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밝기히스토그램

Search Result 15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Face Recognition with Normalized Wavelet Features (정규화된 웨이블렛 특징에 의한 얼굴 인식)

  • Lee, Chan-Ho;Park, Ju-Chul;Choi, Hyung-Il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27 no.10
    • /
    • pp.1046-105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정규화된 웨이블렛 방법에 기반한 얼굴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추출된 얼굴 영역의 크기를 정규화하고. 배경 영역을 제거하기 위해 이진화된 가우시안 윈도우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조명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얼굴 영역의 히스토그램을 상세화하고, 왼쪽 부분의 밝기와 오른쪽 부분의 밝기를 평균하였다. 정규화된 얼굴 영역은 극좌표계로 표현하여 사각형의 형태를 가지게 하였다. 특징으로는 가보 웨이블렛 계수를 사용한다. 가보 웨이블렛 변환은 매개 변수와 정규화된 얼굴 영역의 해상도를 바꾸어 가며 여러 차례 적용하였다. 인식에 유용한 계수들을 선택하기 위해 FD 분석을 수행하였다. 선택된 특정들은 FD 값과 함께 인식에 사용되었다. 실험 결과를 보면 제안된 방법이 매우 유망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Luminance Compensation based on Histogram Equalization for Stitching of 360 VR images (Virtual Reality 영상 합성을 위한 히스토그램 평활화 알고리즘)

  • Yeo, Dasol;Han, Jo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9.11a
    • /
    • pp.177-179
    • /
    • 2019
  • 이미지 스티칭 기술은 360 VR 영상을 제작하기 위한 기술들 중 가장 중요한 기술 중 하나이며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이렇게 제작된 VR 영상에서 발생하는 이질감은 이미지를 합성하는 스티칭 과정에서 오류에 의해 전체적인 품질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티칭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류 중 다양한 시점으로의 촬영으로 인해 발생하는 밝기 차에 의해 발생하는 이질감을 감소시키고 명암 대비를 높임으로써 후처리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오류를 사전에 감소시킬 수 있는 밝기 보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Determining the reference image with radiometrically different images (밝기가 다른 이미지에서의 레퍼런스 이미지 결정 방법)

  • Oh, Changjae;Ham, Bumsub;Shin, Hyungchul;Sohn, Kw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8-10
    • /
    • 2011
  • 컬러는 영상처리 분야에서 중요한 단서로 사용될 수 있는 정보이다. 하지만 실제로 촬영한 영상의 경우에는 빛과 카메라 특성 등 다양한 요소들의 영향으로 인해 이미지 간 컬러 정보의 불일치가 빈번히 일어난다. 따라서 컬러가 다른 여러 장의 영상을 입력 영상으로 사용하는 경우, 입력 영상간 컬러를 동일하게 맞춰 주어야 한다. 이를 수행함에 있어서, 어떠한 이미지를 레퍼런스 이미지로 결정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히스토그램 등화(histogram equaliz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입력 이미지들의 비용을 결정해줌으로써, 레퍼런스 이미지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스테레오 매칭을 통해 다양한 밝기의 입력 영상에서 가장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레퍼런스 이미지를 결정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Image Quality Enhancement for Chest X-ray image (Chest X-ray 영상을 위한 화질 개선 알고리즘)

  • Park, So Yeon;Song, Byung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538-539
    • /
    • 2015
  • 일반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알고리즘이 존재한다. 하지만 X-ray 영상의 경우 일반 영상과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기존의 화질 개선 알고리즘으로는 진단에 적합한 화질을 얻을 수 없다. 디지털 X-ray 기기로부터 처음 획득된 X-ray 영상은 데이터 범위가 일반 영상에 비해 넓고 밝기 레벨이 고르지 못하다. 특히 Chest X-ray 영상의 경우 다양한 이유로 촬영하기 때문에 갈비뼈와 혈관, 척추 뼈 등 특성이 다른 모든 부위들을 자연스럽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영상의 불필요한 배경 성분을 제거하여 특정 밝기에 밀집되어 있는 데이터들의 히스토그램 범위를 확장시키고 주파수 대역 별 가중치를 조절하여 대비 및 선명도를 향상시킨다. 마지막으로 전역적 대비 개선 기법과 지역적 대비 개선 기법의 장점을 취하여 진단에 적합하도록 개선된 Chest X-ray 영상을 얻는다.

  • PDF

CCTV Image Quality Enhancement using Histogram Loss and Sequential Task (히스토그램 손실함수와 순차적 작업을 이용한 CCTV 영상 화질 향상)

  • Jeong, Minkyo;Choi, Jongin;Jeong, Je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217-22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CCTV 영상 화질을 향상하고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딥 러닝(Deep Learning)을 이용하여 잡음 제거(Denoising) 와 초해상도(Super-resolution) 작업을 수행한다. 데이터 증강(Data Augmentation)을 통한 초해상도 성능 향상을 위해서 잡음 제거 네트워크의 출력 영상을 초해상도 네트워크의 입력으로 사용하는 순차적 작업을 사용한다. 또한 딥 러닝을 이용한 영상처리에서 발생하는 평균 밝기 오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손실함수(Loss Function)와 두 가지 이상의 순차적인 딥 러닝 작업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손실함수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손실함수는 네트워크의 출력 영상과 타겟 영상의 밝기 오차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고, 순차적 작업에서 보다 정확한 모델 성능 판단이 가능하다.

