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음성 견갑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늑골의 골연골종에 속발된 가성 연부조직 종괴에 합병한 통증성발음성 견갑증상증후군 (Painful Snapping Shoulder Complicating Soft Tissue Pseudotumor Secondary to Rib Osteochondroma: A Case Report)

  • 문명상;전달재;김성수;윤민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7-31
    • /
    • 2014
  • 골연골종은원위 대퇴골, 근위 상완골, 근위 경골에 흔히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늑골에 발생한 골연골종은 상대적으로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좌측 제6늑골 체부에 생긴 골연골종에 의한 우발성 점액낭과 그 주변에 생긴 연부조직 가성 종류가 발음성 견갑골 증후를 야기하여 관혈적 제거수술을 시행한 1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개에서 상완이두건 변형 전위에 의한 내측 견관절 탈구의 안정화 증례 (A Modified Stabilization of Medial Shoulder Luxation by Biceps Tendon Transposition in a Dog)

  • 이호현;윤성호;장광호;권영삼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8-100
    • /
    • 2015
  • 10살령의 2 kg의 암컷 치와와가 다리를 딛지 못하는 전지파행으로 내원하였다. 촉진시 대결절은 정상 위치 보다 내측에서 촉진되었고 염발음이 간헐적으로 들렸다.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좌측 내측 견갑상완 관절 탈구로 진단되었다. 또한, 양측성으로 3기의 내측 슬개골 탈구도 관찰되었다. 외과적으로, 내측 견관절 탈구를 상완이두건 전위술로 정복하였다. 환견은 수술 6주째 정상 보행이었고 다리를 딛게 되었다.

구강암으로 변연골 절제술 시행한 환자를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로 수복한 증례 (Clinical application of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to patient who underwent mandibular resection with oral cancer: A case report)

  • 윤영석;한동후;김형준;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80-285
    • /
    • 2016
  • 하악골의 결손은 선천적 기형, 외상, 골수염, 종양 절제술 등에 의하여 초래될 수 있는데, 이중 결손부위가 큰 경우는 주로 종양절제술에 의한 결손이다. 악골 결손 부위가 커질수록 저작, 연하, 교합, 발음 등에 큰 지장을 초래하게 되며 심미적으로도 불량하여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을 주게 된다. 하악골이 절제된 후 그 자리에 완전히 재생되는 경우는 희박하며 인공적으로 재건해 주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자가골 이식을 이용한 재건술을 시행하며, 통상적인 부분의치 혹은 총의치를 시행하거나, 지지할 수 있는 골을 얻은 상태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 혹은 피개의치 등을 시행할 수 있다. 본 증례는 2004년 2월 25일, 편평세포암종 pT1N0M0, stage I로 진단 받고 구강악안면외과에서 동년 3월, 하악 좌측 부위 COMMANDO 수술(combined mandibulectomy and neck dissection operation), 광범위 절제술(wide excision), 하악골 변연절제술(marginal mandibulectomy), 견갑 설골 상부 경부청소술(supraomohyoid neck dissection, SOHND), 시행받은 환자를 하악 좌측 중절치, 하악 좌측 제3대구치 부위에 임플란트 식립하여 임플란트 보조 국소의치로 수복하였고 충분한 피개와 임플란트로의 적절한 교합력 분산을 통해 통상적인 국소의치보다 더 이로운 지지, 유지, 안정을 얻을 수 있었다. 현재까지 경과 관찰 기간은 4년 정도 되었으며, 하악 좌측 제3대구치 부위에는 주위골의 흡수양상이 관찰되어 주기적인 검진이 필요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