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음기관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Korean terminology for vocal organs (발음기관을 지칭하는 우리말 용어에 대한 고찰)

  • Shin Jiyoung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21-324
    • /
    • 1999
  • 동일한 것을 지칭하는 용어가 여러 분야에서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불리고, 심지어는 한 분야 내에서도 여러 가지 이름을 가지고 불린다는 것은 학습에 큰 부담이 될 뿐만아니라, 전문가 사이의 의사소통을 지연시키는 등 정보화에 엄청난 걸림돌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음성학에서 기본이 되는 발음기관을 지칭하는 우리말 용어들이 각 분야에서 어떻게 쓰이고 있는가를 알아 보고, 그 통일 방안을 모색해 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발음기관을 부위별로 나누어 어떠한 용어들이 어떤 분야에서 쓰이고 있는지를 상세히 알아 볼 것이다.

  • PDF

Vocal Analysis of Talking Rooster (말하는 닭의 발성 특성 분석)

  • Kyon, Doo-Heon;Bae, Myung-Ji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9 no.2
    • /
    • pp.125-132
    • /
    • 2010
  • Since the ancient times, animals that can imitate the voices of human beings have been considered extremely special. There are very few such animals, and the parrot is an example of them. For a long time, there had been no reported case of a rooster being able to mimic the voice of a human being, but talking roosters were recently found in Korea and the Kyrgyz Republic, generating much talk. In this study, the vocal characteristics of such roosters were examined, and their pronunciation-related statistics and actual sound source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even though the roostets cannot converse with people, they can imitate the human voice, uttering the words "An-dwae," and "A-ni-ya" in Korean, which mean "No" in English, when someone tries to catch their wings. A similar situation 'occurred in the Kyrgyzstan. The results of the listening survey on these sounds made by the roosters showed that most people recognized the words uttered by the roosters and that nobody thought that the words sounded like "cock-a-doodle-doo." It can be said that such roosters can make the sounds of the human voice because of their innate vocal organ and characteristics, which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eneral roosters. Their vocal organ and characteristics cause the sounds that they make to change in their vocal cords due to their high tension when humans try to catch them.

Identification of frequency determining sound generating organ of cicadas with the Helmholtz resonator structure (헬름홀쯔 공명기 구조 매미 소리의 주파수 결정 발음기관 규명)

  • Yoon, Ki-sang;Cho, Se-hyun;Jung, Yoon-sang;Lee, Dong-hyu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7 no.5
    • /
    • pp.276-283
    • /
    • 2018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a sound generating organ that has a major influence on the central frequency of the cicadas with the Helmholtz resonator structure for the first time. The sound of cicadas Cryptotympana atrata and Hyalessa fuscata were recorded and analyzed, then the motion of the tymbals was analyzed with a high-speed camera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sound and the motion of the tymbals. As a result,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calling song and scream for two species. The tymbals of C. atrata oscillated in three vibration modes, while those of H. fuscata oscillated in one mode.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both tymbals of both cicadas, and three vibration modes of C. atrata generated sound with different frequency bands. The frequency band of tymbals and the central frequency band of calling song were very similar. In conclusion, it is presumed that the frequency of the cicadas with the Helmholtz resonator structure was determined by mode frequency of the tymbals than resonance condition of the abdomen.

