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전량

Search Result 3,457,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Measurement and Consideration Discharge of Hwacheon Dam, Cheongpyeong Dam (화천댐, 청평댐 방류량 실측 및 검토)

  • Jun Hyuk Hong;Jong Gu HwangB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66-266
    • /
    • 2023
  •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형 댐은 하천 상류에 위치하고 있어 하류의 유출량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하천의 유출특성을 파악하고 하천용수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댐 방류량 자료는 필수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댐의 방류량은 크게 발전방류량, 여수로 방류량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발전방류량은 발전기 제원에 따라 발전량에 의해 산정되며, 여수로 방류량은 여수로 수위를 유량으로 환산하여 산정되고 있다. 이렇게 댐운영에 필요한 발전용댐의 방류량은 대부분 공식으로 산정되며 직접 실측하여 검증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천댐과 청평댐을 대상으로 방류량을 실측하였으며 화천댐은 발전방류량, 청평댐은 발전방류량 및 여수로 방류량을 실측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청평댐의 경우 방류량이 클수록 실측유량과 차이를 보였으며, 화천댐의 경우 대부분 정확하게 나타났지만 일부 차이가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천댐의 경우 발전방류량과 실측유량의 결정계수가 0.980으로 나타나고, 청평댐의 경우 발전방류량과 여수로 방류량의 결정계수는 각각 0.987과 0.996으로 나타나 상당히 정확한 것으로 판단된다. 차이를 보이는 것은 실측자료의 오류도 일부 있겠지만 발전 기기의 노후에 따른 성능저하, 여수로 주변의 수리특성변화 등이 주 원인으로 판단되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조사 및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 실측자료를 기반으로 보정된 발전용댐 방류량을 사용하게 된다면 향후 발전용댐 특성에 적합한 용수공급능력 평가 체계 및 운영방안 마련에 기여하며 발전용댐 운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Study of The Performance Analysis of a Solar Power Utility with 1.3MW (1.3MW급 태양광 발전소 성능 분석에 관한 연구)

  • Park, Jaegyun;Yun, Jungnam;Lee, Somi;Yun, Kyungshic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6a
    • /
    • pp.71.1-71.1
    • /
    • 2010
  • 본 연구는 1.3 MW급 태양광 발전소에서 기온 및 일사량에 따른 발전성능이 유지 보수 및 사후관리에 따라 성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실측자료를 통해 입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실측자료는 2008년 5월 전북 부안에 설치된 태양광 발전소에서 측정된 기온 및 일사량에 따른 발전량을 이용하였으며, 측정기간은 2009년 1월~2009년 12월까지 1년간 모니터링을 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였고, 발전소 성능 지표인 PR(Performance Ratio)을 계산하여 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실측자료는 PVSYST를 이용하여 실측자료와 동일한 조건에서 예측된 시뮬레이션 발전량 및 PR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실측자료와 해석결과의 비교에서 월단위로 측정된 실측 발전량과 예측 발전량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실측 발전량은 예측 발전량 대비 약 5% 낮게 나타났다. 또한, 실측 PR값은 예측 PR값보다 약 4.97%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해석을 위해 적용되는 일사량(기상청)과 실측 일사량이 다르고, Team Function 방식으로 구동되는 인버터와 시뮬레이션에서의 인버터 구동방식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일조량의 증가에 따른 1.3MW급 태양광 발전소의 발전량은 비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7월의 경우 기후특성으로 인하여 국부적으로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낸다.

  • PDF

Comparative Study to Predict Power Generation using 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Expansion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for Railway Infrastructure (철도인프라용 태양광발전시스템 확대를 위한 기상정보 활용 발전량 예측 비교 연구)

  • Yoo, Bok-Jong;Park, Chan-Bae;Lee, J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20 no.4
    • /
    • pp.474-481
    • /
    • 2017
  • When designing photovoltaic power plants in Korea, the prediction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at the design phase is carried out using PVSyst, PVWatts (Overseas power generation prediction software), and overseas weather data even if the test site is a domestic site. In this paper, for a comparative study to predict power generation using weather information, domestic photovoltaic power plants in two regions were selected as target sites. PVsyst, which is a commercial power generation forecasting program, was used to compare the accuracy between the predicted value of power generation (obtained using overseas weather information (Meteonorm 7.1, NASA-SSE)) and the predicted value of power generation obtain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In addition, we have studied ways to improve the prediction of power generation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meteorological data. Finally, we proposed a revised solar power generation prediction model that considers climatic factors by considering the actual generation amount.

