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생생태

Search Result 1,944,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수중보 철거의 타당성 검토 - 섬진강 수중보를 대상으로 -

  • Kim, J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28-932
    • /
    • 2008
  • 본 연구는 국가하천인 섬진강 내에 하상세굴 방지를 위하여 설치한 섬진강 수중보가 하천의 수질오염 가중, 하천 생태통로 차단, 홍수 소통능력 저해 등의 문제점에 따른 방안으로 이를 철거하자는 의견이 제시되어, 수중보(낙차공)의 철거 여부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수행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 철거시 고려할 사항으로서 보의 철거 기준, 하천의 물리적 및 수질특성 변화, 하천의 생물상 변화를 검토하였다. 섬진강 수중보를 철거함으로써 기대되는 가장 큰 장점은 생태이동 확보와 수질 개선 및 홍수소통 능력 향상이었다. 그러나 섬진강 수중보는 보의 기능 외에도 낙차공의 기능까지 겸하고 있으며, 만약 수중보를 철거할 경우 하천의 급경사에 따른 과다한 하상세굴, 상수도 취수시설의 용수수급 불가능, 문척교 교각의 세굴 발생 및 기초의 안정성 문제점, 지류와의 단차, 서시천 농업용수 취수시설의 용수 수급 불가능이 발생되며, 이를 해결해야지만 섬진강 수중보를 철거하는 단계로 진전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 PDF

Evaluation of Landscape Ecology Indices of Gap Stream Basin on Impervious Cover Changes (갑천 유역의 불투수율 변화에 따른 경관 생태학적 지표의 평가)

  • Choi, Jin-Young;Kang, Moon-Seong;Bae, Seung-Jong;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63-1268
    • /
    • 2010
  • 불투수면 비율은 유역의 건전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서 도시화에 따른 도시유출의 특성을 추적하는 모델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고, 기존의 많은 연구를 통해서 수환경과의 밀접한 관계가 검증되었다. 불투수율은 비교적 쉽고 빠르게 측정할 수 있으며 유역계획에서 여러 가지 대안 적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용한 지표로 이용되고 있다. 오늘날 토지이용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유역생태계 변화 분석 등은 시,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명확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인간활동에 의한 토지이용의 파편화(Fragmentation)가 어느 정도 발생하고 있는가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파편화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관분석 프로그램인 FRAGSTATS의 적용을 위한 경관요소로서 토지피복을 선정하여, 불투수면을 나타내는 시가화지역과 투수면을 나타내는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1) 갑천 유역의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경관구조,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2) 갑천 유역 내 6개 단위유역별로도 경관 생태학적 지표를 선정하여 이를 평가하였다.

  • PDF

광양만 종합개발에 따른 섬진강 하구역의 해양생태변화 1. 엽록소 $\alpha$량의 시ㆍ공간적 분포 특성

  • 윤양호;한명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16-218
    • /
    • 2001
  •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광양만 및 인근해역은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에 의해 다량의 생활하수와 산업배(폐)수가 유입되면서 매우 빠르게 부영양화가 진행되게 되어 급격한 생태계의 천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연안해역의 개발과 인위적 부영양화 과정에 따른 생태계 천이과정을 추구하는 한가지 수단으로 외부 환경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시ㆍ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보았다. (중략)

  • PDF

Impact Assessment on the Forest Systems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the Global Warming (지구온난화로 인한 한반도 삼림의 영향 평가)

  • Jung, Hui-Cheul;Jeon, Seong-Woo;Lee, Dong-K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5 no.5
    • /
    • pp.1-10
    • /
    • 2002
  • 우리나라의 기후변화연구에서 삼림생태계의 영향과 적응은 가장 중요한 관심사중 하나이다. 지리적 위치와 통일문제 등을 고려할 때, 한반도는 역동적인 개발이 이루어질 지역이며 인구와 경제적 상황의 변화로 삼림 생태계에 급격한 변화가 예상된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이러한 상황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IS92a 시나리오의 GCMs(General Circulation Models)결과들을 이용하여 가능한 기온 증가 범위내에서 삼림생태계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변화를 추정하기 위해 AIM/Impact[Korea](the Asian-Pacific Integrated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시기별 Holdridge 생물기후대를 예측하고 목본식물의 이동속도를 고려한 지역삼림의 영향 및 적응 패턴을 분석하여 생태계 변화로 인한 경제적 가치 손실액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목본식물의 추정 평균이동속도 0.25km/년의 경우, 한반도에서 삼림소실지역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인위적 개입이 없는 경우 고사의 위험이 높은 지역은 남한의 경우 남한 총면적의 14%를 차지하였고, 북한은 18%정도의 면적이 고사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한 고사위험지역의 80%는 난온대림 지역으로 주로 남해일원과 전라도 서해안에서 발생하며, 북한은 고사위험지역의 대부분이 냉온대림지역으로 주로 평안도 내륙지역과 중국 접경지경, 함경남도의 영흥만 북부에서 나타났다. 2) 목본식물의 이동속도 변화에 따라 남한은 매년 0~976백만불, 북한은 0~2,492백만불 범위의 경제적 가치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목본식물의 추정 평균이동속도가 0.25km/년일 경우, 한반도 전체의 가치손실액은 매년 3,471백만불에 달했으며, 남한의 경우 목본식물의 이동속도가 0.5km/년 이상인 경우 삼림의 경제적 가치 손실은 발생하지 않았다.

