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발견DNA

Search Result 503,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한국 여성의 Lactadherin 유전자의 Polymorphism 연구

  • 전길수;염행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94-94
    • /
    • 2003
  • Rotavirus는 유아나 어린아이들에게 가장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심한 위장염의 원인자이며 설사로 인한 심한 탈수 증세를 일으켜 급속히 성장하는 유아의 균형적인 영양 공급을 방해함으로써 유아들의 발육과 성장 그리고 심하면 생명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한편 모유로 키운 유아들은 설사병의 낮은 발병율과 연관이 있었다. 특히 모유의 뮤신 복합체는 rotavirus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항 바이러스활동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human breast tissue로부터 lactadherin의 cloning 및 sequence 분석을 통하여 유전자의 다양성을 조사하기로 하였다. 한국 여성 9명의 유두 근처 조직에서 lactadherin을 cloning하여 그 sequence를 보고 된 서양여성의 염기서열과 비교 분석결과 여러 곳에서 single nucleotide variation이 발견되었고 본 연구에서 클론한 lactadherin(31bp-1518bp)의 염기서열과 보고된 서양여성 lactadherin gene의 SNP와 비교하였을 때 8개의 SNP중 3부분만이 일치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같은 조직중 정상 조직과 암 조직 부분에서 각각 lactadherin을 클론하여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하였는데 정상 조직에서 2곳의 silent mutation있었고 암조직에서 2곳의 mutation과 1곳의 silent mutation을 발견하였으며 전체 적으로 정상조직과 암 조직 부분에서 lactadherin을 clone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해본 결과 암조직일수록 유전자의 변이 비율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동일한 염기서열 상에서 많은 변이가 일어났는데 286dp(A->C), 1418dp(G->C)은 mutation이었고 327dp (A->G), 454(C->T)은 silent mutation이었다. 그 외 DNA상에서 여러 부근에 변이가 존재하였는데 이 결과로 보아 coding region에 위치한 cSNP 중 amino acid 변화를 일으켜 protein structure 또는 function에 영향을 줄 수 있는 non-synonymous cSNP 일 것으로 예상되어지며 natural selection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관찰되어진 각각의 염기 서열의 변이는 한국 사람이 가지는 lactadherin gene의 cSNP의 일부라고 판단하였다.

  • PDF

한우 불포화지방산 생합성 효소(SCD) 유전자가 도체 및 육질형질에 미치는 영향

  • Sin, Seong-Cheol;Kim, Hui-Chan;Kim, Gi-Rak;Jeong, Hwa-Cheol;Choe, Eun-Ju;Jo, Ha-Na;Jeon, Sang-Hui;Gwon, Su-Yeon;Kim, Bo-Hyeon;Jeong, Gu-Yong;Jeong, Ui-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10a
    • /
    • pp.123-126
    • /
    • 2005
  • 본 연구는 고등동물의 불포화지방산 생합성의 핵심 효소로 알려져 있는 Stearoyl-CoA desaturase(SCD) 유전자의 특정한 단일염기다형(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이 한우의 도체 및 육질형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SCD 유전자의 Intron 7번 영역의 특정부위를 포함하는 primer를 제작하고, 염기서열 분석을 통하여 유전자 구조를 해석한 결과 총 211bp 크기를 갖는 염기서열의 122번째에서 아데닌(A)${\leftrightarrow}$구아닌(G) 염기치환으로 발생한 단일염기다형(SNP) 부위를 발견하였다. 이들 단일염기다형 염기서열 부위를 PCR-SSCP(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3종류의 SNP 유전자형(A/A, A/G 및 G/G)을 검출하였다. 이 가운데 A/G 유전자형이 한우의 근내지방도와 등지방두께와 고도의 유의적 연관성이 있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한우 SCD 유전자의 특정한 단일 염기다형 표지인자는 한우의 연령 및 성별에 관계없이 육질이 우수한 고급육을 생산하는 우량 한우의 조기식별에 매우 유용한 DNA 표지인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New trends of vaccine development: Recombinant vaccinia viruses (expression vectors) as vaccines (Vaccine개발(開發)의 새로운 동향(動向) : Vaccinia virus를 발견(發見) vector로 이용하는 재조합(再組合) 생(生)vaccine의 작성(作成))

  • Kim, Uh-ho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Research
    • /
    • v.29 no.3
    • /
    • pp.407-416
    • /
    • 1989
  • The prospect of live vaccines consisting of genetically modified vaccinia virus expressing foreign genes is exciting, but important issues concerning safety and efficacy need to resolved. Vaccinia virus (VV) is an efficient expression vector with broad host range infectivity and large DNA capacity. This vector has been particularly useful for identifying target antigens for humoral and cell-mediated immunity. The WHO smallpox eradication program, involving the extensive use of VV vaccines, resulted in the late 1970s in the elimination of one of the world's most feared diseases. This achievement is a triumph for preventive medicine and for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public health. In 1980, WHO recommended that the routine use of smallpox vaccine should be stopped. Against this background, the prospect of li ve vaccines consisting of genetically modified VV expressing foreign antigens arising from the work of Moss, and Paoletti and their colleagues in 1982 has been greeted with enthusiasm. These investigators have shown that genes coding for immunogenic proteins can be inserted into VV DNA without impairing the ability of the virus to grow in cell culture. Moreover experimental animals infected with VV recombinants containing genes coding for a variety of immunizing proteins have been shown to be protected against challenge infection with the corresponding infectious agent. In this communication, I describe current progress in the construction of a novel plasmid vector that facilitate the insertion and expression of foreign genes in VV as well as the selection of recombinants.