  • PDF

Robust Face detection using Geometric Luminance Distribution Mask and color model under illumination variations (다양한 조명 조건에서의 기하학적 밝기분포 마스크와 색상모델을 이용한 얼굴검출)

  • Cheon, Jun-Ho;Na, Sang-Il;Lee, Jung-Ho;Shin, Min-Chul;Jeong, D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913-915
    • /
    • 2005
  • 임의의 영상에서 얼굴을 검출하는 것은 얼굴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선행되어야 할 필수과정이다. 본 논문은 조명의 변화가 심한 컬러영상에서 얼굴을 검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기존의 기하학적 밝기분포 마스크만을 사용한 방법이 조명 변화에 취약한 단점을 보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히스토그램 평활화(Histogram Equalization : HE)와 감마 크기 보정 (Gamma Intensity Correction : GIC) 방법을 이용해서 조명에 대한 간섭을 줄인 후, 영상 전체에서 피부 영역을 추출하고 이어서 눈 후보들을 검출한다. 검출된 눈 후보들로부터 기하학적 밝기분포 마스크를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얼굴 후보들을 찾을 수 있고, 이렇게 찾아진 얼굴 후보들은 주성분분석법(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PCA)를 이용해서 얼굴인지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본 알고리즘은 조명 밝기 등으로 인해 검출률이 떨어졌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었고, 향후 얼굴 검출 분야에 있어서도 활용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kin Region Detection Using Histogram Approximation Based Mean Shift Algorithm (Mean Shift 알고리즘 기반의 히스토그램 근사화를 이용한 피부 영역 검출)

  • Byun, Ki-Won;Joo, Jae-Heum;Nam, Ki-G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8 no.4
    • /
    • pp.21-29
    • /
    • 2011
  • At existing skin detection methods using skin color information defined based on the prior knowldege, threshold value to be used at the stage of dividing the backround and the skin region was decided on a subjective point of view through experiments. Also, threshold value was selected in a passive manner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and illumination environments in these existing methods. These existing methods displayed a drawback in that their performance was fully influenced by the threshold value estimated through repetitive experiments. To overcome the drawback of existing methods, this paper propose a skin region detection method using a histogram approximation based on the mean shift algorithm. The proposed method is to divide the background region and the skin region by using the mean shift method at the histogram of the skin-map of the input image generated by the comparison of the similarity with the standard skin color at the CbCr color space and actively finding the maximum value converged by brightness level. Since the histogram has a form of discontinuous function accumulated according to the brightness value of the pixel, it gets approximated as a Gaussian Mixture Model (GMM) using the Bezier Curve method. Thus, the proposed method detects the skin region by using the mean shift method and actively finding the maximum value which eventually becomes the dividing point, not by using the manually selected threshold value unlike other existing methods. This method detects the skin region high performance effectively through experiments.

An Efficient Scene Change Detection Algorithm Considering Brightness Variation (밝기 변화를 고려한 효율적인 장면전환 검출 알고리즘)

  • Kim Sang-Hy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6 no.2
    • /
    • pp.74-81
    • /
    • 2005
  • As the multimedia data increases, various scene change detection algorithms for video indexing and sequence matching have been proposed to efficiently manage and utilize digital media.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bust scene change detection algorithm for video sequences with abrupt luminance variations. To improve the accuracy and to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of video indexing with abrupt luminance variations, the proposed algorithm utilizes edge features as well as color features, which yields a remarkably better performance than conventional algorithms. In the proposed algorithm first we extract the candidate shot boundaries using color histograms and then determine using edge matching and luminance compensation if they are shot boundaries or luminance changes. If the scene contains trivial brightness variations, the edge matching and luminance compensation are performed only for shot boundaries. In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method gives remarkably a high performance and efficiency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with the similar computational complexity.

  • PDF

An Efficient Video Indexing Algorithm for Video Sequences with Abrupt Brightness Variation (급격한 밝기 변화가 있는 비디오 시퀀스에서 효율적인 비디오 색인 알고리즘)

  • 김상현;박래홍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5
    • /
    • pp.35-44
    • /
    • 2004
  • With increase in digitalmedia data, various video indexing and video sequence matching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to efficiently manage and utilize digital media. In this paper, we propose a robust video indexing algorithm to detect scene changes for video sequences with abrupt luminance variations and an efficient video sequence matching algorithm for video sequence query. To improve the accuracy and to reduce the computational complexity for video indexing with abrupt luminance variations, the proposed algorithm utilizes edge features as well as color features, which yields a remarkably better performance than conventional algorithms. In the proposed algorithm first we extract the candidate shot boundaries using color histograms and then determine using edge matching and luminance compensation if they are shot boundaries or luminance changes. If the scene contains trivial brighness variations, the edge matching and luminance compensation are performed only for shot boundaries. In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method gives remarkably a high performance and efficiency than the conventional methods with the similar computational complexity.

A Study on the Image Enhancement Method of Digital Mammogram in the Wavelet Domain (웨이블렛 영역에서 디지털 맘모그램의 영상향상 방법에 관한 연구)

  • Jeon, Geum-Sang;Jang, Boo-Hwan;Kim, Sang-He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3 no.1
    • /
    • pp.6-11
    • /
    • 2012
  • Digital mammogram is effective for detecting the micro-calcification that is early symptom of breast cancer. In the digital mammogram, many image processing techniques have been studied for accurate diagnosis and efficient treatment of micro-calcification lesion. The wavelet based multi-scale method was mainly used to enhance the image contrast. This paper presents an advanced mammography enhancement method which is based both on the brightness and the contrast enhancement in the wavelet domain. The proposed method normalizes a dynamic range using histogram of the image. The brightness is enhanced by modifying coefficients of low frequency components, and the contrast is enhanced by coefficients of high frequency component based on the multi-scale contrast measure. The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yields better performance of the image enhancement over the existing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