의사소통식 영어 발음지도

  • 김정렬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1997.07a
    • /
    • pp.45-60
    • /
    • 1997
  • 의사소통식 영어교수법은 Widdowson (1978)이래, 과거 20여 년간의 여러 외국어 교수 방법들을 (침묵식 교수법, Gattegno; 자연적 교수법, Terrell & Krashen; 전신반웅 교수법, Asher; 집단언어 학습법, Curran; 암시적 교수법, Lozanov) 거치면 서, 이들 중에서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 여러 가지 방법을 총괄하여, 명실공히 외국어 교육 방법의 중심으로 그 자리를 갈수록 확고히 잡아가고 있다. 의사소통식 교수법은 우선 언어란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이며, 의사소통은 사회 속에서 일어나는 사회 언어적 행위로 본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의 목적을 무엇보다도 의사소통 기능의 숙달에 두는 것이다. 일반적인 의사소통 상황을 보면 발화내용의 문법적 정확성은 그 상황에 대한 내용의 적절성 여부에 비하면, 부수적인 것이다. 예를 들면, 사과를 하는 의사소통기능을 공부하면서, 사과하는 표현으로 Sorry라는 말을 썼다고 하자. 이때, 영어는 주어 생략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Sorry 대신에 문법적으로 완전한 문장인 I'm sorry 로 표현해야 한다는 문법적인 문제보다는 사과하는 표현이 그 상황에서 적절하게 쓰인 것인지를 묻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것이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이다. 현재, 초등학교 16 종 영어 교과서도 의사소통 기농들을 적절한 상황에 맞춰서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의 정신을 비교적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발음에서만큼은 아직도 의사소통식 교수방법을 무시하고, 정확한 발음의 명시적인 설명이나, 예시에 그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경향은 교육부에서 고시한 제6차 교육과정과 이에 따른 해설서에서 되풀이되고 있다. 발음지도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많은 양의 지면을 할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후에 흐르는 의사 소통식 영어교육의 맥을 완전히 끊고, 단지 정확한 발음의 해부학적 예시와 기술에 그 치고 있다 (임영재 외 1995). 이러한 발음기관의 단면도를 이용한 해부학적 발음의 예시는 특정 자음의 정확한 혀의 위치를 알려 줄 수는 있지만, 발음훈련을 대신하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자전거를 타고자 하는 사람이 자전거의 페달을 밟았을 때, 그 동력전달 과정을 자세히 소개한 책자를 읽었다고 해서, 자전거를 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역시, 자전거를 타고자 하면, 실제로 타고 넘어지면서 배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발음훈련의 경우 교재의 내용이나 의사소통 기능은 의사소통식으로 가르치면서도 발음만큼은 아직도 원어민의 입모양을 활용한 듣고 따라하기 식의 전통적인 방법의 발음훈련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 발음훈련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 장에서 제시되겠지만, 초등학교에서 듣고 따라하기나 듣고 골라내기와 같은 방법으로 발음훈련을 하면, 많은 학생들이 쉽게 지루해 하고, 아마 영어시간 중에서 가장 싫어하는 시간이 발음연습 시간이 될 가능성이 많이 있다. 현재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을 모태로 한 교과서에서도 의사소통식 발음지도법을 쓰지 않았다는 것은 새로이 시작하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아쉬운 점이라 아니할 수 없다. 초등학교 학생들에 대한 발음 지도의 핵심은 그들의 지적, 정서적, 신체적 특징을 잘 고려해야 한다. 초등학교 학생은 지적, 정서적, 신체적으로 성장기에 있어서, 호기심이 많고, 모방성이 강하며, 감수성이 예민하여 마음에 상처를 받기도 쉽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끊임없이 신체적으로 움직이고 싶어한다. 이러한 학생들의 특정 을 반영하여 발음을 지도하는 길은 역시 초등학교 교과서의 다른 영역들처럼, 학생들은 움직이는 활동을 하면서 재미를 느끼고, 교사는 이들 활동을 통해서 교수목표를 성취하는 쪽으로 맞추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발음지도가 필요한 이유와 요인을 살펴본다. 그리고, 전통적인 발음지도 방법을 일별해 보고, 의사소통식 발음지도법을 제시하는 순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

  • PDF

SINABULO: pronunciation correction program to improve delayed speech development (시나브로: 언어발달지연 개선을 위한 발음 교정 프로그램)

  • Chaerin Kang;Yeonghyeon Lee;Min Gyo C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757-758
    • /
    • 2023
  • 시나브로는 언어발달지연 개선을 목적으로 발음을 교정하는 프로그램이다. TTS·STT API 를 사용하여 단어의 표준 발음을 음성 자료로 게시하고, 연습 후 사용자가 녹음한 음성에 대해 텍스트 및 시각 자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발화 발음에 대해 객관적으로 피드백을 받아들일 수 있다. 시나브로는 전문기관 방문을 동반하는 일반적인 치료 방식과 달리, 온라인 기반 웹 서비스로 제작되어 공간, 시간, 비용 등의 제약을 극복하며 높은 접근성을 제공한다.

The Investigation of Pronounciation of Primary School Students (국민학교 아동의 발음조사)

  • 소진명;박성준;김인술;김정희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72.03a
    • /
    • pp.2.1-2
    • /
    • 1972
  • The development of our social life and standard of living should stimulate our concern not only of primary treatment of disease, but also of rehabilitation and social welfare. We ordinarily understand that rehabilitation is limited to the rehabilitation of bodies, and yet development of a speech rehabilitation program is also neccessary at the same time. One of the pollutions, the "speech pollution" should be given attention, as so many children are pronouncing words incorrectly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influenced by mass communication and the wrong pronounciation of the adult. We have studies the pronounciation of 921 boys and girls of five primary schools in Chonju City, and this paper is dealing with the method of study, its result, and its casuses.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stimulate further study of speech pathology in Korea and will help eliminate "speech pollution" of the children.