A Study on the Battery Capacity Determination of Solar-Wind Hybrid Power System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시스템의 축전지 용량산정에 관한 연구)

  • Kwon, Byeong-Gook;Lee, Seung-Chul;Park, Chan-Eom;Kim, Jong-Hwan;Oh, Jong-Hw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11d
    • /
    • pp.297-299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시스템의 구성에 있어서 확률적으로 변화하는 시스템 발전량과 부하량을 고려한 적정 축전지 용량산정기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서울지역에서의 전형적인 날의 시간대별 일사량과 풍속 데이터에 기초하여 태양광-풍력 복합발전시스템의 출력분포를 산정하였고 배전계통과 연계된 전형적인 일반 주택부하를 가정하여 시스템 발전량과 부하량이 서로 상응하도록 풍력발전기와 태양전지의 용량을 결정하였다. 태양광 풍력 복합발전시스템의 예상 발전량은 각각 Beta 분포와 Weibull 분포에 기초하여 산정하였고 수요부하량을 비교하여 잉여 발전량은 축전지에 충전하고 부족 발전량은 축전지에서 방전하여 가능한한 계통으로부터 인입전력을 공급받지 않기 위한 최소 축전지 용량을 산정하는 기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 PDF

The Study on the Usefulness of Short-run GDP Forecasting Using Generation (발전량을 이용한 단기 GDP 전망의 유용성 연구)

  • Paik, Kwang-Hyun;Kim, Kwon-Soo;Park, Jong-I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808-809
    • /
    • 2007
  • 전력수요는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고 동행적으로 움직이며, 전력자료는 경제자료에 비해 조기 관측되는 선행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GDP 전망을 위해 발전량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가를 살펴 보았다. 발전량과 GDP의 관련성은 그랜저 인과관계 검정을 통해서 검증해 보았으며, 발전량 자료 취득의 선행성은 선행차수를 변화시켜 보면서 관련성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실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2004년부터 2006년 기간의 전망치를 평가한 결과, 본 논문에서 살펴 보고자 했던 발전량과 GDP 사이에는 아주 높은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발전량 자료를 이용함으로써 실제로 GDP 전망의 예측력을 상당히 개선시킬 수 있음을 볼 수 있었다. 발전량과 GDP 사이의 관계는 시간변동계수를 가지는 공적분 및 오차수 정모형을 이용하여 모형화하였다.

  • PDF

Study on Generation Volume of Floating Solar Power Using Historical Insolation Data (과거 일사량 자료를 활용한 수상태양광 발전량 예측 연구)

  • Na, Hyeji;Kim, Kyeongseo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2
    • /
    • pp.249-258
    • /
    • 2023
  • Solar power has the largest proportion of power generation and facility capacity among renewable energy in South Korea. Floating solar power plant is a new way to resolve weakness of land solar power plant. This study analyzes the power generation of the 18.7 MW floating solar power project located in Saemangeum, Gunsan-si. Since the solar power generation has a characteristic that is greatly affected by the climate, various methods have been applied to predict solar power generation. In general, variables necessary for predicting power generation are solar insolation on inclined surfaces, solar generation efficiency, and panel installation area. This study analyzed solar power generation using the monthly solar insolation data from the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over the past 10 years. Monte Carlo simulation (MCS) was applied to predict the solar power generation with the variables including solar panel efficiency and insolation. In the case of Saemangeum solar power project, the most solar power generation was in May, the least was in December, the average solar power generation simulated on MCS is 2.1 GWh per month, the minimum monthly power generation is 0.3 GWh, and the maximum is 5.0 GWh.

Resilience Evaluaion Approach according to Outflow of Single Hydropower Reservoir (단일 발전용댐의 발전수량에 따른 회복탄력성 평가방법)