  • PDF

락토페린의 면역반응에서의 기능: 락토페린에 의한 인터루킨-1$\beta$의 유전자 발현조절

  • 김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60-67
    • /
    • 2002
  • 락토페린은 주로 유즙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인간 분비물 등에서도 발견되는 당단백질로써, 미생물 감염에 대한 방어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락토페린의 미생물에 대한 방어작용은 미생물 성장에 필요한 철이온이 락토페린에 결합하여 성장을 저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락토페린은 이외에도 염증반응의 조절, 임파세포의 성장촉진 등 면역반응에도 관여하는데 이러한 활성은 철에 결합하는 성질과는 무관하게 일어나며 락토페린이 DNA에 결합하는 성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락토페린은 DNA에 결합하여 유전자의 전사에 관여할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 동안 어떤 유전자의 발현에 관여하는지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없었다. 최근 본 연구팀은 락토페린이 포유세포의 세포유전자의 전사에 관여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락토페린 결합부위를 가지고 있는 유전자중의 하나인 인간 인터루킨-1$\beta$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인간 myelogenous leukaemia 세포주인 K562 세포를 락토페린과 phorbolmyristate acetate(PMA)로 함께 처리하면 K562 세포의 인터루킨-1$\beta$ mRNA의 양은 PMA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보다 상승적으로 더 많이 유도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IL-1$\beta$/Luciferase 융합 유전자를 K562 배양세포에 넣어 전사 활성을 비교함으로써 락토페린에 의한 인터루킨-l$\beta$의 전사활성을 확인하였다. 락토페린을 전체, N-말단, 혹은 C- 말단 부위를 COS-1 세포에 발현시켜 전사 활성을 측정한 결과 C-말단 쪽은 전사활성이 없었으나 N-말단 90개 아미노산 부위(NIa라 명명)가 전사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락토페린이 인터루킨-l$\beta$의 유전자의 전사에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으며 또한 인터루킨-1$\beta$의 유전자 외에도 락토페린 결합 부위를 유전자의 조절부위에 포함하고 있는 세포 유전자의 전사도 관여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락토페린의 면역반응에서의 기능: 락토페린에 의한 인터루킨-1$\beta$의 유전자 발현조절

  • 김지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2.06a
    • /
    • pp.613-616
    • /
    • 2002
  • 락토페린은 주로 유즙에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인간분비물 등에서도 발견되는 당단백질로써, 미생물 감염에 대한 방어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락토페린의 미생물에 대한 방어작용은 미생물 성장에 필요한 철이온이 락토페린에 결합하여 성장을 저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락토페린은 이외에도 염증반응의 조절, 임파세포의 성장촉진 등 면역반응에도 관여하는데 이러한 활성은 철에 결합하는 성질과는 무관하게 일어나며 락토페린이 DNA에 결합하는 성질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락토페린은 DNA에 결합하여 유전자의 전사에 관여할 것으로 여겨지는데 그 동안 어떤 유전자의 발현에 관여하는지에 대해서 알려진 바가 없었다. 최근 본 연구팀은 락토페린이 포유세포의 세포유전자의 전사에 관여하는지를 분석한 결과 락토페린 결합부위를 가지고 있는 유전자중의 하나인 인간 인터루킨-1$eta$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시킨다는 연구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인간 myelogenous leukaemia 세포주인 K562 세포를 락토페린과 phorbol myristate acetate(PMA)로 함께 처리하면 K562 세포의 인터루킨-1$\beta$ mRNA의 양은 PMA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보다 상승적으로 더 많이 유도됨을 보여주었다. 또한 IL-1$\beta$/Luciferase 융합 유전자를 K562 배양세포에 넣어 전사 활성을 비교함으로써 락토페린에 의한 인터루킨-1$\beta$의 전사활성을 확인하였다. 락토페린을 전체, N-말단, 혹은 C- 말단 부위를 COS-1 세포에 발현시켜 전사 활성을 측정한 결과 C-말단 쪽은 전사활성이 없었으나 N-말단 90개 아미노산 부위(NIa라 명명)가 전사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락토페린이 인터루킨-I$\beta$의 유전자의 전사에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으며 또한 인터루킨-1$\beta$의 유전자 외에도 락토페린 결합 부위를 유전자의 조절부위에 포함하고 있는 세포 유전자의 전사도 관여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Molecular Profiling of Clinical Features in Breast Cancer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주성분 분석 방법을 이용한 유방암의 임상적 특징과 관련된 유전자 분석)

