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발성장애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31초

피열연골내전술과 제1형 갑상연골성형술을 이용한 성문후부부전에 의한 발성장애의 치료 1례 (Treatment of a Case with Dysphonia due to Posterior Glottic Chink using Arytenoid Adduction and Type I Thyroplasty)

  • 최홍식;최재진;김광문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4년도 제2회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집
    • /
    • pp.87-87
    • /
    • 1994
  • 편측 성대마비에 의한 부전의 수술적 치료로는 그 동안 테플론주입에 의한성대내측전위술, 제1형 갑상연골성형술, 또는 피열연골내전술 등이 이용되었으며, 성대부전이 심하거나 성대높이에 차이가 있을 때는 제1형 갑상연골성형술 등에 비해 피열연골내전술이 좋은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성대의 움직임은 있으면서 뒷쪽에 심한 성대부전(posterior glottic chink)을 보이는 경우에는 아직은 특별한 수술적인 방법이 없는 바, 저자들은 갑상선 부분절제술 후에 생긴 양쪽성대의 움직임은 있으면서 성문 뒷쪽에 심한 부전을 보인 발성장애 환자 1례에서 제1형 갑상연골성형술과 동시에 피열연골내전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중략)

  • PDF

정상으로 보이는 후두에서 음성변화의 감별진단 (Differential Diagnosis of Dysphonia Looks Normal Larynx)

  • 손호진;최승호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1-94
    • /
    • 2016
  • Voice is a physical phenomenon, generated by vocal fold and expiratory airflow. Dysphonia should come from abnormal vocal fold and airflow. Occassionally larynx looks normal in show, but it is actually not. There should be undetected structural or functional abnormalities. So when ENT doctors face dysphonia patients who looks normal larynx, should make a diagnosis through close observation. In this review article we present some dysphonia diseases which looks normal larynx. For example vocal fatigue, vocal fold paresis, posterior glottic diastasis, muscle tension dysphonia and psychogenic dysphonia.

  • PDF

외전형 경련성 발성장애 환자 음성의 음향학적 특성 - 증례보고 - (Abductor Spasmodic Dysphonia : Acoustic Evaluation - A Case Report -)

  • 송윤경;진성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60
    • /
    • 2010
  • Spasmodic dysphonia is a focal dystonia of the larynx and breathy voice is a typical sign of abductor spasmodic dysphonia. A group of patients with abductor spasmodic dysphonia have a number of acoustic characteristics including abnormal fundamental frequency fluctuations and abnormally long word duration. We report a abductor spasmodic dysphonia case have enlongated voice onset time voiceless consonants and breathy voice in wide band spectrogram. The patient hav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nly in telephone speaking at work time. We treated the patient with anticholinergic and anticonvulsant drug and supplementary voice therapy. The breathy voice and enlongated VOT were disappeared after those treatment.

  • PDF

후두의 신경섬유종 (Neurofibroma of the Larynx)

  • 김종선;윤태현;노관택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9년도 제13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9.5-9
    • /
    • 1979
  • 후두에 발생한 신경성종양은 극히 드물 질환이며 신경초종 혹은 신경섬유종이 나타난다. 현재까지 약 100례 이하의 신경성종양의 보고가 있으며 이들중 신경섬유종양과 동반된 예는 20례에 불과하다. 주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발성장애와 언어장애등이 있으며 어느 연령에나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2례의 후두의 신경섬유종을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1은 선천성후두신경섬유종으로 2개월된 남아는 생후즉시로 부터 심한 호흡곤란과 발성장애가 있었으며, 증례 2는 28세의 여자에서 다발성신경섬유종증(von Recklinghausen's disease)에 동반하여 후두에 신경섬유종이 발생한 예이다. 본 논문에서 자자들은 증례보고와 함께 문헌고찰을 하고자 한다.

