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하약침액(半夏藥鍼液)

검색결과 1건 처리시간 0.02초

반하(半夏) 약침액(藥鍼液)이 사람 기관지 상피세포의 TARC 분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inelliae Rhizoma Herbal Acupuncture on the Release of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TARC) in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

  • 홍재화;서정철;임성철;정태영;한상원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155-164
    • /
    • 2005
  • 사람 기관지 상피세포에 알러지 환경을 유발 하고자 사이토카인을 처리하여 TARC의 분비를 유도하고, 이 케모카인 분비에 반하(半夏) 약쇄액(藥鎖液)이 미치는 효과를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사람의 기관지 상피 세포주에 각각 IL-4, TNF-${\alpha}$, IFN-${\gamma}$ 및 IL-$1{\beta}$를 처리하는 경우와 IL-4와 TNF-${\alpha}$, INF-${\alpha}$와 IFN-${\gamma}$, IFN-${\gamma}$와 IL-$1{\beta}$를 병용 처리할 경우 TARC의 분비량를 측정한 결과 IL-4와 TNF-${\alpha}$와 TNF-${\alpha}$와 IFN-${\gamma}$를 병용 처리하였을 경우 TARC의 분비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반하(半夏) 약쇄액(藥鎖液) 처리군의 24시간 및 48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3. 반하(半夏) 약쇄액(藥鎖液)에 의한 TARC 분비억제를 관찰 한 결과 농도의존적인 분비 감소 효과를 관찰 할 수 있었다. 4. MTT assay법을 이용한 세포 독성 측정에선 대조군과 반하(半夏) 약침액(藥鍼液) 처리군간에 유의성이 없었으므로 50, 100 및 200${\mu}g/m{\ell}$의 농도에선 세포독성이 없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하(半夏) 약광액(藥鑛液)은 TARC 케모카인 억제를 통해 천식에 대한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