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암물질

검색결과 556건 처리시간 0.023초

종이재 중의 Pentachlorophenol 정량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Pentachlorophenol in Paper Products)

  • 한애란;박지혜;최형기;홍성엽;한혜철;조병묵;오정수
    • 공업화학
    • /
    • 제16권3호
    • /
    • pp.323-327
    • /
    • 2005
  • Pentachlorophenol (PCP)은 독성이 강한 발암성 물질로 미국환경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A)이 정한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이다. 본 연구에서는 종이 중에 함유된 극미량의 PCP 측정을 목적으로 하였다. 종이의 전처리는 고상추출법(SPE)을 이용하였고 분석을 위해 PCP를 유도체화시켜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scopy-selected ion monitoring (GC/MS-SIM)으로 분석하였다. GC/MS-SIM의 분석 결과 실릴화 PCP의 분석감도가 증가되었다. 본 실험에서는 실험군으로 사무용지와 벽지를 사용하였다.

pH 변화에 따른 N-Nitrosodimethylamine (NDMA) 생성에 대한 고찰 (A Study on N-Nitrosodimethylamine (NDMA) Formation According to pH Variation)

  • 김종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90-393
    • /
    • 2005
  • 최근 발암 가능성 물질로 알려진 N-Nitrosodimethylamine (NDMA)가 미국 및 캐나다 상수도 공급시설에서 발견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H가 6, 7, 8인 조건에서 디메칠아민 농도를 0.05 mM로 고정시키고 클로라민 농도(0.001-0.1 mM) 변화에 따른 NDMA 생성 농도를 측정하였다. 디메칠아민 농도에서 NDMA 최대 생성율은 pH 7과 8에서 각각 2.4% 및 1.5%로 나타났으며, 주입 클로라민 농도가 증가할수록 생성율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pH가 7, 8인 조건에서 NDMA 생성농도와 클로라민/디메칠아민 비율 사이에 높은 연관성을 얻었다($r^2>0.99$). NDMA 생성은 클로라민 농도와 선형 연관성이 있었다.

원전 일차계통 HyBRID 제염공정 발생 폐액 내 불순물 제거 및 분해 (Removal and Decomposition of Impurities in Wastewater From the HyBRID Decontamination Process of the Primary System in a Nuclear Power Plant)

  • 은희철;정준영;박상윤;박정순;장나온;원휘준;심지형;김선병;서범경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29-435
    • /
    • 2019
  • 원전 일차계통 HyBRID 제염공정에서 발생되는 제염폐액에는 황산이온과 방사성 핵종을 포함한 금속이온 및 발암성 물질의 하이드라진을 포함하고 있어 이를 안전한 수준으로 처리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모의 제염폐액내 황산 및 금속이온의 제거와 하이드라진의 분해시험을 실시하여 황산이온, 금속이온 및 하이드라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HyBRID 제염폐액 처리공정을 도출하였으며, 1 L 규모에서의 반복실험과 Pilot 규모(300 L/batch)에서의 평가시험을 통해 도출한 HyBRID 제염폐액 처리공정의 성능 재현성과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우리나라 노출기준 초과 발암성물질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al Carcinogens Exceeding Occupational Exposure Limit in Korea, 1999 to 2009)

  • 피영규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27-235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157 processes of 145 industries that exceeded Korean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KOEL) for carcinogen during the 11 year period from 1999 to 2009. The data included number of industry and workers exposed, type of carcinogen and their exceeded ratio, type and size of industry in each year. These data were collected by 46 regional employment & labor offices in Korea using work environment monitoring reports. The result showed that, in each year, about 10 industries exceed their carcinogen exposure limit. The most common carcinogen exceeding KOEL were found to be formaldehyde, benzene, ethylene oxide and chromium VI. The carcinogen with the highest level of over-exposure were in the order of formaldehyde, benzene, ethylene oxide and asbestos. Fabricated metal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were found to be most vulnerable against carcinogen with 11.1% of them exceeding carcinogen KOEL followed by electronic components manufacturing industry (8.3%), chemical products manufacturing industry (6.3%), and electrical equipments manufacturing industry (4.9%). The industry employing less than 50 workers had the highest percentage of exceeding carcinogen KOEL with 52.8%. The result also showed that strengthening KOEL for benzene and asbestos helped reduce the level of carcinogen over-exposure. Based on these results, strengthening the KOEL or new regulation turned out to help reduce the carcinogen over-exposure level. Benzene, ethylene oxide and chromium VI were the most frequently over-exposed carcinogen with the highest level. Therefore, these chemicals need to be regulated with a highest priority to improve the workplace environment. The results also show that the small-sized industries employing less than 50 workers was the most vulnerable against carcinogen exposures. Therefore, more government support are needed for these small-sized industries to help them to improve their workplace environment.