  • Han, Mi-Ryung;Lee, Seok-Ho;Han, Won-Shik;Kim, Mi-Hyeon;Noh, Dong-Young;Kim, Ju-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informatics Conference
    • /
    • 2004.11a
    • /
    • pp.29-35
    • /
    • 2004
  • 유방암 환자의 임상정보(clinical features)와 cDNA microarray 기술을 이용하여 얻은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은 유방암 예후 인자를 찾는 데에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임상정보와 유전자 발현 정보를 접목해서 분석하는 방법으로써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을 이용하였다. 이 방법은 다변량 자료의 차원을 줄이는 방법으로써, 대용량 실험 데이터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많이 쓰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주성분 분석을 이용하여 먼저 한국인 유방암 환자 73명의 cDNA microarray 데이터 차원을 줄이고, 이를 통해 얻어진 주성분(Principal Components)과 임상정보 데이터와의 상관관계를 보았다. One-way ANOVA를 이용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의 P-value는 permutation 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동일한 방법을 estrogen receptor(ER)(+) 환자 20명과 ER(-) 환자 31명에 적용해본 결과, ER(-) 환자 중에서 재발과 관련된 유전자를 찾을 수 있었다. 주성분 분석을 molecular phenotypic profiles of clinical features에 이용한 결과 발견된 유전자는 유방암의 재발과 관련된 예후 인자로서 의미가 있다.

  • PDF

Bacterial Canker of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에 의한 매실의 세균성궤양성)

  • Kim Doo Young;Han Hyo Shim;Koh Young Jin;Jung Jae Sung
    • Research in Plant Disease
    • /
    • v.11 no.2
    • /
    • pp.135-139
    • /
    • 2005
  • Bacterial canker of Japanese apricot (Prunus mume Sieb. et Zucc.) was found in all orchards located at southern area of Korea. Typical symptoms were characterized by dark spots formed on fruits, brown lesions on leaves, and bacterial exudate oozed out of the cracked bark of diseased tree. Thirty-eight isolates from 16 different areas were identified on the basis of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LOPAT and GATTa test) and also on the basis of 165 rDNA and ITS sequences. Pathogenicity tests confirmed that bacterial canker of Japanese apricot in Korea is caused by Pseudomonas syringae pv. morsprunorum.

A new distribution of Dalbergia hupeana Hance (Fabaceae) in Korea and its taxonomic characteristics (우리나라 황단나무의 신분포 및 분류학적 특징)

  • Choi, In-Su;Jin, Dong-Pil;An, Suk-Ja;Choi, Byoung-Hee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5 no.1
    • /
    • pp.22-28
    • /
    • 2015
  • A new distribution of Dalbergia hupeana has been reported at Mt. Yudal in Mokpo-si, Korea. It was previously thought to be restricted to China, but is now recognized as a new addition to Korean flora. Species identification was confirmed according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NA sequences. The genus Dalbergia is clearly distinguished from other leguminous tree species in Korea due to its diadelphous (5+5) stamens. Here, we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enus and species and speculate about whether its origins are native or introduced in Korea.

Molecular Cloning of the Human Papillomavirus (유두종 바이러스의 분자 클로닝)

  • ;;;Richard E Hayden;David B Weiner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3.05a
    • /
    • pp.86-86
    • /
    • 1993
  • Many studies suggest a role for specific types of the Human Papillomavirus(HPV) in certain human neoplasms. In recent years, a numbers of studies have been reported linking the presence of HPV DNAs to a variety of carcinomas of the head and neck. We made the cloning of the Ll and L2 open reading frames of the HPV type 16 and 31 and expressed them in the baculovirus system. Those expressed Ll, L2 proteins will be used various way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HPV and head and neck cancers.

  • PDF

Surface Modification and Medical Formulation Technology Using Adhesion of Plant Tannic Acid (식물 유래 탄닌산의 접착능을 이용한 표면 개질 및 의료용 제형 기술 동향)

  • Park, Eunsook;Shin, Mikyung;Lee, Haeshin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 /
    • v.20 no.2
    • /
    • pp.71-75
    • /
    • 2019
  • Tannic acid is one of the most commonly found polyphenols in the vegetable field. Initially, research on tannins concentrated on physiological functions such as antioxidants. Recently, however, tannic acid has attracted much interest as a molecular glue as it has been found to interact virtually all bio-macromolecules such as proteins and DNA. The various properties of tannic acid are expected to control the wettability of the surface, contribute to energy storage and generation, and show potential as a medical agent. Here, tannic acid will be discussed about the interaction of with bio-macromolecules as a molecular glue, surface modification, and utilization of itself as bio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