합된 새로운 서비스가 활성화가 활발하지 못하고, 따라서 여러 가지 부가 수익서비스가 창출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기존에 제안된 양방향 데이터 서비스들은 모바일 홈페이지로의 연결하는 방식이라, 시청자가 DMB 단말기의 작은 화면에서 단말기의 버튼이나 터치스크린을 사용하기 불편하고, 방송시청이 불편하다. 또한, 기존의 방송참여 방식인 ARS, SMS 방식을 포용하지 못한다. 본 논문은 기존의 시청자 참여 방식을 분석하고 기존 방식의 약점을 보안하여 URL 방식 명령을 통한 양방향 서비스를 제안한다. 이 방법은 작은 디스플레이를 통해 홈페이지 방식을 고집하지 않고, 기존의 ARS, SMS를 포용하며, 단순한 동작으로 시청자 참여가 가능하다. 본 논문이 제안하는 방법은 서비스 방식 및 구조에 따라 ARS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방식 명령, SMS 서비스를 제공하는 URL 명령, 서버응용 호출서비스를 위한 URL방식 명령(SERVER-URL), 클라이언트 응용호출 서비스를 위한 URL방식 명령(CLIENT-URL)으로 분류된다. 본 방법들은 사용자의 참여가 단순하게 이루어지도록 방송시 송출되며, 이러한 방법은 ol동 방송에 특히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어, 앞으로 보다 실용적인 DMB 기반의 융합 서비스에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The Potential of IPTV Service: Is It a Bridging or Gap-filling Telecommunication Service? (기존 신규 방송통신서비스 분석을 통한 IPTV 서비스의 성장가능성 연구)

  • Lee, Hyeongjik;Kim, Kyoungtae;Jeong, Bo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525-528
    • /
    • 2009
  • This paper attempts to conceptually examine the potential of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First,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 of a bridging telecommunication service and a gap-filling telecommunications service. Second, the current status of various emerging telecommunications services including mobile WiMax, called WiBro, and both satellite and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service, called DMB are comprehensively analyzed. Based on those analysis, this paper analyzes whether IPTV is regared as a bridging telecommunications service or a gap-filling telecommunications service and examine the potential growth possibility of IPTV. Finally, the suggestions for policy makers are discussed.

  • PDF

Design of T-DMB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Standard : Part 1 Requirements Analysis (지상파 DMB 자동재난경보방송표준 설계 : Part 1 요구사항 분석)

  • Choi, Seong-Jong;Kwon, Dae-Bok;Kim, Jae-Yeon;Oh, Keon-Sik;Chang, Tae-Uk;Hahm, Young-Kwon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2 no.3
    • /
    • pp.230-241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the requirements analysis for the Terrestrial DMB Automatic Emergency Alert Service (AEAS) Standard. First, the basic concepts in disaster management and the AEAS system structure are presented as a background. Next, other emergency alert systems and the related standards are analyzed. We propose taxonomy to categorize the emergency alert system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ystem. Next, we analyze advantages of T-DMB for the delivery medium of emergency alert message and problems to resolve for the enhanced performance. Finally, we propose service requirements which will achieve general/special-purpose, non-interrupting, location-adaptive, automatic, message delivery service. The paper will contribute as a guideline to the development for emergency alert service standards for other broadcasting media.

클라우드 기반의 미디어 서비스 플랫폼 설계

  • Kim, Su-U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6
    • /
    • pp.55-6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과 이를 효율적으로 설계 개발 하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디어 서비스를 설계, 개발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대용량 미디어 컨텐츠의 특성, 대용량 컨텐츠 관리 방안, 인코딩/트랜스코딩, 코덱, 컨텐츠 배포 및 스트리밍, 방송 시스템과의 연동 및 송출 등의 기술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며, 이 기술들을 기반으로 미디어 서비스를 설계, 개발하는 방안에 대해서 기술한다. 최근의 미디어 서비스는 고용량, 고품질의 미디어를 제공해야 하고 서비스를 다양한 매체에서 항상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하므로 서비스는 클라우드 기반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미디어 서비스는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다양한 형태로 서비스에 대한 요청이 있으므로, 방송 및 통신망을 통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양한 디바이스로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의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실제 서비스 모델을 수용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 기능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 모델을 제시한다. 이러한 서비스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방송 사업자의 방송 시스템과 연동하여 시범서비스를 구축하여 스마트 TV,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및 PC 등 다양한 디바이스로 공통의 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표준 플랫폼을 설계, 구현하는 방안에 대해서 설명한다.

디지털방송 소외계층을 위한 디지털방송 수신기 개발현황

  • Song, Gi-Hwan
    • Broadcasting and Media Magazine
    • /
    • v.14 no.4
    • /
    • pp.56-63
    • /
    • 2009
  • 최근 아날로그 방송이 디지털로 전환되는 시점을 맞이하여 디지털방송 소외계층이라는 새로운 의미의 신종어가 대두되고 있다. 아날로그 방송시대에는 방송전파가 미치지 못하는 낙도나 산간지역 시청자를 일컫는 말이었으나 디지털 시대로 접어들면서 디지털기기의 작동방법을 모르는 디지털기기 미숙달인이나 노인층, 고음질과 고화질의 서비스 향상에도 불구하고 혜택을 잘 받지 못하는 시청각 장애인, 고가 HDTV를 구매하기 어려운 저소득층, 국내거주 외국인을 포함한 디지털방송의 다양한 서비스 혜택을 골고루 받지 못하는 모든 사람들을 광의의 디지털방송 소외계층이라볼수있겠다. 이에 디지털방송 소외계층을 고려한 방송통신위원회의 디지털방송 전환 정책에 대하여 살펴보고 실제적으로 소비자가 알아두어야 할 기본정보 및 디지털방송 수신기의 종류와 개발 현황에 대하여 알아본다. 그리고 디지털방송 소외계층별로 현실적이고 보다 실질적인 디지털방송 서비스 정책과 적합한 디지털방송 수신기선택방법을알아보고자한다.