  • PDF

변환실성증 사례에서의 발성 양상 및 음성치료 보고

  • 윤영선;이은경;백정환;손영익;추광철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9년도 제12회 학술대회
    • /
    • pp.184-184
    • /
    • 1999
  • 배경 : 변환실성증(conversion aphonia/dysphonia)은 심리적 요인으로 인해 기질적 문제없이 기능적으로 발성장애를 보이는 경우로, 음성치료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실제 임상의 예가 적어 상기 질환에 대해 진단적 기준 또는 음성 치료의 효과에 대한 보고가 적은 편이다. 본원에서는 지난 3년간(96/7-99/6) 총 5례만이 상기 진단을 받았고, 이들 중 4례에서 음성치료가 시행된 예가 있었다. 목적 : 변환실성증의 발성 양상과 감별기준, 음성치료의 중재 방법 및 효과를 사례를 통해 보고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전 성대격막의 치료 (THE TREATMENT OF ANTERIOR GLOTTIC WEB)

  • 김광현;김홍종;장근호;김진영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31-31
    • /
    • 1991
  • 후두격막은 1822년 Fleichman이 호흡곤란과 발성장애를 야기한 례를 최초로 보고하였으며 선천성으로나 후천성으로 발생할 수 있다. 선천성후두격막은 태생 10주경의 후두발생장애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성문부위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며 후천성후두격막은 감염, 외상, 수술 및 방사선조사 후 발생한다. 저자들은 최근 1례의 선천성후두격막과 4례의 후천성후두격막환자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갑상선 절제술 후 발성 장애의 병인 (Pathogenesis of the Post-Thyroidectomy Dysphonia)

  • 박준희;도남용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6-20
    • /
    • 2015
  • Post-thyroidectomy dysphonia occurs very frequently. Causes of dysphonia include recurrent laryngeal nerve (RLN) or external branch of superior laryngeal nerve (EBSL) injury, intubation, laryngotracheal fixation and other causes. Patients commonly characterized hoarseness or their voice impairment inability to short or sing and loss of loudness. Although complete recovery can be expected mostly in 3 months without obvious nerve injury, dysphonia lowers patients quality of life. The present review discuss the very kinds of causes of post-thyroidectomy dysphonia.

  • PDF

기능성 음성장애에서 보툴리늄 독소의 임상적 적용 (Clinical Application of Botulinum Toxin to Functional Dysphonia)

  • 김한수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14
    • /
    • 2019
  • Functional dysphonia (FD) is a disease entity which includes various voice disorders in the absence of structural or neurologic laryngeal pathology. Muscle tension dysphonia (MTD), psychogenic dysphonia are representative FD with completely different pathogenesis. Therefore there is no standard treatment modality for FD, the first step of treatment of FD is differentiating patient's voice symptoms from other organic voice disorders and other functional voice problems. MTD is a functional voice disorder caused by hyperfunction of intrinsic and extrinsic laryngeal musculature. Symptoms include increased vocal effort, roughness, fatigue and odynophonia. First line for MTD is indirect or direct voice therapy. Unfortunately, many patients with MTD improve with voice therapy alone. For these patients, various modalities tried; lidocaine application, surgical excision of the false vocal folds, and botulinum toxin injection, etc. Botulinum toxin injections are widely used in the field of otolaryngology, especially for spasmodic dysphonia. However, its use in FD or MTD has only been described in few case reports. The aim of this lecture is to evaluate the feasibility of botulinum toxin injection for FD, especially MTD.

성대결절이 있는 서양음악을 전공한 성악도의 발성에 대한 음성분석학적 특징

  • 진성민;김대영;이경철;이용배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8년도 제10회 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181-181
    • /
    • 1998
  • 목적 : 성대결절이 있는 서양음악을 전공한 성악도들의 발성시 음향학적 특징과 문제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음악대학교 성악과에서 소프라노를 전공하는 학생으로, 음성장애로 인하여 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없으면서 성대화상술 검사상 성대결절이 확인된 18세부터 25세 사이의 여학생 10명을 대상군으로 하고, 성대결절이 없는 성악도 2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평소 발성상의 문제점과 연주시의 문제점에 대한 설문조사와 음성분석을 시행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