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행자

Search Result 22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Convertible Debt Issuance and A Firm's Growth (전환사채 발행과 기업의 성장성)

  • Jung, Moo-Kwon;Cha, Myung-J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6 no.3
    • /
    • pp.1-29
    • /
    • 2009
  • Since convertible debt has both characteristics of stocks and bonds, its issuance can be related to both interests of stockholders and bondholders. Nevertheless, the existing studies focused mainly on the wealth effect on stockholders. In this paper we revisit the hypotheses on the issue of convertible debt especially from the viewpoint of a firm's growth, by making an additional investigation into bondholders' wealth effects. We find that stockholders' wealth increases with bondholders' wealth in the firm whose book-to-market ratio is low and thus is considered a growth firm. This finding seems consistent with the hypothesis in which the issue of convertible debt mitigates the agency cost of debt in the high-growth firm.

  • PDF

The Proposals of Identity Escrow Scheme to Control User's Anonymity (사용자의 익명성을 제어하는 신원 위탁 방식 제안)

  • 황보성;이임영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3 no.6
    • /
    • pp.617-624
    • /
    • 2000
  • We introduce the concept of a Identity Escrow Scheme, an application of key escrow ideas to solve the problem of authentication. In the Identity Escrow Scheme, the User escrows a own real identity to the Issuer and receives a Authentication Information. In authentication step, between the User to the Service Provider, the User only gives a Authentication Information to the Service Provider. Therefore, the Service Provider don't know a real identity of user's. However, when the User does unlawful actions, the Lawful Agent is called by the Service Provider, and his anonymity is revoked by cooperation of the Issuer and the Lawful Agent. We propose new Identity Escrow Schemes and analyze these.

  • PDF

A study on Linked data publishing of Open data in Seoul museum of history (서울역사박물관 오픈데이터의 Linked Data 발행에 관한 연구)

  • Do, Seulki;Han, Sa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3.08a
    • /
    • pp.119-122
    • /
    • 2013
  • 정부 및 기관, 개인에게 부가가치를 제공하는 공공 오픈데이터를 Linked Data로 발행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공공 오픈데이터인 '서울역사박물관의 유물 데이터'를 대상으로 데이터 정제 및 Linked Data로 발행하는 작업을 수행하여 발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제약사항들에 대해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 및 각 기관들, 개인이 데이터 발행자 및 이용자의 입장에서 공공 오픈데이터를 활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로 데이터 공개 시 데이터에 대한 명확한 설명 제시, 데이터 생애주기에 걸쳐 양질의 데이터 생산 및 공개, 데이터 발행자와 이용자 간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제언하였다.

  • PDF

우리나라 최초공모주(最初公募株)의 과도한 저가발행(低價發行)에 대한 원인분석과 개선방향

  • Jeong, Seong-Chang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9 no.2
    • /
    • pp.149-168
    • /
    • 1992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발행가격 결정을 발행회사와 주간사회사에게 완전 자율화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최초공모주(最初公募株)는 왜 이처럼 과도하게 저가발행(低價發行)되고 있는가에 대하여 원인을 규명하고 그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발행가격결정 자율화 기간동안의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한 결과, 우리나라의 저평가는 미국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이유를 규명하기 위하여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우리나라와 미국을 중심으로한 다른 국가들의 발행가격 결정과정에 대한 제도적인 차이점을 검토하였다. 이론적 모형에서는 발행기업과 주간사회사가 수요의 크기를 예측하여 수요의 불확실성 정도가 낮으면 저평가의 크기가 적어진다는 것을 보였다. 제도적인 차이점들을 검토해 본 결과, 우리나라의 발행가격결정이 일반투자자들의 수요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공급자의 사전가격결정방식을 택하고 있음에 반해, 미국에서는 발행가격대를 표기한 예비사업설명서와 로드쇼우(Road Show) 둥을 통해 투자자들의 수요예측을 하고 있으며 일본이나 프랑스는 발행주식의 일부를 경쟁 입찰에 부침으로써 투자자들이 발행가격결정에 참여하여 발행가격결정의 합리성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저평가의 크기가 다른 국가들에 비하여 큰 이유는 우리나라의 공모주 발행가격 결정과정에서 투자자의 수요를 전혀 고려하지 않기 때문일 수 있으며, 이러한 저평가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서는 어떠한 형태로든지 발행가격 결정과정에 실수요자인 일반투자자가 참여하는 방식이 채택되어야 한다.

