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방류량 검토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alysis on the Discharge Capacity Improvement of Spillway Pier Type by Numerical SImulation and Hydraulic Model (여수로 교각형상에 따른 방류능력 개선효과분석 : 수치 및 수리모형실험)

  • Hwang, Jong-Hoon;Kim, Dong-Young;Kang, Kyung-Seok;Lee, Young-Sik;Choi, Yong-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669-1674
    • /
    • 2008
  • 여수로는 방류량 월류시 한계류 상태와 고유속의 사류상태가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흐름형태를 가지고 있어 여수로의 방류능력에 대한 평가시 수치해석 및 수리모형 실험을 통해 검증하고 있다. 여수로의 방류능력은 여수로 월류부 전면부 바닥고, 월류부 상 하류 경사, 월류웨어고 뿐만 아니라 교대 및 교각의 형상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또한 월류웨어부를 지나 사류의 흐름양상을 보이는 천이부의 형상 및 후면 교각의 연장에 따라서도 급경사수로부의 흐름이 급변하게 된다. 국내 대부분의 여수로는 전면부의 교각(Pier)형상이 구조적인 안정성을 이유로 직벽형 설계방법을 일반적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국내 및 미개척국(USBR)의 설계기준 또한 여수로 교각과 교대부의 평면 형상만을 고려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어 국내 대부분의 수리 구조물들이 획일적인 구조물 형상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 및 수리모형 실험을 통해 국내 대댐에 설계되어 있는 직벽형태와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켄틸러버형의 교각형상에 따른 여수로의 수리적 흐름양상 및 방류능력을 비교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켄틸러버형태의 교각이 설치된 여수로의 경우 직벽형에 비하여 전면부 수위상승 및 흐름교란이 적게 발생하였으며, 방류능력 또한 개선되는 결과를 나타내었고, 후면 교각의 연장이 길고 점차 축소될수록 급경사수로부의 흐름이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Multi-Reservoir Operation for Flood Control of the Youngsan River System (홍수시 영산강 수계 댐 군의 연계운영에 관한 연구)

  • Ji Byeong Geor;Roh Jung Hwan;Jun Kyung Soo;Lee Jae 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466-1470
    • /
    • 2005
  • 영산강 수계의 담양댐, 광주댐, 장성댐 및 나주댐 등 댐 군의 연계운영에 의한 홍수조절 효과를 검토하였다. 각 댐의 운영방안으로는 Rigid ROM을 적용하였으며, 댐 방류수의 홍수추적을 위하여 부정류 계산모형을 적용하였다. 200년 빈도 홍수수문곡선을 대상으로 하여 Rigid ROM의 매개변수인 각 댐의 일정 방류율을 변화시켜가며, 각 댐 하류 하천의 합류점 등 주요 지점에서의 유량 수문곡선을 구하여 비교하였다. 전반적으로 각 댐의 방류 능력이 낮아 일정률을 크게 할 경우 Rigid ROM에 따른 방류를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또한 각 댐의 배수유역 면적이 작은 관계로, 일정률의 변화에 따른 최대 방류량의 차이가 각 댐하류 유역 유출량에 비하여 매우 작아 Rigid ROM을 적용할 경우에는 연계운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 PDF

Development of Multiple Regression Models for the Prediction of Daily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s (일별 암모니아성 질소(NH3-N)농도 예측을 위한 다중회귀모형 개발)

  • Chug, Se-W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6
    • /
    • pp.1047-1058
    • /
    • 2003
  • Seasonal occurrence of high ammonia nitrogen(NH3-N) concentrations has hampered chemical treatment processes of a water plant that intakes water at Buyeo site of Geum river. Thus it is often needed to quantify the effect of Daecheong Dam ouflow on the mitigation of $NH_3$-N contamination. In this study, multiple regression models were developed for forecasting daily $NH_3$-N concentrations using 8 years of water quality and dam outflow data, and verified with another 2 years of data set. During model development, the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R^2$) and model efficiency($E_{m}$) were greater than 0.95. The verification results were also satisfactory although those statistical indices were slightly reduced to 0.84∼0.94 and 0.77∼0.93, respectively. The validated model was applied to assess the effect of different amounts of dam outflow on the reduction of $NH_3$-N concentrations in 2002. The NH3-N concentrations dropped by 0.332∼0.583 mg/L on average during January∼March as outflow increases from 5 to 50cms, and was most significant on Februar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that the multiple regression approach has potential for efficient cause and effect analysis between dam outflow and downstream water quality.

