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광성능

Search Result 16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HeatSink의 구조적 설계에 의한 LED 조명의 광학적 열적 특성분석

  • Lee, Se-Il;Lee, Seung-Min;Yang, Jong-Gyeong;Park, Dae-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65-165
    • /
    • 2009
  • 긴 수명, 높은 효율, 색 재현성 및 친화경등의 많은 장점을 가진 발광다이오드는 높은 접합온도로 인하여 광 효율이 저하되고 이는 신뢰성 저하 및 방열부 장착으로 인한 비용 상승 등의 문제로 발전에 악영향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열부인 HeatSink의 구조적 변화가 방열성능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열화상 적외선 카메라와 적분구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HeatSink를 가지고 각각의 열적 광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HeatSink의 Fin 길이를 길게 하여 방열면적을 상승시키는 것보다 Fin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Fin 개수를 늘리는 것이 방열성능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었고 이는 광 출력으로 이어졌다.

  • PDF

A study on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electronic ballasts for neon (네온용 전자식 안정기의 성능개선에 관한 연구)

  • Kim, Seung-Kee;Kim, Jang-Sung;Kim, Suk-Hyun;Lee, Sang-Yun;Yun, Dal-Hwan;Kim, Ki-Hwan;Song, Hyeon-Se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7.07f
    • /
    • pp.2066-2068
    • /
    • 1997
  • 네온용 전자식 안정기(EBN)의 출력선간 전자파방해(EMI)로 인한 네온관간의 신호상쇠 현상을 방지하는 회로를 설계하였다. 특히 네온관이 가까이 위치할 때 전자파유도로 인하여 네온발광이 상쇄되는 원인을 방지함으로써 EBN의 성능이 개선되는 결과를 얻었다. 또한 유도전자파를 방지함으로써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차단하는 효과도 얻었다.

  • PDF

Technical Trend in Organo-Optoelectronic Materials and Their Applications (유기 광전자 재료의 기술동향)

  • 김명룡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10 no.3
    • /
    • pp.295-301
    • /
    • 1997
  • 다양하고 방대한 양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 분배하는 멀티미디어 정보통신 시스템이 광신호에 의한 처리를 통해 구현되어갈 전망이다. 이를 위해 빛을 발생시키는 발광소자, 빛을 검출하는 소광소자, 광신호를 처리하는 광신호 처리소자 그리고 광신호를 전달해주는 광섬유 및 화상정보의 표시를 위한 표시소자 등이 중요한 요소기술이다. 이같은 소자의 제작에 있어 기존 물질로는 요구에 대한 대응이 어려워 보다 우수한 성능의 소재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대한 대체물질로 최근 유기물 또는 고분자가 각광을 받고 있으며, 이를 사용한 소자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제까지 무기물로 달성하기 힘들었던 많은 기술들이 유기물로 쉽게 구현이 가능하게 되면 고성능의 소재 및 소자기술은 다가오느 정보화 시대를 더축 풍요롭게 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 PDF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 Jang, Jin
    • Information Display
    • /
    • v.7 no.3
    • /
    • pp.4-17
    • /
    • 2006
  • 차세대 디스플레이로서, 특히 휴대기기를 위한 플레깃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지난 몇 년간 계속적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아직 하나의 '제품'으로서 시장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플라스틱이나 메탈 호일, 플렉시블 유리와 같은 플렉시블 기판이 쓰이는데, 이것은 가벼우면서 얇고 강하며 제조 측면에서 높은 생산성을 가질뿐만 아니라 착용이 가능할 정도의 자유로운 디자인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많은 장점으로 인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연구와 개발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지난 몇 년 동안 개발된 전기영동(electrophoretic), 유기전계발광(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액정(liquid-crystal)과 관련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해 성능 등을 알아보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으로 개발된 플라스틱 기판과 그 위에 형성된 유기박막트랜지스터(OTFTs, organic thin film transistors)의 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oTFTs의 성능과 제작공정의 이해를 위해 self organized process에 대해 설명하고 마지막으로 중요 연구 과제를 제시한다.

선박평형수 처리기술 개발방향

  • Choe, Won-Jin;Jeon,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05a
    • /
    • pp.187-188
    • /
    • 2018
  • 2004년 체결된 평형수관리협약은 2016년 9월 비준되어 2017년 발효 예정이었다. 그러나 발효 직전, 물리적으로 모든 선박에 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하기 어렵다는 의견에 따라 2년 유예되었다. 따라서 수만 척의 선박은 2024년까지 평형수 처리장치를 설치해야 하며, 해당 시장의 규모는 약 40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현재 평형수 처리장치는 IMO 형식승인을 받은 제품만 있을 뿐 USCG 형식승인을 받은 제품이 없어 평형수 처리시장을 선점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USCG 성능기준을 만족하는 평형수 처리기술 개발을 위하여 IMO와 USCG 성능기준의 차이를 비교하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선박평형수 처리장치의 국내 및 세계 기술 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자외선 발광 다이오드 및 이산화티타늄을 이용한 평형수 처리장치 개발방향을 제시한다.