  • PDF

각국의 전자화폐 개발현황 및 정책과제

  • Sin, Min-Yong
    • 정보화사회
    • /
    • s.111
    • /
    • pp.15-21
    • /
    • 1997
  • 전자화폐가 발행자의 보유자산에 의해 뒷받침되고 동 자산에 대한 청구권이 전액 충족되어야 하므로 금융제도 측면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규제와 감독을 받아야 할 것임

  • PDF

A Identity Escrow scheme for public proof of anonymity removing (익명성 제거의 공개 검증이 가능한 신원 위탁 방식)

  • 이용호;이임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2001.11a
    • /
    • pp.79-82
    • /
    • 2001
  •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가 인증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의 신원이 노출되는 문제가 사회의 큰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신원 위탁 방식이 제시되었다. 신원 위탁 방식에서는 사용자의 정확한 신원을 가지고 있는 발행자가 사용자에게 인증 정보를 전달하고, 사용자는 이것을 이용해 익명성을 유지한 채로 서비스 제공자와 인증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신원 위탁 방식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위한 새로운 요구사항을 제시하고 이를 만족할 수 있는 새로운 신원 위탁 방식을 제안한다.

  • PDF

Design of DID-based Verification Protocol for Strengthening Copyright Holders' Sovereignty (저작권자의 주권 강화를 위한 DID 기반 검증 프로토콜 설계)

  • Kim, Ho-Yoon;Shin, Seung-Soo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20 no.9
    • /
    • pp.47-58
    • /
    • 2022
  • Digital conten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 original and the replica due to its nature. For this reason, NFT technology using blockchain technology is attracting attention because it can guarantee the proof and scarcity of the original digital content. However, the NFT buyer does not own the copyright to the digital content, but the ownership. In particular, since the minting process of issuing NFTs is possible for anyone, there is a copyright threat to the copyright holder. In this study, we propose a verification protocol based on DID for the process of issuing and transacting NFTs for copyright protection of copyright holders' digital contents. As a research method, the problems of research cases related to digital contents were analyzed and the safety was comparatively analyzed. NFT issuance can only be issued by copyright holders whose identity has been verified through DID, and only users who have completed authentication can participate in the transaction to prevent indiscriminate theft and use of digital content and form a safe and transparent transaction market.

핫이슈 /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의 즐거움을"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12 s.103
    • /
    • pp.54-55
    • /
    • 2001
  • 현재 인터넷상에는 대형 포탈사이트를 비롯하여 소규모 전문 쿠폰사이트까지, 또한 전문업종이나 지역만을 상대로 쿠폰을 발행하는 사이트들도 다양하게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쿠폰사이트는 소비력이 강한 10대와 젊은 세대들한테 인기를 얻고 있다. 그러나 현재 쿠폰 사이트는 문제점도 없지 않다. 소비력이 강한 젊은층을 상대로 하다보니 쿠폰이 발행되는 업중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주로 음식과 미용에 관련된 것이다. 또한 대기업의 참여를 유도하고, 보다 소비 계층을 넓히기 위해 생필품에 관련된 쿠폰도 발행하는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는 지적이 관계자에 의해 제기되고 있다.

  • PDF

Improved Secure Key Issuing in ID-based Cryptography (신원 기반 암호화 방식의 개선된 안전한 키 발급 기법)

  • Kwon Saeran;Lee S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247-249
    • /
    • 2005
  • 신원(ID) 기반 암호시스템은 인증서 관리의 복잡함이 없는 좋은 장점이 있는 반면, KGC(Key Generator Center)가 사용자의 비일 키를 발행해 주기 때문에 안전하게 개인키를 사용자에게 전송해야 하는 문제와 KGC가 모든 사용자의 비밀 키 값을 얻을 수 있는 키 복구(key escrow) 문제가 나타난다. 이 성질을 제한하기 위해 제안된 여러 기법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으로는 다수의 KGC들이 threshold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개인키를 발행해 주는 방법이 있으나, 이것은 모든 KGC들이 개인의 신원을 각각 확인해야되는 비효율성이 있다. AISW`04에서 Lee등은, 하나의 KGC에서 요청자의 신원을 확인하며 다른 신뢰기관들은 개인키 보안을 협조해 주는 방식으로 개인키를 발행하고 발행한 개인키는 은닉방법에 의해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는 장정을 가진 키 발급 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그들의 방법은 키 복구 권한 제한 부분이 취약하여 또한 서비스 거부 공격에 안전하지 못한 단점을 갖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취약성을 분석하며 이를 보완하여 키 복구 권한을 제한하면서 동시에 서비스 거부 공격에도 안전한 개선된 키 발행 기법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Description Elements of the Book Colophon in Korea (우리나라의 도서 판권기 기술서지 요소 고찰)

  • Lee, Myoung-Gyu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1 no.1
    • /
    • pp.211-231
    • /
    • 2010
  • Colophon means an element to describe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the concerned books on the specific space like a back of title page or the last page of a book, and is used as a useful information source when cataloging in a library. Imprint means an element to describe publication information to a title page or verso of a title page of a book. In addition, institutionally required elements to describe on a book are an author, a publisher, a date of publication, a publishing company, ISBN, and a price when printing publications. The bibliographic elements to describe on colophon are a title, an author, a place of publication, a publisher, the date of publication, a place of printing, a printer, the date of printing, edition, impression, the address and contact point of a publisher, a price, ISBN, a copyright, CIP, and the profile of an author, etc. The necessary bibliographic elemen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publishing technology and changes of publishing environments are additionally described in this coloph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