Review of Dam-Reservoir water level considering Dam-downstream situation (직하류 하천환경을 고려한 댐 저수량 수위 확보 검토)

  • Kim, Chang-soon;Kim, Jong-R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77-377
    • /
    • 2017
  • 다목적댐은 비어있는 저수지 용량을 활용, 상류에서 유입되는 홍수를 저류하여 하류의 피해를 경감시키고, 저류된 저수량을 활용하여 갈수시 생 공 유지용수 등을 목적에 맞게 하류로의 공급에 주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댐 계획에는 상류에서 유입되는 목표 빈도 계획홍수량을 산정하고, 이에 따른 여수로의 계획방류량 등이 포함된 홍수 조절 방안이 수립된다. 다목적댐은 그 중요도 때문에 많은 사회적 재화(財貨)가 투입되어 하천에서 가장 높은 빈도인 200년 빈도 홍수량에 대비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댐 하류 하천에서는 긴 연장에 따른 투자비용 등의 한계로 상류 댐에 미치지 못하는 100년 빈도 이하로 설정되어있다. 이런 상 하류의 홍수계획간 괴리로 댐의 계획 방류량 수준의 홍수 조절시에는 하류 하천에 재난상황으로 발생할 우려가 있다. 기상예보의 고도화로 단기 예보의 정밀도가 높아져 단기간 댐 운영에는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5일 이후를 예보하는 중 장기예보는 아직까지도 불확실성이 높은 실정이다. 여기에 기후변화 등 기상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홍수기 초 장마와 태풍 등의 영향에 대비하기 위해 무작정 댐을 저(低)수위로 운영하면 이후 여름 가뭄에 취약해 지고, 반대로 저수량 확보의 고(高)수위 운영을 할 경우 연이은 태풍 등 홍수상황에 취약해 지게 된다. 최근 '14~'15년도 낙동강 수계에 여름가뭄으로 안동 임하댐이 가뭄단계에 돌입하는 등 홍수기초 적정 저수량의 확보는 안정적 수자원시설 운영에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불확실한 기상상황에 대비하고 댐의 이치수 목적 달성을 위해, 홍수기초 가능한 저수량을 확보하되 계획홍수량이 들어와도 하류피해는 경감시킬 수 있는 저수지 수위를 찾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낙동강 수계 9개 다목적댐(안동, 임하, 성덕, 보현산, 군위, 김천부항, 합천, 남강, 밀양댐)을 대상으로 댐 설계 및 직하류 하천 상황을 고려한 "홍수기초 댐 저수량 확보 수위 검토"를 실시하였다. 댐 직하류 하천의 홍수대비 상황 및 홍수조절시 제약사항 등을 조사해 주요지점(Critical Point)을 선정하고 그 지점의 홍수량을 파악한다. 이어서 저류함수 모형을 활용하여 댐별 저수지 모의 운영을 실시하였다. 대상 댐 저수지에 계획홍수량을 유입시키고 수위를 점차 조정하면서 하류 지점의 홍수량 내의 규모로 방류를 하는 저수지 모의 운영을 실시하였다. 이때 저수지의 계획홍수위를 초과하지 않는 등 안정적 홍수조절이 가능한 특정 수위를 찾아 하류 하천 환경을 고려한 댐 운영 수위로 선정하였다. 최근 홍수기총에는 강수량이 계속 줄어들고 홍수기 이후 더 많은 강수가 내리는 등 기후변화로 댐 운영은 날로 어려워지고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홍수기초 가뭄 및 장마 또는 태풍 등에 대비하여 댐 운영의 이 치수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는데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Water Storage and Intake Performance of Gabion Weirs during Recharge (인공함양 원수확보를 위한 돌망태 보의 저류 및 취수성능에 관한 연구)

  • Han, Il Yeong;Kim, Gyoo Bum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9 no.4
    • /
    • pp.393-403
    • /
    • 2019
  • The water-storage performance of an intake weir can be evaluated by stage-discharge ratings. The stage-discharge rating of a gabion weir depends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filling materials. This study reviewed existing discharge formulae for the evaluation of the water-storage performance of gabion weirs. A previously published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filling materials and experimental constants was adapted for stage-discharge rating. The mean size of the filling material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the water intake and water-storage performance of gabion weirs.