  • Kim, Dong Hyun;Jung, Hyo Ju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68-68
    • /
    • 2020
  • 국내 발전용댐은 건설 당시 발전목적으로 지어졌으나,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홍수 및 가뭄의 빈도와 강도가 증가함에 따라 일부분 홍수조절, 환경개선 등의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다목적댐과 같이 홍수기에 제한수위를 두어 운영하거나 댐과 보 연계운영 규정에 의해 방류를 수행하기도 한다. 홍수기 제한수위로 인한 수위의 하강은 발전이 목적인 발전량에 손실을 가져오고, 수자원의 이용률 측면에서도 악영향을 끼친다. 현재의 운영 방식이 발전성능 측면에서 재평가 되어야 하며 이를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 평가지표나 평가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 평가 지표로 회복탄력성 개념을 도입하여 발전성능에 대한 발전용댐 운영을 평가하고자 한다. 댐의 발전 최적수위를 시스템의 평형상태로 보고 저수위 하강으로 인한 손실, 유입량 및 운영방식에 따른 댐의 수위 회복력을 발전용댐의 회복탄력성으로 정의하였다. 과거 유입량 자료를 활용하여 단일 발전용댐을 모의운영 하였고, 그 결과로 발전수량 시나리오에 따른 회복탄력성을 평가하였다. 회복탄력성과 발전수량, 발전량, 무효방류량, 재난위험일수 등으로 최적 발전방류량을 산정하였다. 향후 발전, 환경개선, 홍수조절에 대한 경제성 평가가 병행된다면 발전수량 운영 기준을 수립하는데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f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about our power system (우리나라 계통의 주파수특성에 관한 고찰)

  • Lee, Woon-Hi;Song, Seok-Ha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11a
    • /
    • pp.358-360
    • /
    • 2003
  • 원자력과 같은 대용량 발전기의 갑작스런 탈락이나 하루 중 아침시간이나 점심시간과 같이 급격한 부하변동이 발생하는 특수 시간대에는 계통의 발전량과 부하량간에 심한 불균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계통 주파수가 변하여 발전량과 부하량이 자동으로 조절되어 수급의 균형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계통이 안정하게 유지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계통 사고사례를 통하여 우리나라 계통에서 대용량 발전기 탈락시 주파수변동에 따른 발전량 및 부하량의 조절특성과 고장당시 계통 발전기들의 응동특성을 소개한다.

  • PDF

Explainable Solar Irradiation Forecasting Based on Conditional Random Forests (조건부 랜덤 포레스트 기반의 설명 가능한 일사량 예측)

  • Moon, Jihoon;Hwang, Een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05a
    • /
    • pp.323-326
    • /
    • 2020
  • 태양광 발전은 이산화탄소 배출로 인한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주요 수단으로 인식되어 수요와 필요성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최적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의 운영을 위해서는 정교한 전력수요 및 태양광 발전량 예측 모델이 요구되며, 온도 및 일사량은 태양광 발전량 예측 모델의 필수적인 입력 변수이다. 하지만, 한국 기상청의 동네예보는 일사량에 관한 예측값을 제공하지 않아 정교한 태양광 발전량 예측 모델을 구축하는 것은 어렵다. 이를 위해 일사량 예측 기법에 관한 많은 연구사례가 보고되고 있지만, 다수의 연구들은 충분한 데이터 셋을 이용하여 일사량 예측 모델을 개발하였다. 초기 태양광 발전 시스템 운영을 위해서는 불충분한 데이터 셋을 이용한 예측 모델 개발이 필요하나 이에 대한 사례는 불충분하다. 본 논문은 실제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수집된 불충분한 데이터 셋을 이용한 단기 일사량 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기상청 동네예보의 다양한 기상 요인들을 이용하여 일사량 예측 모델을 위한 입력 변수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조건부 랜덤 포레스트를 이용하여 일사량 예측 모델을 구성하며, 설명 가능한 일사량 예측뿐만 아니라 더욱더 많은 데이터 셋을 학습하기 위해 시계열 교차검증을 수행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기법은 다른 예측 기법들보다 높은 예측 정확도를 보일 뿐만 아니라 설명 가능한 예측 결과를 제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An evaluation on power generation of water resources facilities in North Korea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한 유출변화에 따른 북한 수자원시설 발전량 평가)

  • Eo, Gyu;Lee, Chan Hee;Sim, Ou Bae;Ahn, Jaehy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4
    • /
    • pp.355-369
    • /
    • 2018
  • The runoff will be changed in the future due to climate change, and this phenomenon affects the flood inflow to Water Resources Facilities (WRF) and its production. This study has evaluated the electric power generation of WRF in North Korea as climate change. The WRF can produce the electric power by rotating the hydraulic turbine using the energy of water. In other words, it converts the potential energy to the kinetic energy, then the kinetic energy to the electric energy.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amount of power generation of WRF in North Korea decreased from 2011 to 2040, and increased from 2041 to 2100, comparing with present. In other words, the productivity will decrease at first (2011~2040) but increase (2041~2100). It is because there will be new facilities for climate change, and the capacities of them will be getting far better than the existing facilities. The existing North Korean WRFs are vulnerable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and it is judged that the new North Korean WRFs are advantageously located in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