  • PDF

Case Study of a Dog Vocalizing Human's Words (사람의 말을 발성하는 개의 사례 연구)

  • Kyon, Doo-Heon;Bae, Myung-Ji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1 no.4
    • /
    • pp.235-243
    • /
    • 2012
  • This paper studies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sound, and many others by distinguishing passivity and activity of the cases of a dog vocalizing human's words. As a result of the previous cases of vocalization of human's words, the dog was able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a host's voice and imitate the sound using his own vocal organs. This is the case of passive vocalization accompanied by temporary voice imitation without a function of communication. On the contrary, as a consequence of the recently reported case in which a dog vocalizes such words as "Um-ma" and "Nu-na-ya," it shows the vocalization pattern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prior cases. The given dog repeatedly vocalizes pertaining words in an active manner according to circumstances and plays a role of fundamental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with its host. The reason why the dog can vocalize the man's words actively is determined to be that the dog has a high level of intelligence and intimacy with its host, that people react actively to its pertaining pronunciation, and so forth. The following results can be used for the study that investigates animals' sound with vocalization possibility and language learning feasibility.

A Study on the Design of an Acoustic Actuator Based on the Singing Mechanism of Cicadas (매미의 발음 기제를 모사한 음향 발생 장치의 설계에 관한 연구)

  • Cho Wan-Ho;Ih Jeong-Guon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09-312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매미가 소형이면서도 광대역의 소리를 낼 수 있는 원리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중 음향 발생 장치 제작에 적용할 수 있는 요소를 도출하였다. 매미의 발음기관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복부 공명실과 진동판이다. 복부 공명실은 위상 반전형 인클로져 시스템으로 모델링 할 수 있으며, 진동판은 돔 형태의 박판으로 볼 수 있다. 근육에서 발생된 입력 신호는 진동판의 곡면에 의해 판에 좌굴을 일으켜 높은 음압의 소리를 발생시킨다. 발생된 소리는 복부를 통해 위상이 반전되어 특정 대역이 강조된다. 진동판의 가장 큰 특징은 곡면구조에 의한 비선형적인 출력이며 이를 통하여 가진 주파수와 상이한 주파수 성분들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음향 발생장치로 활용하기 위하여 단순한 곡면판의 기하학적 파라미터 변화에 따른 출력 변화 경향을 관찰 하였으며, 이러한 원리를 활용한 음향 발생장치를 구성하였다.

  • PDF

SPEECH PRODUCTION MECHANISM (발음생성기전)

  • Kim, Byoung-W.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15 no.4
    • /
    • pp.301-304
    • /
    • 1977
  • 우리인체의 언어기관은 중추신경에서부터 근육에 이르기까지 광번위한 부분이다. 언어9발성)기관을 근육의 단계에서 볼 때는 다음의 세 가지 model(모형)으로써 언어생성(발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첫째 모형은 해부학적인 모형으로써 언어생성에 어떠한 근육들이 작용하는가를 볼 수 있고 두째번 모형은 생리학적인 모형으로 언어생성과정의 기능적인 면을 볼 수 있고 셋째번 모형은 물리학적 모형으로 말소리의 물리학적인 성질을 이해하는데에 도움을 준다. 이 세 가지 모형을 이용해서 언어생성 과정을 간결하게 설명했다.

  • PDF

Development of Romanization System of Korean (한국어 로마자 변환기 개발에 관한 연구)

  • 윤방원;정태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378-380
    • /
    • 2000
  • 본 논문은 한국어 로마자의 표준안 확립을 위하 로마자 변환 테이블을 정리 및 종합하고 이를 실제 변환기로 개발하는데 필요한 과정에 대해 기술하였다. 테이블 구성을 위해 국어의 표준 발음의 전체 구성을 분석하고, 불필요한 규칙이 있거나 없을 경우의 규칙을 추가, 삭제하여, 상충이 있을 경우 우선 순위에 의해 규칙을 선택하여 규칙을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이렇게 생성된 표준 발음 테이블은 한글을 받아 적용한 수 표기별 자음과 모음의 테이블을 통해 로마자로 변환한다. 일관성 없는 규칙, 표준화의 설득력 및 홍보의 미숙등과 같은 과제로 활용의 예가 적었던 한국어 로마자 변환기는 공공기관의 지명 및 문화재 로마자의 표준화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웹 로마자 사전 제작을 통하여 표준화의 문제에 가장 중요한 객관적인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다.[3]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