GIS Application in Weed Management System - 2. Difference between Ecological Analysis and GIS analysis of Weed Population (GIS 이용 잡초관리체계 연구 - 2. 논잡초 분포의 생태학적 분석과 GIS 분석의 차이)

  • Park, Kwang-Ho
    • Korean Journal of Weed Science
    • /
    • v.18 no.4
    • /
    • pp.364-370
    • /
    • 1998
  • A weed population has been mainly analyzed through vegetative analysis method in ecology. However, this method is difficult to understand a detailed feature of weed dominance in terms of region and a particular weed species. Since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ol has been introduced, this constraint was able to be solved. GIS analysis for the nationwide weed survey data in 1981 revealed that most predominant weed was Monochoria vaginalis and this species predominated mostly in a western part of Chungnam, a part of Kyunggi, a northern and southern part of Kyungbuk province of Korea. Eleocharis kuroguwai which was the most predominant weed species in 1992 was occurred at southern part of Kyunggi, central and western parts of Chungnam, and southern western part of Chumnam at the GIS analysis. GIS analysis was proven to give much more detailed information than vegetative analysis of weed population and this means that a data analysis by GIS would be used for operating a high effective control strategy against target weed species and site.

  • PDF

Risks Incurred by Release of Animals into the Natural Ecosystem in Korea and Its Risk Management (국내 동물의 야생생태계 방출로 인한 위해성 및 위해성 관리방안)

  • Bang, Sang-Weon;Kim, Ae-Sun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0 no.1
    • /
    • pp.3-25
    • /
    • 2011
  • Recently, a number of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private organizations have spearheaded the release of animals into the natural ecosystem in Korea. In 2002, most of these animals released were mammals and birds, but the parameter was gradually expanded to include fish, amphibians, and invertebrates in addition to mammals and birds in 2007, with an increased overall number of animals released. Such increase has not only posed ecological, economic, and public health risks, but also yielded an increase in damages incurred by releasing animals historically or ecologically alien to a given region without thorough risk assessment. The most significant cause of such risks was a critical lack of risk management and regulatory schemes addressing the release of animals into the natural ecosystem. In stark contrast, developed countries long before established the requisite risk management and regulatory schemes either by complying with the IUCN/SSC's Guidelines for Re-Introductions or devising them independently.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has examined the release of animals into the natural ecosystem in Korea and, based on the investigation, asserted a strong need for proper risk management. Moreover, the study has presented systematic risk management and regulatory schemes suitable for the Korean milieu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f those employed in developed countries.

  • PDF

Impact of arctic fire on the water cycle using GFED datasets and Community Land Model (화재 자료와 CLM 모형의 융합을 통한 화재의 극지방 물순환 영향)

  • Seo, Hocheol;Kim, Yeon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00-100
    • /
    • 2021
  • IPCC 5차 보고서에 따르면 지구 평균 기온상승은 저위도 보다 극지방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며 이러한 기후변화는 극지 생태계의 변화를 초래한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따른 극지 생태계의 변화를 분석 및 예측하기 위하여 지면-생태계 모형을 구축하고 극지방 생태계, 수문 및 탄소 순환 등을 모의하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최근 극지 지역에서는 기후변화로 인하여 화재 발생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극지 생태계뿐 아니라 물순환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지면-생태계 모형안의 화재 시뮬레이션은 화재의 원인 파악의 부족, 입력자료의 부족, 화재 역학 이해의 부족 등의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2001~2012년 동안 위성에서 관측된 화재면적 자료인 Global Fire Emissions Database (GFED) v4 자료와 지면-생태계 모형인 NCAR Community Land Model (CLM)-biogeochemistry (BGC) 와의 실시간 융합을 통하여 기존 화재 시뮬레이션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기존 CLM-BGC 모형을 통한 증발산량, 화재 자료-모형의 융합을 통한 증발산량 결과와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증발산량 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증발산량 모의에 화재의 중요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유출량 뿐만 아니라 토양수분의 변화를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화재가 극지방 물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극지방의 생태계 및 물순환을 모의하기 위하여 화재 시스템 구축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