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방사선검사

검색결과 2,814건 처리시간 0.026초

Periapical cemental dysplsia의 진단에 대한 치험례 (DIAGNOSIS OF PERIAPICAL CEMENTAL DYSPLASIA)

  • 이순영;이찬영;노병덕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0권1호
    • /
    • pp.66-71
    • /
    • 2005
  • 치근단 백악질 이형성증은 대부분 하악 전치부에서 발생하는 병소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3단계의 독특한 방사선 사진상의 변화 양상을 보인다 (방사선 투과성기, 혼합기, 방사선 불투과성기). 특별히 1단계인 방사선 투과성기의 방사선 사진 상의 양상은 치수 괴사로 인해 발생하는 치근단 육종이나 치근단낭과 매우 유사하다. 따라서 이를 감별하기 위해서는 정기적인 방사선 사진 검사와 함께 치수의 생활력을 검사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증례에서는 해당 부위의 치아가 PFG bridge로 수복되어 있는 치수 생확력 검사를 정확하게 할 수 없었다. 또한 병소가 처음에는 하악 전치부에 발생하였으나 뒤이어 하악 견치와 소구치부에서도 연달아 발생한 특이한 소견을 보였다.

지역병원에서의 전산화단층촬영 검사에 대한 DRL 평가 (Assessment of DRL for Computed Tomography in Local Hospital)

  • 최석윤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619-625
    • /
    • 2022
  • 영상의학 분야에서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CT) 검사는 가장 보편화된 검사 방법 중의 하나이고 병원에서 이용 빈도가 매우 높은 검사 방법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검사 방법에 비해 매우 높은 방사선 피폭을 동반한다. 피폭 저감화를 위해서 CT 검사가 꼭 필요한 경우만 검사를 시행하는 방법과 꼭 필요해서 검사를 시행하는 경우에도 검사의 목적에 부합하고 적은 선량으로 검사를 시행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사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대표적 종합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장 최신의 방사선량 사용정보를 알아보고 진단기준수준(Dignostic Reference Level, DRL)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 두부 CT, 복부 CT검사에서 DLP는 NRPB(U.K) 와 Korea DRL보다 높게 나타났다. 흉부 CT의 사용 DLP 값은 CT장치 3종 모두 낮게 나타났다. 해당 병원에서는 CT 검사 시 피폭 저감화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두부 CT, 복부 CT에서 피폭 저감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위 X선 촬영의 새로운 기법 (New Techniques in Radiography of the Stomach)

  • 허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1권1호
    • /
    • pp.5-18
    • /
    • 1998
  • 위 X선 검사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충만법, 2중조영법, 압박법, 점막법, 유동법이 있으며, 검사목적에 따라 각 방법을 조합하여 실시하고 있다. 따라서 각 검사법의 장 단점과 촬영체위에 따르는 위의 묘출영역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 이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위의 해부학적 위치관계를 알고 있어야 한다. 또한 입위(선자세)와 와위(누운자세), 체위변환을 할 때에 위의 형태가 변화되는 것을 알아야 하며, 더욱 위의 형태는 개인에 따라 심한 차이가 있어 임기응변으로 대응을 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한다. 따라서 위 X선검사를 잘 하기 위해서는 일반촬영과 달라서 병리해부학적인 성상을 잘 알고 검사에 대응해야 하며, 위 X선검사는 지속적인 연수와 훈련이 필요한 촬영법이다.

  • PDF

Patellofemoral Instability - Diagnostic approach -

  • 경희수
    • 대한관절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관절경학회 2008년도 춘계 공동 학술대회
    • /
    • pp.98-111
    • /
    • 2008
  • 슬개대퇴 불안정성의 진단은 정확한 해부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역동적인(dynamic) 기전을 이해하여야 한다. 슬개골의 저명한 탈구는 쉽게 진단되지만, 경미한 외상으로 슬개골이 탈구되어 정복된 후에는 올바른 진찰(dynamic study)없이 방사선 검사(static study)으로 진단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병력, 이학적 진찰, 방사선 검사, CT, MRI 그리고 관절경 검사까지 다양하게 필요할 수 있다.

  • PDF

건강검진센터의 의료방사선 피폭 품질관리 시스템 구축 운영 경험 보고 (Set Up and Operation for Medical Radiation Exposure Quality Control System of Health Promotion Center)

