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암물질

Search Result 55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Galangin의 유전독성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

  • 허문영;윤여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325-325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먼저 14종의 flavonoid화합물을 대상으로 발암물질로서 잘 알려져있는 benzo(a)pyrene[B(a)P]에 대한 소핵생성억제효과를 관찰하였다. 소핵시험을 이용한 유전독성억제실험에서 비적적 큰 활성을 보이는 flavonoid는 2,3 이중결합과 3,5,7-trihydroxyl기를 갖는 polyhydroxy flavonol화합물들이었다. 이중에서 galangin은 활성이 비교적 컸으며, 이같은 유전독성억제효과는 galangin투여시 B(a)P의 대사활성화가 감소되고 활성본태산물들의 DNA binding을 저해함으로서 나타났다. 한편, galangin은 대사활성화가 필요없는 1차 발암물질인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MNNG)에 의한 소핵생성도 감소시켰다. 이러한 galangin의 alkylating agent에 대한 유전독성억제효과는 calf thymus DNA를 이용한 실험에서 DNA의 메칠화를 저해하는 기전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galangin은 mitouycin과 같은 DNA cross-linking agent에 의한 소핵생성에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동시투여(simultaneous treatment)나 사후투여(post-treatment)시보다 사전투여(pre-treatment)시에 소핵생성억제효과가 컸으며 사전연속투여(multiple Pre-treatment)시에는 낮은 용량에서도 효과가 컸다. 이러한 저용량의 사전연용투여에 의한 유전독성억제효과들은 B(a)P나 MNNG에 대해서도 잘 나타났다.

  • PDF

Assessment of human daily intake/uptake for dioxins in Korea (우리나라 성인에 대한 다이옥신의 일일 노출량 예측)

  • 양지연;신동천;임영욱;김명현;김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119-120
    • /
    • 2002
  • 소각로, 산업공정 등 다양한 배출원을 가지고 있는 다이옥신은 식품, 피부접촉, 대기 및 토양 통의 매체를 통하여 인간의 건강과 자연 생태계에 유해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환경 중 다이옥신의 배출량은 극미량이기는 하나 높은 지용성 물질로써 환경 매체간 이동 및 먹이사슬을 통해 생체농축현상을 일으키는 것이 밝혀지면서 그로 인한 유해성 야기되기 시작하였으며, 특히, 2001년 미국 환경보호청에서 다이옥신에 대한 재평가를 통해 2,3,7,8-TCDD는 인체 발암물질로, 다이옥신은 인체 발암 유발 가능 물질로 분류하고 있어, 선진국에서는 다이옥신에 대한 적극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중략)

