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생생태

Search Result 1,96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 Introductory Research for Development of Soil Ecological Risk Assessment in Korea (토양생태 위해성평가 제도 국내 도입방안 연구)

  • An, Youn-Joo;Kim, Shin Woong;Moon, Jongmin;Jeong, Seung-Woo;Kim, Rog-Young;Yoon, Jeong-Ki;Kim, Tae-Se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9 no.6
    • /
    • pp.348-355
    • /
    • 2017
  • Human activities have resulted in soil pollution problems to us. Huma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have been suggested as an efficient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y for protecting human and ecosystems from soil pollution. However, Korean environmental policy is currently focused on human protection, and fundamental researches for ecology protection are required for institutional framework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schematic frame of Korean soil ecological risk assessment, and suggested the basic information for its application. This study suggested a soil ecological risk assessment scheme consisting of 4 steps for derivation of Predicted-No-Effect-Concentration (PNEC): 1) ecotoxicity data collection and reliability determination, 2) data standardization, 3) evaluation of data completeness for PNEC calculation, and 4) determination of ecological-risk. The reliability determination of ecotoxicity data was performed using Reliability Index (RI), and the classification of domestic species, acute/chronic, toxicity endpoint, and soil properties was used for data cataloging. The PNEC calculation methodology was determined as low-reliability, middle-reliability, and high-reliability according to thei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vels of ecotoxicity data. This study would be the introductory plan research for establishment of Korean soil ecological risk assessment, and it can be a fundamental framework to further develop guidelines of Korean environmental regulation.

Morphology and Ecological Milieu of Keum-gae River basin in Andong Province (안동 금계천 유역의 지형과 생태 환경)

  • KEE, Keun-Doh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7 no.4
    • /
    • pp.99-110
    • /
    • 2010
  • This study elucidates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limatic, morpological, and hydraulic milieu in the drainage basins of Keum-gae river from the viewpoint of ecogeography. The region of this basin is located at low-relief hills. Because hills are made up of granitic regolith by deep weathering, the rate of permeability is very high. And, the speed of drainage is very fast, and the deficit of water easily revealed and BOD is very high. Therefore a great deals of efforts are needed for the maintenance of stable milieu.

The Regional Human Ecosystem and Cultural Adaptation in Rural Korea (한국 농촌의 지역인간생태계와 문화적 적응)

  • 류제현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spc
    • /
    • pp.697-707
    • /
    • 1998
  •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의 역사적 변천을 인구변화와 자원관리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기존 관점은 인구기초이론, 기술기초이론, 시장기초이론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관점은 어느 한가지 변수를 독립 변수로 가정하는 입장을 취하므로 흔히 '단일요소이론'이라고 불리며, 제각기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현실 세계의 복합성을 단지 부분적으로 설명하는데 그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현실세계의 모든 사건은 개방된 체계 속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모든 사건은 단선적인 인과관계로 파악될 수 없을 만큼 서로 복합하게 얽혀 있다. 이에 대하여 문화생태이론은 단일요소이론의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현실세계의 복합성을 분석할 수 있는 개념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생태이론은 실로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가 역사적으로 변천해 온 과정을 탐구하는데 적합한 개념과 방법을 장점으로 내세우는 새로운 관점이라 할 수 있다. 문화생태이온은 인구, 기술, 시장, 제도 등 요소의 중요성이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어떠한 요소라도 어느 한 장소와 시점에서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한국 농촌의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를 탐구함에 있어서 활성되어야 할 문화생태이론의 기초적인 개념은 '지역인간생태계'와 '문화적 적응'이다. 한국 농촌의 지역인간생태계는 그 특성상 인구, 농업, 시장, 제도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문화적 적응이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사회구성원들의 환경에 대한 적응도를 높일 수 있는 행동양식을 새로이 선택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한국 농촌에서는 적응전략이란 농업의 집약화와 상업화 또는 산아제한과 인구이동이라는 측면에서 분석될 수 있을 것이다. 생존, 기술, 취락형태, 토지이용, 무역이나 교역 등은 적응전략을 분석하는데 간접적인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Convergence of Renovation Measures for Urban Ecological Park Considering the Thermal Environment in Summer - With a Case of Gildong Ecological Park - (여름철 열환경을 고려한 도시생태공원 리노베이션 방안 융합 연구 - 길동생태공원을 사례로 -)

  • Kwon, Ki Uk
    • Korea Science and Art Forum
    • /
    • v.36
    • /
    • pp.11-22
    • /
    • 2018
  • This study recent changes in urban thermal environment caused by climate change generate diverse problems such as urban heat island effects, heat wave, and drought. Under this condition, with the increased perception and expectation of the quality of life, the urban citizens' desire for outdoor activities is increasing. This study conducted the thermal environment analysis focusing on the urban ecological park used by many urban citizens, and also suggested the renovation measures for urban ecological park considering the thermal environment. As the research site, the ecologically-favorable Gildong Ecological Pak with diverse space composition was selected. The measuring items were measured and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thermal environment index and thermal comfort index. In the results of analysis in each type of park space, the forest zone showed the most favorable result. Based on such results, total three kinds of renovation measures for urban ecological park considering the thermal environment were suggested. Through this, the urban ecology park renovation plans were presented in three way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a base material for creating an ecological park considering the thermal environment.

