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생적 적응

Search Result 1,657, Processing Time 0.059 seconds

Implementation of Compression-based ECC for Flash Memory Storage System (압축과 적응적 ECC를 활용한 플래시 저장 시스템의 구현)

  • Kim, Ki-Jin;Lim,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30-32
    • /
    • 2017
  •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데이터 용량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서 저장장치로 널리 사용되게 되었으나, 마찬가지로 급격히 증가하는 에러 발생률에 의해서 저장장치의 신뢰성에 문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에러 발생에 대한 보정을 위해서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ECC 기법을 사용하는데, 본 논문에서는 압축기법을 활용하여 줄어든 유효 데이터에 대한 적응적 ECC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에러 발생시 에러 보정능력을 향상시켜줄 수 있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에러 보정방법을 통해서 낸드 플래시 메모리 기반의 저장 시스템에 대한 에러 발생률이 낮아짐을 보여주고 있다.

Analysis of Burst Detection Based on Adjustable Sampling Interval (가변적 샘플링 기반한 누수탐지 분석)

  • Kim, Seong Won;Jeong, An Chul;Jung, Kwan 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92-292
    • /
    • 2015
  • 최근 상수관망의 물 공급 과정에서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물의 손실에 따른 비용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급수시스템의 경우에는 파열 및 누수발생과 관련되어 사용되는 비용은 분실되는 물의 직적비용, 급수시스템 수리에 따른 공사비용, 공급중지와 관련된 사회적 비용이 있다. 파열 및 누수를 신속하게 감지하는 것은 물 손실에 의해 발생하는 직접 및 간접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정기적으로 매년 1회 시행되는 상수관로에 대한 누수탐지작업으로 신속한 감지 및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관에서 발생되는 파열 및 누수를 탐지하기 위하여 블록 유입부에 설치된 유량계의 샘플링 간격의 영향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적응칼만필터 알고리즘을 이용한 가변 샘플링 간격은 최대 최소 샘플링 간격과 정규화된 잔차의 상한값과 하한값 도입하여 제시하였다. 샘플링 간격의 효과를 강조하기 위해 사인 곡선, 사다리꼴 파열, 불규칙 잡음으로 구성된 가상의 유량 데이터로 알고리즘에 대한 검증실험을 진행하였고 실험 결과 샘플링 간격이 길수록 긴 시간 동안 누수 및 파열에 대한 작은 잔차를 발생시켰다. 모의실험결과 샘플링 주기를 변경함으로써 분석에 필요한 유량 데이터의 샘플수를 크게 줄일 수 있었다.

  • PDF

The Study of Error Correctment with Adaptive FEC(Adaptive Forward Error Correction) (적응형 FEC(Adaptive Forward Error Correction)를 이용한 에러 복구에 관한 연구)

  • 김상형;신정아;조재상;이성인;유우종;유원경;유관종;김두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304-306
    • /
    • 2003
  • 최근 이질적인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서비스할 수 있는 연구가 광범위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따라서 유동적인 네트웍 상황에 맞추어 전송되는 스트리밍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보다 우수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기회를 준다.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서비스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스트리밍 데이터의 에러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법인 적응형 FEC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량을 최소화하면서 고화질 영상의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 PDF

Strategy for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a Long-term Heatwave Plan Address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따른 폭염 중장기적 적응대책 수립 및 관리 방안)

  • Choi, Jihye;Ha, Jongsik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4 no.3
    • /
    • pp.21-40
    • /
    • 2015
  • Heat waves are not new, but due to climate change,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and severity of heat waves increases, which results in more adverse impacts and damages on local community. Accordingly, the need to tackle heat waves in a more comprehensive and precautionary manner increases. Our study therefore lays emphasis on 1) a long-term plan which not only includes short-term plans in response to the observed damages, but also incorporates relevant sectors to deal with potential impacts in longer term perspective; and 2) a mechanism to manage and adjust the plan in a sustainable manner. In doing so, it examines the impacts of heatwaves and existing plans to tackle them. Based on that, two key conceptual frameworks, namely policy integration and adaptive management, are applied to provide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a long-term adapting heatwave plan addressing climate change.

  • PDF

The Regional Human Ecosystem and Cultural Adaptation in Rural Korea (한국 농촌의 지역인간생태계와 문화적 적응)

  • 류제현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spc
    • /
    • pp.697-707
    • /
    • 1998
  •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의 역사적 변천을 인구변화와 자원관리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기존 관점은 인구기초이론, 기술기초이론, 시장기초이론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관점은 어느 한가지 변수를 독립 변수로 가정하는 입장을 취하므로 흔히 '단일요소이론'이라고 불리며, 제각기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현실 세계의 복합성을 단지 부분적으로 설명하는데 그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현실세계의 모든 사건은 개방된 체계 속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모든 사건은 단선적인 인과관계로 파악될 수 없을 만큼 서로 복합하게 얽혀 있다. 이에 대하여 문화생태이론은 단일요소이론의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현실세계의 복합성을 분석할 수 있는 개념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생태이론은 실로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가 역사적으로 변천해 온 과정을 탐구하는데 적합한 개념과 방법을 장점으로 내세우는 새로운 관점이라 할 수 있다. 문화생태이온은 인구, 기술, 시장, 제도 등 요소의 중요성이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어떠한 요소라도 어느 한 장소와 시점에서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한국 농촌의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를 탐구함에 있어서 활성되어야 할 문화생태이론의 기초적인 개념은 '지역인간생태계'와 '문화적 적응'이다. 한국 농촌의 지역인간생태계는 그 특성상 인구, 농업, 시장, 제도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문화적 적응이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사회구성원들의 환경에 대한 적응도를 높일 수 있는 행동양식을 새로이 선택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한국 농촌에서는 적응전략이란 농업의 집약화와 상업화 또는 산아제한과 인구이동이라는 측면에서 분석될 수 있을 것이다. 생존, 기술, 취락형태, 토지이용, 무역이나 교역 등은 적응전략을 분석하는데 간접적인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 PDF