어육 열처리 가공중의 dimethylamine(DMA)의 변화 (CHANGES OE DIMETHYLAMINE (DMA) CONTENT IN FISH MUSCLE DURING HEAT PROCESSING)

  • 류병호;이종철;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15-120
    • /
    • 1974
  • 열처리 가공중의 발암성이 있는 nitrosamine의 전구물질이 되는 dimethylamine(DMA)의 함량 변화를 실험하였다. 신선한 어육중의 DMA함량은 명태가 피등어꼴두기, 조기. 고등어 보다 월등하게 많았다. 열처리 가공중의 DMA량의 변화를 보면 생시료에 비하여 명태는 열풍건조중 1.8배, 천일건조중 16,6배 증가하였다. 고등어는 배건중에 6.3배, 통조림 가공중에는 9.5배 DMA함량이 증가하였다. 한편 명태, 피등어꼴뚜기, 조기, 고등어 육에서는 dimethylamine, diethylamine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국내생산식품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분석 (Acrylamide Monitoring of Domestic Food Products)

  • 박재영;김청태;김혜영;금은희;이미선;정소영;소유섭;이종옥;오상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872-878
    • /
    • 2004
  • 스웨덴에서 발암 가능성이 높은 물질 아크릴아마이드가 굽거나 튀긴 음식에서 검출되었다고 발표한 후 아크릴아마이드에 대한 연구가 전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식품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 다양한 식품을 선택하여 327개 식품을 분석하였다 모티터링 결과 원료식품은 ND-17 ppb, 밥은 ND-14 ppb, 떡은 ND-<10 ppb, 빵은 <10-33 ppb, 유탕면은 ND-27 ppb, 영유아식은 ND-15 ppb, 후렌치 후라이는 141-1,118 ppb, 뻥튀기 누룽지 강냉이 및 건빵은 15-587 ppb,단백질 식품은 ND-<10 ppb, 포테이토 칩, 포테이토 스낵은 278-3,277 ppb, 크래커, 스낵, 비스킷은 13-459 ppb, 시리얼은 <10-236 ppb, 차 및 음료는 ND-24 ppb, 커피는 394-1026 ppb, 초콜릿은 13-30 ppb, 사탕, 캐러멜은 ND-34 ppb, 통조림은 ND-20 ppb, 버터, 마가린 및 유제품은 ND-<10 ppb, 장류은 ND-60 ppb, 소스는 ND-51 ppb, 기타(땅콩, 호두)는 ND-13 ppb 범위의 아크릴아마이드가 검출되었다 국내 제품의 아크릴아마이드 함량은 외국에서 분석된 아크릴아마이드 함량과 비슷하였다.

서울시 일부 교통지역의 대기 부유분진 중 유기오염물질에 대한 발암 위해성 평가 (Health Risk of Organic Pollutants in the Suspended Particulates in a Traffic Area of Seoul)

  • 신동천;정용;김종만;박성은;임영욱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7권2호
    • /
    • pp.326-336
    • /
    • 1994
  •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since 1970's, Seoul has become known as one of the most heavily polluted cities in the world. This is especially because of its air pollu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haracterize the cancer risk from organic pollutants in the suspended particulates of Seoul. Extractable organic matter (EOM) and PAHs in Shinchon, a major traffic area, were measured monthly in two periods of Aug. $1987{\sim}sep.$ 1988, and Sep. $1990{\sim}Aug.$ 1991. While the differences both of EOM and benzo(a)pyrene concentrations between these two periods were not significant (P>0.05), the differences between heating and non-heating seasons were significant (p<0.01). The estimated mean concentrations of EOM and benzo(a)pyrene in fine particles in non-heating season were $3.98{\mu}g/m^3\;and\;0.51ng/m^3$ respectively, and in heating season were $6.75{\mu}g/m^3\;and\;2.96ng/m^3$ respectively, in these two periods combined. The calculated risk from EOM was compared with that from benzo(a)pyrene and also these values were compared with the level of acceptable risk.