  • PDF

식품중의 발암성 물질 -니트로소 화합물-

  • 성낙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1997.06b
    • /
    • pp.11-12
    • /
    • 1997
  • 니트로소디메틸아민이 발암성 물질이라는 것이 1954년 Barnes와 Magee에 의해 발견된 이래 이것이 지금까지 학자들에게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유는 발암력이 강하여 극미량으로도 생체내에 암을 유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발암성 물질이 신체의 특정기관에 발암작용을 나타내는데 비해 이 물질은 신체의 여러 부위에 암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이 물질이 햄, 소시지, 베이컨, 알코올음료, 김치 및 어류 가공품 등 어려 가지 식품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는 사실 등을 들 수 있다. 니트로소 화합물은 구조로 보아 티트로소아민과 니트로소아미드로 구분되는데 전자는 제 2급 아연이 산화질소 유도체와 반응하여 생성된 니트로소 유도체이과 후자는 오소, 아미드 등이 치환된 니트로소 유도체로서 화학적인 성질이나 생물학적인 작용이 상이하다. 즉 니트로소아민은 식품에서 안정한 화합물인 반면에 대부분의 니트로소아미드는 불안정하다. 지금까지 연구된 바에 의하면 3백 여종의 니트로소 화합물에 대하여 동물실험을 행한 결과 발암성이 90% 이상 인정되었다. 식품 중 니트로소 화합물의 전구물질 중 질산염과 아질산염은 식품의 가공 저장 및 조리과정 중 니트로화의 된 전구물질인데 이는 육가공품의 색소고정, Cl. Botulinum에 의한 식중독 방지 및 풍미의 향상을 위하여 수 세기 동안 식품첨가제를 사용되어 왔으며, 유럽이나 미국 등지에서는 아직도 육가공품에 아질산염의 첨가가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식품 중 니트로소 화합물에 대한 북유럽 식품 3천여 점을 분석한 결과 검출된 니트로소 화함물은 니트로소디메틸아민이 대부분이며 맥주에서 66%로 검출률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염지육 및 치즈의 순 이었다. 조리한 일본산 해산 식품 중에 니트로소디메틸아민이 최고 313$\mu$g/kg, 캐나다산 해산 건조 식품에서는 67$\mu$g/kg, 홍콩산 염건어에는 1,400 $\mu$g/kg , 훈연어류에는 N-nitrosothiazolidine이 13,700 $\mu$g/kg , 우리 나라 해산 식품 중 니트로소디메틸아민은 건조가오리, 동결건조명태, 건조오징어, 굴비 및 소건새우 등에서 2.8~86.0 $\mu$g/kg 으로서 비교적 높은 양이 검출되었을 뿐 아니라 이들 식품을 조리할 경우 3.6~13배 증가하였다. 또한 김치와 젓갈류 중에서도 니트로소디메틸아민이 검출된다는 연구가 있다. 식품 중 니트로소 화합물의 생성율 억제시키기 위하여 최근 20여년간 연구된 바를 요약하면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억제제의 첨가, 가공방법 및 조리방법의 개선이 비교적 바람직한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다. 위의 방법을 적용하여 베이컨을 조리한 결과 낮은 온도에서 오랜 시간 가열하는 것이 높은 온도에서 짧은 시간 가열한 것보다 니트로화 반응이 훨씬 낮았고 또 마이크로웨이브로 조리하는 것이 니트로소아민을 최소화 시키는 방법이었다. 염지육은 아스코르브산이나 토코페롤 등의 니트로화 억제제를 첨가할 경우 니트로소 화합물이 현저히 감소 하였는데 이는 산화질소의 소거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가공방법의 개선으로서는 가공시 식품을 공기에 노출시킬 경우 특히 직화로 가열된 공기에 노출되면 니트로소아민의 생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있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맥아를 직화로 건조할 경우 맥주 중에 니트로소 화합물이 훨씬 높은 양이 검출된다고 보고되어 있다. 대체로 식품의 가공 조리 및 저장 중 니트로소화합물에 대한 메커니즘은 상세히 밝혀져 있으나 생체내에서의 생성이나 억제 등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미흡한 실정이라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 PDF

작업환경을 위한 TLV의 근거 - N-PHENYL-${\beta}$-NAPHTHYLAMINE(1)

  • Kim, Chi-Nyeon
    • 월간산업보건
    • /
    • s.296
    • /
    • pp.10-13
    • /
    • 2012
  • N-phenyl-${\beta}$-naphthylamine(PBNA)의 수치화된 직업적 노출기준은 권고하지 않았다. 공업용 N-phenyl-${\beta}$-naphthylamine에는 불순물로 ${\beta}$-Naphthylamine포함되어 있다. ${\beta}$-Naphthylamine은 사람에서 발암성 확인물질(A1)로 ${\beta}$-Naphthylamine에 대한 TLV Documentation의 참조가 필요하다. ${\beta}$-Naphthylamine은 N-phenyl-${\beta}$-naphthylamine에 노출된 사람의 대사산물이다. N-phenyl-${\beta}$-naphthylamine은 동물실험에서 제한적으로 발암성이 증명되었지만 사람에서는 발암성이 충분하게 입증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사람에게 발암성으로 분류되지 않는 A4로 경고주석을 선정하였으며 수치화된 노출기준 없이 모든 노출경로에서 N-phenyl-${\beta}$-naphthylamine에 노출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을 권고하였다.

  • PDF

Comparative Risk Assessment Methodology: An Application to Air Pollution (비교 위험도 평가 방법의 대기 오염에 대한 적용 연구)

  • Lee, Jin-H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8 no.2
    • /
    • pp.100-104
    • /
    • 1992
  • The research in this paper centers on a comparative risk assessment for nearby air pollution by carcinogenic metal emission from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ors. If a substance is identified as a potential human carcinogen, the carcinogenicity may be related to the chemical form of a substance and the route of exposure. This type of information with regard to carcinogenic uncertainty is incorporated into hazard quantification. In addition to the dioxin emission, the metal emission from municipal solid waste incineration is found to be a major contributor to human cancer risk via the inhalation route. The magnitude of risk by metals is about 5 times greater than that of risk by dioxins. Hexavalent form of chromium and cadmium compounds are major contributors to cancer risk from metal emission. In addition, hexavalent chromium is known to be human carcinogen while 2,3,7,8-TCDD is known to be only probable human carcinogen.

