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사성탄소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28초

정전기 방사에 의한 EDLC 전극용 폴리이미드계 활성탄소섬유 웹의 제조 (Preparation of Electrospun PI-based ACF Web for Electrode of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ior(EDLC))

  • 최영옥;김찬;양갑승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34-137
    • /
    • 2003
  • 탄소섬유나 활성탄소섬유(activated carbon fiber, ACF)는 일반적으로 출발물질에 따라 polyacrylonitrile(PAN)계, 아크릴(acryl)계, 피치(pitch)계, 페놀(phenol)계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보통 습식, 용융 혹은 용융분사(melt-blown) 방사 방법에 의해 섬유 형태로 형성한 다음 산화성 가스 분위기에서 불융화 과정을 거쳐 열에 대한 안정성을 부여하여 불활성 분위기에서 탄소화하여 탄소섬유를 제조하거나, 수증기나 이산화 탄소와 같은 산화성 분위기에서 활성화하여 활성탄소섬유를 제조한다. (중략)

  • PDF

악티늄족 및 란탄족 원소 회수를 위한 기능성 고분자-탄소 나노 구조체

  • 정용주;심준보;백승우;김시형;권상운;김광락;정흥석;안도희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09년도 학술논문요약집
    • /
    • pp.198-199
    • /
    • 2009
  • 킬레이팅 고분자를 메조기공 탄소 표면 위에 흡착시킴으로써 금속이온과 착물을 형성할 수 있는 기능성 나노구조체를 제조하였다. 악티늄족 원소를 단일입자 내에 영구처분을 위한 예비연구로서 Eu을 대용물(surrogate)로 사용하여 기능성 나노 구조체에 주입한 후 메조기공 입구를 고분자반응을 통해 봉쇄함으로써 Eu의 단일입자 내 고정화를 시도하였다. 시간에 따라 침출현상을 분석한 결과, 고분자로 메조기공을 blocking 하였을 때 Eu의 침출현상이 크게 완화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시멘트화나 유리화 등과 같은 고비용 공정을 거치지 않고도 단일입자 내 유해 금속의 영구처분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접근방법은 지지체로 메조기공 탄소에 국한되지 않고 실리카와 같은 다른 메조기공 금속산화물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강점이 있다.

  • PDF

불포화토의 열·탄소성 거동 분석을 위한 Barcelona Basic Model 소개 (Introduction of Barcelona Basic Model for Analysis of the Thermo-Elasto-Plastic Behavior of Unsaturated Soils)

  • 이창수;윤석;이재원;김건영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9권1호
    • /
    • pp.38-51
    • /
    • 2019
  • Barcelona Basic Model(BBM)은 응력의 변화에 따른 부피변화뿐만 아니라 흡입력의 변화에 따른 팽윤거동을 설명할 수 있으며, 흡입력 변화에 따른 점착력과 선행압밀응력의 변화와 온도변화에 따른 선행압밀응력의 변화를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고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스템에서 공학적방벽재로 고려되고 있는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열-수리-역학적 복합거동을 예측 및 분석하는 것에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암반 및 지반 공학자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기 때문에 BBM을 소개하고자 한다. BBM은 불포화 토질의 역학적 거동을 모사하기 위해 Modified Cam Clay(MCC) 모델을 확장하여 만들어 졌기 때문에 본 고에서는 먼저 MCC 모델을 간략하게 소개하고, 열-탄소성 모델인 BBM을 상세히 소개하였다.

중수로 원전 종사자의 방사선량 평가를 위한 $^{14}C$ 인체대사모델 분석 (An Analysis of Carbon-14 Metabolism for Internal Dosimetry at CANDU Nuclear Power Plants)

  • 김희근;이형석;하각현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207-213
    • /
    • 2003
  • $^{14}C$은 중수로원전에서 연돌(Stack)을 통해 방출되는 중요한 방사성 핵종중의 하나로, 대략 95% 가량이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발생되고 방출되고 있다. 방사성탄소는 발생에너지가 낮은 베타 방출체로서 외부피폭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중수로에서 탄소는 흡입이나 섭취를 통해 작업자 체내로 유입되는 경우에만 내부피폭을 일으키고 있다. 일반적으로 탄소는 신체에서 불활성 기체와 같은 거동을 보이기 때문에 섭취경로에 의한 피폭이 흡입경로에 의한 피폭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작업장에서 탄소의 흡입에 의한 방사선 피폭은 거의 일어나지 않으나 캐나다 원전의 압력관 교체 작업시 아주 소량의 피폭을 일으킨 경험이 있다. 본 논문은 원전 작업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방사성탄소의 흡입에 대비하여 방사선 피폭평가를 위한 방사선방호 프로그램을 수립할 목적으로 방사성탄소의 인체 대사모델 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탄뎀가속기에 의한 방사성탄소 년대측정과 한국해에의 적용 (Radio-Carbon Age Determination by Tandem Accelerator Mass Spectrometry Technique and Its Application To The Korean Sea)

  • Suk, Bong-Chool;Toshio Nakamura;Nobuyuki Nakai;Asahiko Taira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7-40
    • /
    • 1990
  • 탄뎀가속기에 의한 방사성탄소 연대측정은 한국남해 및 남동해의 해저로부터 25개의 화석종 조개와 1개의 피트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특히 AMS기술은 종래의 C-14측정방법에 비해 양적으로 수밀리그램의 원소태탄소만으로써 충분히 측정가능하다. 본고는 자체 제작한 분석라인에 의한 전처리방법 및 분석과정을 기술하고, 한국남해 및 남동해에 대한 후기경신세의 해수면변동사에 대하여 고찰한다. 측정결과년대는 -530$\pm$100년에서 3,500년 이상의 범위로 본해역의 퇴적상은 후기경신세 이후의 해수준변동에 의한 복잡한 퇴적환경을 시사한다.

  • PDF

핵시설로부터 발생되는 방사성탄소 분석기술 및 감시 (Monitoring and Analytical Techniques for the Discharged Radiocarbon from Nuclear Facility)

  • 천상기;김낙배;김건한;조수영;박찬조;이종대;신장식
    • 분석과학
    • /
    • 제13권6호
    • /
    • pp.693-698
    • /
    • 2000
  • 본 일련의 실험은 가동중인 핵시설 주위의 자연환경내 방사성탄소 농도준위 변화의 간접적인 추적을 통하여 체계적이고 장기간에 걸친 환경감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나무 나이테 분석을 이용한 방사성탄소 농도 측정 결과는 핵시설 가동 후 농도 준위가 증가한 것을 나타내었으며, 그 변화는 발전량과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섬유소 처리를 통한 안정 동위원소비, ${\delta}^{13}C$을 측정한 결과는 -30‰을 나타내었으며, 이 값은 수동법 및 능동법으로 채취한 대기 시료중의 $^{13}C$값 -17‰ 및 -8‰과는 매우 다른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런 차이는 광합성에 의한 동위원소 분별효과라고 가정할 수 있으나, 이 문제는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PDF

토륨 핵연료의 핵적 타당성 연구 - 가압경수로용 탄소피막 핵연료 적용 -

  • 임재용;김명현;주형국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171-176
    • /
    • 1997
  • Th-232를 Fertile로 사용한 핵연료는 U-238을 Fertile로 사용한 핵연료보다 핵확산 저항성, 방사성 폐기물 생성면에서 유리하다. 본 연구에서는 MHTGR의 핵연료에 사용된 탄소피막 입자 기술을 토륨 핵연료에 적용하여 새로운 가압경수로용 핵연료로 개념 설계하였다. 핵연료의 설계안을 울진 3,4호기 집합체 설계안에 적용하여 해적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