CONTROL TECHNOLOGY & EVALUATION OF ACID FOG AND TENDENCY OF RESEARCH (산성안개의 평가 및 관리기술과 연구 동향)

  • 김만구;김민건;박찬원;김일환;성주헌;김희갑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114-119
    • /
    • 2000
  • 현재 동북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산성비가 지구규모의 환경문제로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세계 각 지에서 산성강하물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생태계 및 주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더욱 심각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 산성안개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지 못하다 이는 아래와 같은 이유와 어려운 점들이 있기 때문이다. 산성안개가 상성비보다 생태계에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이유로 지적되는 것들은; 1. 안개는 지표면부근에서 발생하며, 미립자로 대기 중 체재시간이 기로, 오염물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 (중략)

  • PDF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ir pollution and material corrosion in Northeast Asia (대기오염과 재료 부식과의 관계에 대한 동북아 공동연구)

  • 김선태;유영억;전전태소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265-266
    • /
    • 2001
  • 대기오염이 인체나 생태계에 대한 피해뿐만 아니라 재료나 구조물에 대한 부식을 통하여 재산상의 피해를 초래한다는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인체나 생태계에 대한 피해가 오랜 기간에 걸쳐 발생하며 여러 인자가 복잡하게 관여하는 관계로 이 분야에 대한 많은 연구 결과를 접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결국, 이는 대기오염에 대한 사회적 무관심 속에 환경분야 내에서도 행ㆍ재정적 우선순위에서 뒷전으로 밀려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A Study On Artificail Reef (인공리프에 관한 연구)

  • 안경수;신문섭;유대성;박종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8a
    • /
    • pp.266-269
    • /
    • 2002
  • 최근 항구 및 해안지역의 오염과 대규모 준설 매립으로 인하여 습지 및 환경 생태계 파괴 가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파도와 조수의 이동으로 인한 해안침식, 태풍이나 폭풍 둥의 자연재해로 인한 해안 및 항만구조물의 파괴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에 지오텍스타일 공법을 해안생태계를 복원 및 보전하고 해안 및 항만구조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중략)

  • PDF

우리나라 조사료 포장에 발생하는 주요 외래잡초의 생태적 특성 및 방제에 관한 연구

  • 박근제;이종경;윤세형;김영진;오세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Conference
    • /
    • 1999.06a
    • /
    • pp.81.1-81
    • /
    • 1999
  • 초지 및 조사료포장에 자생하여 사료작물의 생육을 저해하고 수량과 품질을 저하시키는 외래잡초의 분포를 조사하여 적정 방제법을 구명하고 유입경로를 차단하여 조사료포장의 생태적 환경을 개선코자 본 시험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새로운 외래잡초로서 가축에 해를 미치거나 뜯지 않아 초지를 부실화시키는 잡초는 도깨비가지, 도꼬마리, 독말풀, 붉은서나물, 개꽃아재비, 방가지똥, 미국자리공 등이었다.(중략)

  • PDF

지리산의 균류의 발생분포에 관한 연구(II) (2. 생태적 균류 자원을 중심으로)

  • 조덕현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9.05a
    • /
    • pp.64-75
    • /
    • 1999
  • 1996년 4월1일 부터 1998년 3월 31일까지 지리산의 국립공원에서 많은 고등균류를 채집하였다. 그것들을 생태적 자원면에서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희귀 균류는 진균문에서는 줄솔밭버섯(Omphalina ericetorum)을 포함하여 15종이고 변형균문에서는 아재비털먼지(Trichia affinis), 청황색자루먼지(Physarum viride var. aurantium)을 2종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식용가능한 균류는 135종, 재배가능한 버섯은 16종, 독버섯은 35종, 항암버섯(약용포함)은 68종, 균근형성균은 51종, 목재부후균(낙엽분해균포함)은 177종이었다.

  • PDF

산불로 인한 해양 환경 오염원에 대한 미역(Undaria pinnatifida)의 활력 측정

  • 강세은;최재석;홍용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03-204
    • /
    • 2001
  • 산불의 발생은 산림 내에서 낙엽, 낙지, 초류, 임목 들의 연소로서 산불재 및 질소, 인 ,칼륨 등의 식물 영양염류와 토사 등이 산지에서 이탈되어 하천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으며, 산지와 해양이 인접한 지형에서는 하천에서의 자정작용 없이 곧바로 해양으로 유출되어 해양생물의 생태계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해양 생태계에서는 하천의 오염원 유입으로 인하여 일차적으로 강 하구의 고착생물 즉 해조류들에 영향을 줌으로써 해양환경 오염에 대한 indicator 생물로서 이들 해조류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