A Study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the Interface of Indoor Alarm Broadcasting System (옥내경보방송시스템 연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연구)

  • Lee, Seung-Hyung;Ahn, Byung-Dug;Lee, Won-Seok;Min, S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8.06a
    • /
    • pp.285-287
    • /
    • 2018
  •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지진이 발생하는 등 각종 재난의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비하는 사회적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재난발생 시 일반 대중들에 전달되는 경보와 방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 재난경보방송시스템은 오랜 역사를 거쳐 정부와 지자체가 관심을 가지고 구축해 왔으며,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장소나 여름철 집중호우가 예상되는 유원지 등에 집중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옥외를 중심으로 경보방송을 서비스하고 있었으나 건물 내부에는 경보나 방송이 전달되지 못하여 재난발생 시 대규모 피해가 예측되므로 옥내경보방송 서비스의 필요성이 중요하게 인식되었고 최근에는 지자체 별로 활발하게 시스템 설치가 진행되고 있다. 옥내경보방송은 구내방송시설인 전관방송시스템과 연계되어 서비스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본 저자도 이에 동의하는 바이다. 그러나 전관방송시스템은 오랜 동안 이와 같은 필요성이 없는 상태에서 구축되어 왔고 제조사 별로 외부장비의 연계 방식에 대하나 규격이 다르게 발전해 왔다. 따라서 옥내경보방송장치와 전관방송시스템을 연계하기 위해서는 장비의 제어와, 오디오 인터페이스(interface)가 필수적 요소이므로 이를 반드시 연계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옥내경보방송장치와 전관방송시스템들의 인터페이스를 위해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이들의 개선방안에 대해 연구한다. 또한 연계 규격의 표준화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여 각 제조사들이 연계 규격을 준수하고 보다 많은 국민들이 재난경보방송 서비스를 누릴 수 있도록 제언한다.

  • PDF

A Progressive Study of the Development of Portable Mobile Broadcasting (휴대방송 발달의 추진과제와 정책방향)

  • Kim, Jong-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8.11a
    • /
    • pp.65-68
    • /
    • 2008
  • 휴대방송에서 방송통신융합서비스가 진행되면서 시청자들의 초점을 맞춘 연구가 심화되어 또 다른 융합서비스와 양방향 서비스가 한 단계 더 발전하는 계기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이러한 퍼스널 사회로의 진입과정에서 휴대방송 발달의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고 진단을 통해 추진과제와 다양한 선행 과제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One-Person Media NUI Service for Immersive Content Production Convenience (실감 콘텐츠 제작 편리성을 위한 개인방송용 NUI 서비스에 관한 연구)

  • Jeon, Ji-Hye;Jang, Ji-Woong;Park, Goo-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06a
    • /
    • pp.54-55
    • /
    • 2016
  • 개인이 실시간 방송을 할 수 있는 개인방송은 게임, 스포츠, 교육을 비롯하여 시대의 흐름을 고려한 요리, 다이어트 등과 같은 광범위한 미디어 콘텐츠를 생산하고 있다. 최근에는 실감형 콘텐츠를 위해 360도 카메라와 이를 마우스, 터치스크린, 자이로센서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들이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들을 활용해 더 많은 콘텐츠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기술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자의 편리성을 고려한 기술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감 콘텐츠 제작 편리성을 위한 개인방송용 NUI 기술 서비스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콘텐츠의 다양성과 빠르게 변화하는 IoT 기기 확장성을 고려하여 이와 연동 가능한 제스처 인식, 음성 인식 등과 같은 비 접촉식 NUI 서비스 기술과 이를 활용해 방송 제공자가 편리하게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개념도를 제안하고, 관련 API 설계에 대해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개인방송을 접하는 사람들의 편의성, 흥미를 만족시켜 다채로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나아가 편리성을 고려한 NUI 서비스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mpanion Screen Service Architecture for IoT Collaboration (IoT 연동이 가능한 Companion Screen 서비스 구성 기법)

  • Kum, Seung Woo;Moon, Jae Won;Jeon, Young Ran;Lim, Tae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6.11a
    • /
    • pp.182-183
    • /
    • 2016
  • 최근 UHDTV 방송의 대두와 함께 방송 부가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ATSC 3.0, HbbTV, IBB 등 각 방송 표준 기구로부터 부가서비스에 대한 표준이 공표되고 있으며, 이 표준들은 공히 Companion Screen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Companion Screen은 사용자가 TV를 통하여 시청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폰/태블릿으로 표시할 수 있어 방송 기반의 개인화 서비스 구현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Companion Screen과 IoT 기기의 연동을 통한 서비스 구성 방법을 제시한다. IoT는 최근 급격한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군의 출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IoT를 Companion Screen과 연계하여 활용함으로써, 방송과 통신을 연계하는 신규 서비스의 구성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서비스 구성 기법은 방송에 내제된 부가 정보 기반의 IoT 제어를 Companion Screen을 통하여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