  • PDF

Exposure and Risk Assessments of Multimedia of Arsenic in the Environment (환경 중 비소의 매체통합 노출평가 및 위해성평가 연구)

  • Sim, Ki-Tae;Kim, Dong-Hoon;Lee, Jaewoo;Lee, Chae-Hong;Park, Soyeon;Seok, Kwang-Seol;Kim, Younghee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8 no.2
    • /
    • pp.152-168
    • /
    • 2019
  • The element arsenic, which is abundant in the Earth's crust, is used for various industrial purposes including materials for disease treatment and household goods. Various human activities, such as the disposal of soil waste, metal mining and smelting, and combustion of fossil fuels, have caused the pollution of the environment with arsenic. Recently, guidelines for arsenic in rice have been adopted by the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o prevent health risks based on rice consumption. Because of the exposure to arsenic and its accumulation in the human body through various channels, such as air inhalation, skin contact, ingestion of drinking water, and food consumption, integrated multimedia risk assessment is required to adopt appropriate risk management policies. Therefore, integrated human health risk assessment was carried out in this study using integrated exposure assessment based on multimedia (e.g., air, water, and soil) and multi-route (e.g., oral, inhalation, and dermal) scenarios. The results show that oral uptake via drinking water is the most common pathway of arsenic into the human body, accounting for 57%-96% of the total arsenic exposure. Among various age groups, the highest exposures to arsenic were observed in infants because the body weight of infants is low and the surface areas of infant bodies are larg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osure assessment, the cancer and non-cancer risks were calculated. The cancer risk for CTE and RME is in the range of 2.3E-05 to 6.7E-05 and thus is negligible because it does not exceed the cancer probability of 1.0E-04 for all age groups. On the other hand, the cancer risk for RME varies from 6.4E-05 to 1.8E-04 and from 1.3E-04 to 1.8E-04 for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exceeding the excess cancer risk of 1.0E-04. The non-cancer risks range from 5.4E-02 to 1.9E-01 and from 1.5E-01 to 6.8E-01, respectively. They do not exceed the hazard index 1 for all scenarios and all ages.

Effect of Korean Mistletoe Extract and Lectin on the Preneoplastic Hepatic Lesion and Apoptosis in Experimental Hepatocarcinogenesis (실험적 간암모델에서 한국산 겨우살이 추출물 및 렉틴 투여가 전암성 병변의 생성 및 Apoptosis에 미치는 영향)

  • 김미정;김정희;이미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1 no.5
    • /
    • pp.782-787
    • /
    • 2002
  •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Korean mistletoe water extract and lectin on the apoptosis and preneoplastic lesion in chemically induced rat hepatocarcinogenesis. To attain the above objectives, weanling Sprague-Dawley male rats were fed modified AIN-76 diets containing 10% corn oil for 9 weeks. One week after feeding starts, rats were intraperitoneally injected twice with a dose of diethylnitrosamine (DEN, 50 mg/kg body weight (BW). Rats were provided with 0.05% phenobarbital (PB) in drinking water from one week after DEN treatment until the end of experiment. During the period of PB treatment, rats were injected with mistletoe extract (100 $\mu\textrm{g}$/kg BW) and lectin (10 $\mu\textrm{g}$/kg BW) twice a week. At the end of 9th week, rats were sacrificed and the formation of hepatic glutathione S-transferase placental form positive (GST-P$^{+}$) foci, apoptosis, DNA fragmentation and apoptosis related proteins were determined respectively. The formation of GST-P$^{+}$foc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mistletoe extract or lectin treatment. Although there was no effect on apoptosis and DNA fragmentation in hepatic tissue by mistletoe extract or lectin treatment, caspase-9 and fas-L were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Korean mistletoe extract and lectin have a potential to inhibit hepatocarcinogenesis by increasing apoptosis.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