Correlation between Meteorological Factors and Water Discharge from the Nakdong River Barrage, Korea (낙동강 하구역 해양물리환경에 미치는 영향인자 비교분석(I) - 하구둑 방류량과 기상인자 -)

  • Park, San;Yaan, Han-Sam;Lee, In-Cheal;Kim, Hean-T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4 no.2
    • /
    • pp.111-117
    • /
    • 2008
  • We estirmted the yearly and monthly variation in discharge from the Nakdong River Barrage. We studied the total monthly discharge, the mean daily discharge, and the maximum daily discharge based on the observational discharge data for the 11-year period 1996-2006. We also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scharge and the meteorologiml factors that influence the river inflow.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total monthly discharge for 11 years at the Nakdong River Barrage was $224,576.8{\times}10^6\;m^3$: The daily maximum was in 2003, with $56,292.3{\times}10^6\;m^3$. The largest daily mean release discharges occurred in August with $52,634.2{\times}10^6\;m^3$ (23.4% of the year), followed by July and September in that order with 23.1 and 17%, respectively. (2) The monthly pattern of discharge could be divided into the flood season for the period July-September (discharge =$1000{\times}10^6\;m^3$/day), the normal season from April to June and October (discharge=$300{\times}10^6\;m^3$/day), and the drought season from December to March (discharge < $300{\times}10^6\;m^3$/day). (3) Periods of high temperature, low evaporation loss, and short sunshine duration produced a much higher discharge in general. Conditions of low rainfall and high evaporation loss, as was the rose in 2003, tended to reduce the discharge, but high rainfall and low evaporation loss tended to increase the discharge as it did in 200l. (4) The dominant wind directions during periods of high discharge were NNE (15.5%), SW and SSW (13.1%), S(12.1%), and NE (10.8%) This results show that it run bring on accumulation of fresh water when northern winds are dominant, and it run flow out fresh water toward offslwre when southern winds are dominant.

  • PDF

Hydraulic & Hydrologic Design Criteria for an Emergency Discharge of Reservoir (I) (댐 비상방류 설계기준 선정을 위한 수리수문학적 검토(I))

  • Son, Kwang Ik;Yi, Jaee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8 no.3
    • /
    • pp.149-158
    • /
    • 2015
  • It is well known that emergency outlet works have to be provided for the safety of dams. However, concept of emergency outlet works did not applied for the design of the most dams in Korea. Korean design standard for low-level outlet works does not provide enough design criteria which could be used in design of emergency outlet works. In this research, as-built status and hydraulic design criteria of outlet works, such as drawdown rate or hydraulic pressure due to the impounded water depth, were examined. Another relationship between drawdown rate and the dam slope stability was also examined with SEEP model. It was found that 25% reduction of impounded water depth decreases the pressure forces about 50%. Therefore, outlet works should be designed to drawdown properly at the beginning of the emergency. Seepage analysis of dam bodies showed that most of Korean dams could safely stand for 1m/day drawdown rate. Higher drawdown rate could result high discharge so the drawdown rate must be related with the flood risk of downstream. Finally, multi-stage design was recommended that faster discharge for the initial 25% of water depth in 7-10 days than the rest of it in 1-2 months.

Prediction of Water Quality Change in Downstream of the River by Dongjin Gate Operation (동진강제수문 방류조건에 따른 하류 수질변화 예측)