  • PDF

Life time test & Failure mode analysis of LED chip level for LCD back lighting unit (LCD BLU 광원용 LED chip level의 수명시험 및 고장모드 분석)

  • Park, Seung-Hyun;Lim, Sue-Hyun;Hwang, Nam;Cho, Young-Ic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1556-1557
    • /
    • 2007
  • LCD BLU에 광원의 수명을 측정하고, 고장모드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광원을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성분 중에서 광원 자체를 구성하고 있는 R/G/B 광원에 대한 Burn-in test 및 고장모드를 분석하였다. LCD BLU에 있어서 R/G/B LED광원의 역할은 BLU 자체의 수명과 성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 서로 각각 사용조건하에서의 수명과 성능의 차이에 따라서 BLU 자체의 수명이 결정된다. 이를 평가가기 위해 LED device에 대한 가속수명테스트를 위한 Burn-in test를 실시하였으며, 발생한 고장모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누설전류 증가로 인한 불량이 주로 발생하였다. 누설전류 증가를 평가하기 위해 Photo emission microscope(PHEMOS-1000, MoDooTEK Inc.)을 이용하여 저전류에서의 LED chip의 누설전류에 의한 발광을 관찰함으로 인해, LED chip의 신뢰성 및 평가 기준이 됨을 알 수 있다.

  • PDF

반도체 나노구조 제작 및 광전자 소자 응용

  • Yu, Jae-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3.08a
    • /
    • pp.65.2-65.2
    • /
    • 2013
  • 발광다이오드, 태양전지, 광센서, 바이오센서, 나노발전기 등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광전자 소자들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기술적 시도들이 제안되어 왔다. 반도체기반 나노구조는 넓은 표면적과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다양한 기능성의 부여가 용이하며, 주로 나노패턴형성 및 식각에 의한 top-down 방법과 성장/합성에 의한 bottom-up 방법들에 의해 제작되어 왔다. 최근, 단순성, 저비용 공정을 바탕으로 소자 표면상에 나노구조를 형성하여 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다층박막을 통한 무반사 코팅을 대체할 수 있는 moth-eye 효과를 이용한 생체모방형 서브파장 무반사 나노구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실리콘, 화합물, 산화물을 포함한 반도체 나노구조들의 설계 및 제작을 통해 구조적, 광학적 특성을 측정, 분석하고 이들의 다양한 광전자소자 응용에 대한 연구결과를 발표하고자 한다.

  • PDF

TCO 박막의 결정 구조 및 표면 특성에 따른 OLED 소자의 특성

  • Lee, Bong-Geun;Lee, Yu-Rim;Lee, Gyu-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83-183
    • /
    • 2009
  • OLED소자의 양극재료로써 현재는 산화인듐주석(ITO : indium tin oxide) 박막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낮은 전기 비저항과 높은 투과도를 갖는 ITO 박막을 얻기 위해서는 $300^{\circ}C$ 이상의 고온에서 성막되어야 하며, 원료 물질인 인듐의 수급량 부족으로 인한 문제점과 독성, 저온증착의 어려움, 스퍼터링 시 음이온 충격에 의한 막 손상으로 저항의 증가의 문제점이 있고, 또한 유기발광소자의 투명전극으로 쓰일 경우에 유기물과의 계면 부적합성, 액정디스플레이의 투명전극으로 사용될 경우에 $400^{\circ}C$정도의 놓은 온도와 수소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장시간 노출 시 열화로 인한 광학적 특성변화가 문제가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지닌 ITO 박막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로 산화 인듐아연(lZO) 박막이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IZO(Indium Zinc Oxide) 박막은 저온 ($100^{\circ}C$ 이상)에서 증착이 가능하고 추가적인 열처리 없이도 가시광 영역에서 90% 이상의 광 투과도와 ${\sim}10^{-4}{\Omega}cm$ 이하의 낳은 전기 비저항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IZO박막은 성막 후 고온의 열처리 과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폴리카보네이트와 같은 유기물 기판을 사용하여 제작 가능한 유연한 평판형 표시 소자의 제작에도 적용될 수 있다. IZO(Indium Zinc Oxide) 박막은 상온 공정에서도 우수한 전기적, 광학적, 표면 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양극재료로써 높은 일함수를 가지고 있어 고효율의 유기 발광 소자를 구현하는데 유리한 재료라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TCO 박막의 면 저항과 표면 거칠기가 OLED 소자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R.F Magnetron Sputtering을 이용하여 투명 전도막을 성막 형성 하였으며, 기판온도와 증착과정에서 주입되는 산소, 수소의 유랑 변화가 박막의 구조적, 전기적 특성에 어떠한 영향 미치는 것인가를 자세히 규명하였다 ITO 와 IZO박막은 챔버 내 다양한 가스 분위기(Ar, $Ar+O_2$ and $Ar+H_2$) 에서 R.F Magnetron Sputtering 방법으로 증착했다. TCO박막의 구조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X-ray diffraction 과 FESEM으로 분석했다. 광학적 투과도와 박막의 두께는 Ultraviolet Spectrophotometer(Varian, cary-500)와 Surface profile mersurement system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면저항, charge carrier농도, 그리고 TCO박막의 이동성과 길은 전기적특성은 Four-point probe와 Hall Effect Measurement(HMS-3000)로 각각 측정한다. TCO 박막의 표면 거칠기에 따른 OLED소자의 성능분석 측면에서는 TCO 박막의 표면 거칠기 조절을 위해 photo lithography 공정을 사용하여 TCO 박막을 에칭 하였다. 미세사이즈 패턴 마스크가 사용되고 에칭의 깊이는 에칭시간에 따라 조절한다. TCO박막의 표면 형태는 FESEM과 AFM으로 관찰하고 그리고 나서 유기메탈과 음극 전극을 연속적으로 TCO 박막위에 증착한다. 투명전극으로 사용되는 IZO기판 상용화를 위해 IZO기판 위에 $\alpha$-NPB, Alq3, LiF, Al순서로 OLED소자를 제작하였다. 전류밀도와 전압 그리고 발광과 OLED소자의 전압과 같은 전기적 특성은 Spectrometer (minolta CS-1000A) 에 의하여 I-V-L분석을 했다.