Adaptive control of Runout in Active magnetic bearing (능동 자기베어링 런아웃의 적응제어)

  • 김재실;배철용;이재환;안대균;최헌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4a
    • /
    • pp.333-338
    • /
    • 2002
  • 자기베어링의 회전정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PWM 전력증폭기, 위치 센서 등과 같은 자기베어링 구성 장치의 동특성 및 정밀도, 시스템의 정확한 모델링, 제어기법, 런아웃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능동 자기베어링을 제어하기 위해 자기베어링의 PWM 전력증폭기와 회전축을 모델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능동 자기베어링 제어를 위한 PID 제어기를 구성하였으며, 변위 센서의 부착위치 및 회전축의 진원도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주기적인 런아웃 요소를 첨가하여 런아웃의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런아웃 (Runout)에 의해 발생하는 에러(Error)를 효과적으로 제어하여 자기베어링의 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기본적인 PID 제어기에 최소평균자승(Least Mean Square, LMS) 알고리즘을 적용한 적응 피드포워드 제어기를 구성하여 자기베어링의 능동 제어에서 발생하는 주기적인 런아웃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MATLAB을 통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 PDF

Video Quality Control Scheme Based on Segment Throughput and Buffer Occupancy for Improving QoE in HTTP Adaptive Streaming Service (HTTP 적응적 스트리밍 서비스의 QoE 향상을 위한 세그먼트 처리량과 버퍼 점유율 기반의 비디오 품질 조절 기법)

  • Kim, Sangwook;Yun, Dooyeol;Chung, Kwangsue
    •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 /
    • v.21 no.12
    • /
    • pp.780-785
    • /
    • 2015
  • Recently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adaptive streaming services have been the subject of much attention. The video quality control scheme of conventional HTTP adaptive streaming services estimates bandwidth using segment throughput and smooths out the sample of segment throughput. However, the conventional scheme has the problem of QoE (Quality of experience) degradation occurring with buffer underflow and frequent quality change due to the fixed number of sample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video quality control scheme based on segment throughput and buffer occupancy. The proposed scheme determines the number of sample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segment throughput. The proposed scheme also controls video quality based on the threshold of bitrate to keep stable buffer occupancy.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proposed scheme improves QoE by preventing buffer underflow and decreasing quality change whe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cheme.

Adaptive Noise Reduction Algorithm for Image Based on Block Approach (블럭 방법에 근거한 영상의 적응적 잡음제거 알고리즘)

  • Kim, Yeong-Hwa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19 no.2
    • /
    • pp.225-235
    • /
    • 2012
  • Noise reduction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field of image processing because image noise worsens the quality of the input image. The basic difficulty is that the noise and the signal are not easy to distinguish. Simple moothing is one of the most basic and important procedures to remove the noise, however, it does not consider the level of noise. This method effectively reduces the noise but the feature area is simultaneously blurred. This paper considers the block approach to detect noise and image features of the input image so that noise reduction could be adaptively applie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improves the overall quality of the image by removing the noise according to the noise level.

A Study on Real Time Implementation of an Adaptive Digital Filter Using a Sub-band Structure (SUB-BAND 적응 디지털 필터 실시간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 류차희;윤대희;유재하;차일환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6
    • /
    • pp.13-20
    • /
    • 1993
  • 충격 응답 시간이 긴 시스템을 모델링하기 위한 실시간 적응 디지털 필터를 구현하였다. 대상 시스템의 충격 응답 시간이 길 때, 일반적인 적응 디지털 필터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하는 수렴 속도 저하와 계산량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서브밴드 구조를 갖는 적응 디지털 필터를 구성하였다. 실시간 처리 시스템에서는 GQMF을 사용하여 입력 신호를 4개 대역으로 분할하여 각 대역별로 적응 필터링을 수행함으로써 수렴 속도를 향상시킨다. 또한 대역별 신호를 동시에 분산 처리하기 때문에 계산량 면에서 효율적이므로 시스템의 충격 응답이 긴 경우에는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다. 하드웨어 구성은 범용 신호 처리 프로세서인 DSP56001을 호스트 프로세서로 사용하며, 적응 디지털 필터 칩 DSP56200을 사용하여 각 대역 적응 필터를 구성하였다. 실험은 충격 응답 시간이 16 kHz 필터링 시 2000 탭 길이로 가정된 시스템을 대상으로 부동 소수점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시간 처리 시스템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밴드를 나누지 않은 기존의 방법과 서브밴드 시스템의 비교 실험 결과 입력이 백색 잡음인 경우 대역별 간섭에 의한 성능 저하가 있었으나, 음성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유색 잡음인 경우 서브밴드 시스템이 단일 시스템에 비해 성능 향상을 보였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the Adaptive Array Antenna Base Station System using LMS Estimator (LMS 추정기를 이용한 적응 배열 안테나 기지국 시스템의 성능 평가)

  • Lee Mi-Jin;Ha Jung-Woo;Byon Ku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917-920
    • /
    • 2006
  • In mobile environments, their is more than one propagation path between each transceiver and Receiver have two or more delayed multipath signals. Delayed multipath signals can cause ISI and Receiver needs a adaptive algorithm to estimate a channel periodically. Also adaptive antenna using adaptive algorithm provide a significant increase in capacity, performance and coverage. This paper describes various LMS algorithm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array antenna Base station by using LMS algorithm in the presence of multipath signals and multiple users. As a result of simulation, Adaptive array antenna systems are able to adjust their antenna pattern to select desired signals, and reduce interfer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