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밥상머리교육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밥상머리교육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ome Humanity Education Mobile Application)

  • 김정진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1-8
    • /
    • 2021
  • 이 연구는 부모와 자녀가 질문과 대화 기반의 밥상머리교육이 가능하도록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밥상머리교육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ADDIE모형을 변형하여 분석, 설계, 개발, 평가의 4단계로 개발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교육목표를 설정하고, 애플리케이션이 지향할 7개 핵심역량을 추출하였다. 설계단계에서는 핵심역량 7개를 구현할 인성 등 15개 메뉴를 학습내용으로 선정하였다. 개발단계에서는 1,000개의 사진을 기반으로 질문이 제시되어, 부모와 자녀가 자연스럽게 대화를 하면서 핵심역량을 강화하도록 구성하였다. 각 메뉴는 동일한 기능과 사용방법으로 제작되어 사용자 편의성과 효용성을 높였다. 평가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개선점을 도출하고, 반영하는 환류과정을 거쳤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밥상머리교육용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대한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첫째, 부모와 자녀가 장기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서 일어나는 학습경험과 변화들을 종단연구를 통해 검증할 필요가 있다. 둘째, 밥상머리교육 애플리케이션의 연령별 활용방법과 그에 따른 개선방안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조부모가 손자녀를 양육하는 사례가 늘어남에 따라서 조부모와 손자녀가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면서 변화되는 과정과 학습효과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를 위한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s for Activation of the Rural Convergence Industry)

  • 강경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호
    • /
    • pp.461-469
    • /
    • 2017
  • 연구 목적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식생활교육의 효과를 성별 학년별로 분석함으로써 식생활교육과 연계한 농촌융복합산업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으로 연구 대상은 충청남도 초등학교 8개교 152명이다. 연구 결과,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적용 후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으며, 밥상머리교육, 바른 식생활 실천, 음식쓰레기 줄이기, 로컬푸드 알기의 네 하위영역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성별 점수는 남 여학생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고, 식생활교육 네 하위영역의 성별 분석 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학년별 점수는 모든 학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개선되었고, 식생활교육 네 하위영역의 학년별 분석 결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의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식생활 개선에 효과가 있으므로, 초등학생 대상의 교육에 활용 가능하며, 바른 먹거리 선택 능력을 신장시킴으로써 지역 먹거리 소비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가족식사가 자녀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학부모 인식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Family Mealtime on the Childrens' School Adaptation - Using the Data Collected by Parents -)

  • 이현아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8권3호
    • /
    • pp.103-11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family mealtime on the childrens' school adaptation. This study uses data from the 2012 Survey on Child Education and School Involvement of Parents by the Center for Family-School Partnership Policy Research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1500 parents with school-aged children. For the data analysis, Chi sqaure test and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showed that the numbers of family meals shared averaged 4.26 times per week for breakfast and 4.33 times per week for dinn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family meals shared together according to school level, residence area, and parent employment status, and household income. In additio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school level, parent gender, parent education, and parent employment status. Finally, according to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number of family meals shared significantly predicted childrens' school adaptation. The greater number of family meals shared, the stronger the childrens' school adapt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family mealtime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family mealtime is an indicator of family strength and it needs to guarantee family shared time at least to have a dinner together. This study could provide grounds for making family policy and education policy in order to guarantee family shared time.

조선시대 규범서(朝鮮時代 規範書)에 나타난 밥상머리 예절교육(禮節敎育) 내용에 관한 고찰(考察) (Consideration of the Courtesy Education at the Dining Table in the Books of Social Norms of Joseon Dynasty Era)

  • 주영애;원미연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4권4호
    • /
    • pp.415-426
    • /
    • 2016
  • We researched the modern meanings of traditional dining table courtesy education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main values of contemporary personality education based on dining table courtesy education stated in the social norms texts of the Joseon dynasty. Among the social norms of the Joseon dynasty, we chose Sohak, Naehun, Dongmongsuji, Seonghakjibyo, Gyeongmongyogyeol, Jeungbosallimgyeongje, Sasojeol, and Koamgahoon for research. As a result of our research on these documents and books, the modern meanings of the courtesy education at the dining table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courtesy education has table manners appropriate for the development level of early children. Second, it teaches right-handed dining manners that match the features of Korean food culture. Third, it has the self-discipline and the values of community life, sharing, solicitude, and communication. Fourth, parents and grandparents are involved in the education. Fifth, it has the core values of modern personality education: manners, filial piety, respect, solicitude, communication, cooperation, and responsibility. Future courtesy education at the dining table should include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that can consolidate the bond of sympathy between the home, school, and society, and can improve its practice; in addition, to expand th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proactive social support is deman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