  • PDF

Optical Properties and Phenol Destruction Performance of Pd-inserted TiO2 Photocatalysts (Pd이 삽입된 TiO2 광촉매의 광학 특성 및 페놀 분해 성능 평가)

  • Do, Jeong Yeon;Kim, Teho;Sim, Hwanseok;Jeong, Hamin;Choi, Jae Hoon;Kang, Misook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8 no.5
    • /
    • pp.547-553
    • /
    • 2017
  • This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photocatalytic performance by the incorporation of Pd into the $TiO_2$ framework and suggested five different catalysts composed of $TiO_2$ and x mol% $Pd-TiO_2$ (x = 0.25, 0.5, 0.75, and 1.0). A typical sol-gel method was used to synthesize catalysts, and the phenol photodegradation performance of each catalysts was evaluated. The physicochemical and optical properties of catalysts were confirmed by X-ray diffraction (XR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SEM/EDS), ultraviolet/visible spectroscopy (UV/Vis), photoluminescence spectroscopy (PL), and photocurrent measurements. With the addition of Pd ions, the band gap of catalysts was shortened and the charge separation between photogenerated electrons and holes easily also occurred. As a result, the phenol photo-destruction performance over 0.75 mol% $Pd-TiO_2$ catalyst was 3 times higher than that of pure $TiO_2$. This is believed to be due to Pd ions acted as an electron capturing function during photocatalysis.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hermally Cross-linkable Hole Transporting Material Based on Poly(p-phenylenevinylene) Derivative (열경화가 가능한 poly(p-phenylenevinylene)계 정공전달 물질의 합성 및 특성)

  • Choi, Jiyoung;Lee, Bong;Kim, Joo Hyun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19 no.3
    • /
    • pp.299-303
    • /
    • 2008
  • A thermally cross-linkable polymer, poly[(2,5-dimethoxy-1,4-phenylenevinylene)-alt-(1,4-phenylenevinylene)] (Cross-PPV), was synthesized by the Heck coupling reaction. In order for the polymer to be cross-linkable, 20 mol% excess divinylbenzene was added. The chemical structure of Cross-PPV and thermally crosslinked Cross-PPV were confirmed by FT-IR spectroscopy. From the FT-IR, UV-Vis, and PL spectral data, thermally crosslinked Cross-PPV was insoluble in common organic solvents. The HOMO and LUMO energy level of thermally cross-linked Cross-PPV were estimated -5.11 and -2.56 eV, respectively, which were determined by the cyclic voltammetry and UV-Vis spectroscopy. From the energy level data, one can easily notice that thermally crosslinked Cross-PPV can be used for hole injection layer effectively. Bilayer structured device (ITO/crosslinked Cross-PPV/PM-PPV/Al) was fabricated using poly(1,4-phenylenevinylene-(4-dicyanomethylene-4H-pyran)-2,6-vinylene-1,4-phenylenevinylene-2,5-bis(dodecyloxy)-1,4-phenylenevinylene (PM-PPV) as the emitting layer, which have HOMO and LUMO energy levels of -5.44 eV and -3.48 eV, respectively. The bilayered device had much enhanced the maximum efficiency (0.024 cd/A) and luminescence ($45cd/m^2$) than those of a single layer device (ITO/PM-PPV/Al, 0.003 cd/A, $3cd/m^2$). The enhanced performance originated from that fact that cross-linked Cross-PPV facilitatse the hole injection to the emissive layer and the injected hole and electron from ITO and Al are recombined in emitting layer (PM-PPV)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