  • 김정수;정혜경;김정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1호
    • /
    • pp.13-17
    • /
    • 2016
  • 모든 의료방사선 검사는 정당성과 최적화가 확보되어야 한다. 특히 질병의 예방과 조기 진단을 목적으로 하는 건강검진에서 방사선 피폭의 최적화를 위한 모니터링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DICOM 규격을 이용하여 건강검진센터의 의료방사선 피폭 품질관리 사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적용된 시스템을 이용하여 건강검진센터의 진단참고 값을 제정하고 이를 통한 품질관리를 시행하였다. CT에서는 전체 703명에 대한 진단참고 값으로 복부검사에서 $357.9mGy{\cdot}cm$, 두부검사에서 $572.38mGy{\cdot}cm$, 심장혈관 칼슘검사에서 $55.92mGy{\cdot}cm$, 저선량 폐 검사에서 $53.98mGy{\cdot}cm$, 경추 검사에서 $284.99mGy{\cdot}cm$, 요추 검사에서 $341.85mGy{\cdot}cm$를 도출 하였으며, 흉부 X선 검사 1955건에 대해 $274.0mGy{\cdot}cm$2과 유방 촬영에서는 6.09 mGy의 진단참고 값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건강검진센터에서 수검자에 조사되는 방사선의 피폭선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이용한 피폭선량의 최적화와 정당화를 위한 품질관리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디지털 X-선 시스템에서 흉부 전·후 방향 검사 시 검사복이 영상에 미치는 영향과 적정 검사복 원단의 분석 (Analysis of the Influence of Examination Gowns on the Image and the Suitable Fabrics for Chest AP Examinations on DR X-ray Systems)

  • 백은비;정유진;임수빈;박상조;허영철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865-87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일반촬영 시스템에서 흉부 전·후방향 검사 시 검사복이 영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 검사복으로 사용하기에 적절한 원단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3차 의료기관 다섯 곳에서 사용 중인 검사복을 수집하였고 모달, 텐셀, 면, 레이온 원단을 이용하였다. 원단의 선택은 촉감, 흡수성, 신축성, 구김성이 우수한 원단으로 보고된 연구를 참고하였다. 의료기관 다섯 곳 검사복과 네 개의 원단을 1겹에서 8겹까지 겹치도록 배열한 팬텀을 제작한 후 디지털 일반촬영 시스템에서 흉부 전·후방향 조건으로 검사하였다. 검사한 영상은 1차 프로파일 분석, 2차 신호강도 평균값 분석, 3차 현미경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총 아홉 가지 재료 모두 원단의 겹침이 증가할수록 영상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1차, 2차, 3차 분석 모두에서 영상에 미치는 정도가 가장 적은 것은 모달 원단이었다. 결론적으로 디지털 장치의 해상력이 증가할수록 검사복이 영상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할 것이며 이에 따라 적정 검사복 재질을 찾는 연구에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방사선투과검사작업장 위험성 평가를 위한 방사선 위해도 지수 모델 주요인자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the Main Factors of Radiation Risk Index Model for assessing risk in Nondestructive Test workplace)

  • 권다영;한지영;배유정;김병수;김용민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59-466
    • /
    • 2018
  •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방사선작업장의 위험성은 주로 피폭선량 값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방사선작업장은 사용하는 방사선 및 작업환경이 상이하다. 특히, 방사선투과검사작업장은 작업대상물, 차폐체 사용가능 유무 등에 따라 작업환경이 다양하다. 따라서 효율적인 방사선 방호를 위해서는 여러 가지 인자들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전문가 및 조장 방사선작업종사자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방사선원, 방사선피폭선량, 작업장관리현황, 판독특이자, 정기검사현황이 주요인자로 선정되었다. 또한, 설문조사 중요도를 바탕으로 1차 가중치(안)을 설정한 후 2차적으로 전문가 자문을 통해 인자 내 세부항목별 가중치를 선정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선정된 주요인자를 바탕으로 하여 방사선투과검사작업장 위해도 지수 모델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배관 원둘레 이음 용접부의 디지털 방사선 투과 검사 적용을 위한 커브드 및 평면형 검출기의 영상 비교 (Image Comparison of Curved and Flat Panel Detectors for the Application of Digital Radiography Testing in Pipe Welds)

  • 양진욱;조갑호;남문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85-594
    • /
    • 2022
  •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디지털 방사선 검사용 검출기는 평면형의 구조를 가진 검출기로 이루어져 있어 곡률을 가진 검사 대상물의 디지털 방사선 검사 시 완전한 밀착이 불가능 하였다. 본 연구는 산업현장에서 배관 용접부를 대상으로 한 디지털 방사선 투과 검사 시 디지털 영상의 상질 개선을 위하여 곡률에 밀착이 가능한 커브드 형태의 검출기를 제작하였고, 공칭 두께가 각기 다른 6" 배관을 대상으로 평면형 검출기와 커브드 검출기를 사용한 디지털 방사선 영상을 획득하였다. 실험 결과, 평면형 검출기는 배관과 완전한 밀착이 되지 않아 배관 외곽부와 검출기 사이의 틈이 생기게 되고, 이로 인해 불선명도 차이가 생기면서 디지털 영상의 확산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커브드형 검출기는 배관 외곽부와 검출기 사이의 틈을 최소화 하여 평면형 검출기에 비해 디지털 영상의 확산이 적은 것을 확인하였다. 영상의 확신이 클수록 상질의 저하 및 판독의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검사 대상물과 밀착이 가능한 검출기의 사용시 기존 평면형 검출기 보다 양질의 영상을 획득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