  • PDF

서울시 대기부유분진의 농도와 다환방향족 유기물질에 의한 발암 위해성 (Airborne Suspended Particulates Concentration and Cancer Risk Assessment of Polycyclic organic matter in Seoul)

  • 박성은;정용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47-256
    • /
    • 1992
  • Airborne suspended particulates were collected at Shinchon by a high volume cascade impactor from Sep. 1990 to Aug. 1991. Organic matter was extracted from particulates and fractionated by liquid-liquid extraction and thin layer chromatography. Substances in the PAHs and nitroarenes'subfraction of neutral fraction were determined by capillary gas chromatography. Based on unit risk estimates by multi-stage model of benzo[a]pyrene and the results of exposure estimates, cancer risk was assessed.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of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was 201.77g/$m^3$. The percentage of fine particulates was 57.40. The concentration of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showed seasonal variations and was high in winter and spring.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extractable organic matter was 8.12g/$m^3$. In all, 21 PAHs were identified and quantified. The annual concentration of fluoranthene was 2.38ng/$m^3$, and that was the highest value of all PAHs. A carcinogenic compound, benzo[a]pyrene, was at a concentration of 1.84ng/$m^3$. All the 10 nitroarenes were also identified and quantified. The major nitroarene in the Shinchon area was 2,7-dinitrofluorene. The annual concentration of 1-nitropyrene was 1.56ng/$m^3$. Concentrations of PAHs and nitroarenes were high in winter and low in summer. The life time excess risk estimates of benzo[a]pyrene was calculated as 0.96 persons/a million population in this experiment. In the rank of relative potenties, carcinogenic effects of the other PAHs were calculated as 0.004-0.108 persons/a million population.

  • PDF

방사화분석법에 의한 식물 중의 Br, As, Hg, Se의 정량 (Determination of Bromine, Arsenic, Mercury, and Selenium in Plant by Neutron Activation Analysis)

  • 전세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44-149
    • /
    • 1971
  • 폐암과 담배와 밀접한 인과관계가 있음을 알게된 후, 독성원소(As, Se, Hg, Br)는 발암성 물질로서 문제화되고 있다. 특히 Se은 담배와 그 종이에도 함유되고 있음이 분석결과 나타났으며 이 무기화합물은 극히 유독하여 폐암의 원인이 되고 있지 않은가 생각된다. 그러나 이 독성원소(As, Se, Hg, Br)는 극미량이 있음으로 방사화분석으로 정량하는 것이 효과적일 줄 믿고 실험하였다. 본 실험은 한국산 및 외국제(미국산, 일본산)의 담배를 시료로 수집하여 건조한 것을 vial에 넣고 열중성자속 $3.8{\times}10^{12}n/cm\;sec$에 15시간 조사하였다. 이 시료를 Bethge 장치로 분해시켜, 수은, 비소, Br을 증류하여 TMC 100 channel pulse height analyzer로 측정 하였다. Se 분석은 $^{77m}Se\;18$초의 핵종을 이용하여 비 파괴분석하였다. 국산담배에서는 Br $5.9{\sim}8.4\;ppm$, As $0.49{\sim}0.79\;ppm,\;Hg\;0.53{\sim}0.95\;ppm,Se\;0.92{\sim}1.45\;ppm$ 함유하고 있으며, 이것을 외산담배와 Br, As, Hg, Se 함량을 비교한 결과를 발표한다.

  • PDF

Rutin의 ERK 및 JNK 신호전달체계 억제를 통한 암예방 효능 (Rutin Suppresses Neoplastic Cell Transformation by Inhibiting ERK and JNK Signaling Pathways)

  • 강남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79-585
    • /
    • 2015
  • Rutin은 메밀에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는 flavonoid 물질로서, 최근 연구들에서 rutin의 항염증 및 암예방 활성이 보고되어져 왔다. 그러나, rutin의 암예방 활성과 관련된 분자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암 과정 중 하나인 세포의 악성 변형을 EGF로 유도하여 rutin이 이를 억제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그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Soft agar assay 실험 결과, rutin은 EGF로 유도된 세포의 악성 변형을 $25{\mu}M$, $50{\mu}M$, $100{\mu}M$에서 농도별로 감소시켰다. 또한 EGF로 유도된 MEK/ERK 및 MKK4/JNK 신호전달체계의 인산화를 저해하였다. 그러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rutin은 EGF로 유도된 MKK3/6/p38 신호전달체계 인산화는 감소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rutin이 암화 과정 중 발생되는 세포의 악성변형 과정을 촉진시킨다고 잘 알려져 있는 MEK/ERK 및 MKK4/JNK 신호전달체계의 활성화를 억제함으로써 암예방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메밀의 생리활성 성분인 rutin의 암예방 생리 활성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연구 결과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위 연구결과는 MEK/ERK 및 MKK4/JNK 신호전달 체계를 표적으로 하는 생리활성 소재 탐색에도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