  • Chung, Mahn;Kim, Se Min;Park, You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43-443
    • /
    • 2018
  • 새만금유역의 동진강유역에 위치한 동진강제수문은 서해 바닷물 역류에 따른 농경지의 염분피해를 예방하고 고부천과 연계된 부안지역의 농업용수 공급을 위해 설치되었다. 동진제수문은 그간 정읍시 신태인읍, 김제시 부량면, 부안군 백산면의 약 770 ha 농경지에 대해 염분피해를 예방하였고 영농과 한발 시에는 부안군 일대 농경지에 농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었다. 하지만 새만금 간척사업등 대규모 국토개발로 주변 자연환경이 크게 변화하여 제수문은 염해방지기능을 상실하게 되었고 현재는 농업용수 공급원으로써의 기능만 남아 있다. 현재 동진강제수문은 관개기에 농업용수 취수를 위해 수문을 닫아 본류의 유량을 저류시키고 있으며, 비관개기에도 대부분 제수문을 닫아놓는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갑문폐쇄로 인해 하류의 유입유량이 차단되고 상류 체류시간이 증가되어 수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농업용수사용을 위해 저류되어있는 유량을 효율적으로 방류한다면, 외부수자원에 의존하지 않고 유역 내에서 자체적으로 새만금호의 유입량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진강 하류의 수질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동진강제수문의 내용적을 산정하여 용수공급능력을 파악하였고, 새만금유역과 호 내의 복잡한 수체 형상, 유입 및 유출 구조를 반영하는데 적합한 모델을 적용하였다. 재현성이 검토된 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새만금호의 유입부인 동진강 하류의 수질을 모의하였으며, 구성한 모형의 결과와 용수공급능력을 바탕으로 동진강제수문에서의 방류조건을 가정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방류조건별 수질개선효과를 살펴보면, Scenario 3 > Scenario 2 > Scenario 1의 순서로 수질개선율이 크게 나타났다. 동진강제수문에서의 방류량이 증가할수록 하류의 농도가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는 동진강제수문의 방류량으로 인해 유황이 개선되고 호 내 오염부하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농업용수 필요량을 제외한 유량을 하류의 환경유지용수로 확보하고 이를 수질관리취약 시기에 탄력적으로 방류하여 정체수역의 수질오염을 감소시키고 목표수질을 만족하도록 운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eservoir Operation for Water Quantity and Quality using KModSim (KModSim을 이용한 수량.수질의 저수지 운영계획)

  • Lee, Jin-Hee;Ko, Ick-Hwan;Kang, Shin-Uk;Hwang, Man-Ha;Noh, Ju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693-1697
    • /
    • 2009
  •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의 장단기 저수지 연계운영 및 수질개선 방안 연구에서 개발 중인 범용 하천유역관리 모형인 KModSim은 그 수행속도와 모델 구성의 편이성으로 인해 하천의 수요처와 다수개의 저수지를 포함하는 대단위 유역에 적용이 용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수자원공사에서 저수지 운영계획에 사용하고 있는 저수지 운영 기준수위를 바탕으로 하천유지용수와 수질개선용수를 확보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우선 수량과 수질을 고려한 저수지 운영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기존의 수량만을 분배하는 물배분 시스템을 바탕으로 방류량에 증가에 따라 수질개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수질 개선 용수 수요노드를 추가하였다. 이때 유역내의 저수지의 기준수위와 하천의 하천유지용수 및 용수수요노드의 우선순위의 설정에 따라 deficit supply 방식의 물분배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이를 통해 꼭 필요한 유량이 발생 할 때 유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모형을 설정 하였다. 반면 방류량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과거의 수질 측정자료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다중회귀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방류량의 증가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할 수 있는 모형으로 특정시점에 있어서 특정 수질 매개변수의 농도를 예측할 수 있으며 적정수준 이하의 수질 농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방류량을 계산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수질 개선을 위한 공급 시나리오는 기존의 용수 우선의 시나리오 분석과 더불어 운영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여 보다 효율적 저수지 운영계획이 수립될 수 있도록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Applicability of Fusegate as a Flood Control Gate of Dam and Levee (댐 및 제방의 홍수배제 수문으로서의 Fusegate의 적용성 검토)

  • Kang, Kyong-Chul;Jun, In-Ok;Seo, Il-Won;Park,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736-740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Fusegate의 방류량 증대효과, Fusegate의 역학적 거동 확인 및 천변저류지의 활용성을 목적으로 수리실험과 수치실험을 병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Fusegate에 대한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Fusegate를 설계 및 제작하여 역학적 거동을 확인 및 이해 할 수 있었으며 방류량 증대효과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일반하천과 Fusegate가 설치된 천변저류지가 있는 하천의 극한 홍수 시 비교를 통해 천변저류지가 설치된 하천의 홍수방어능력이 증대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Fusegate 및 천변저류지의 활용 필요성을 입증할 수 있었으며, Fusegate의 개선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