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반출

Search Result 195,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컨테이너터미널의 반출정보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 Choe, Yong-Seok;Kim, Seo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9.10a
    • /
    • pp.222-223
    • /
    • 2009
  • 컨테이너터미널에서는 사전에 컨테이너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전송받게 되면 효율적인 반출업무 계획을 수립하여 반출입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그러나 컨테이너 반출에 사용되는 정보시스템이 선사별로 다양하여 업무량이 증가하고, 반출정보시스템 이용시 입력오류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오류로 인한 화물차량의 게이트 대기시간 증가는 화물운송에 시간적, 물질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터미널의 반출절차의 유형별 분석과 수출입 업무별로 필수정보량을 파악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반줄정보시스템을 개선하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컨테이너 터미널 반출입 트럭 TAT(Turn Around Time) 예측을 위한 항만물류 빅데이터

  • 양현석;송향섭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02-304
    • /
    • 2022
  • 항만 서비스 의미가 선박의 양적하뿐만 아니라 육로를 통해 반출입되는트레일러의 하역도 포함 디지털프랜스포메이션가속화에 따라 IoT, 빅데이타, 인공지능을 활용한 항만의 생산성 증대 방안으로 선박의 TAT뿐만 아니라 항만 반출입트럭TAT 감축의 중요성도 같이 높아지고 있음 컨테이너 이송 트럭의 TAT에 대한 정확한 측정과 TAT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규명은 컨테이너 운송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음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IoT 기술로 수집된 빅데이터를 활용해 실질적인 차량 반출입시간을 분석한 새로운 항만 반출입차량 TAT 데이터와 기후, 부두 실적, 기항 선박 사이즈, 시간대 등 다양한 항만물류빅데이터를이용하여 항만 반출입차량 TAT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나아가 항만물류빅데이터분석을 위한 빅데이터 수집 방법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음

  • PDF

Prediciton Model for External Truck Turnaround Time in Container Terminal (컨테이너 터미널 내 반출입 차량 체류시간 예측 모형)

  • Yeong-Il Kim;Jae-Young Shi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8 no.1
    • /
    • pp.27-33
    • /
    • 2024
  •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congestion within container terminals has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waiting time and turnaround time for external trucks, resulting in a severe inefficiency in gate-in and gate-out operations. In response, port authorities have implemented a Vehicle Booking System (VBS) for external trucks. It is currently in a pilot operation. However, due to issues such as information sharing among stakeholders and lukewarm participation from container transport entities, its improvement effects are not pronounc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deep learning-based predictive model for external trucks turnaround time as a foundational dataset for addressing problems of waiting time for external trucks' turnaround time. We experimented with the presented predictive model using actual operational data from a container terminal, verifying its predictive accuracy by comparing it with real data. Results confirmed that the proposed predictive model exhibited a high level of accuracy in its predictions.

장치장에서 베이 내 컨테이너의 효율적인 재정돈 방안

  • 강재호;류광렬;김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287-295
    • /
    • 2004
  • 컨테이너 터미널의 적하 작업은 사전에 계획된 순서대로 컨테이너를 장치장(yard)에서 하나씩 반출하여 선박에 선적하는 작업이다. 만일 현재 반출하고자 하는 컨테이너의 상단에 다른 컨테이너들이 장치되어 있다면, 부득이하게 위에 놓여 있는 컨테이너들을 다른 곳으로 옮겨야 하는 재취급(rehandling)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반출 작업은 지연된다. 본 논문에서는 적하 계획이 수립되어 장치장의 한 베이(bay)내 컨테이너들의 반출 순서가 결정되었을 때, 반출 시작 시점까지 남는 유휴 시간을 활용하여 재취급이 발생하지 않도록 컨테이너들을 재정돈(이적, 리마샬링)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제안 방안은 분지 한계법(branch and bound)을 적용하여 컨테이너 이동 계획을 탐색하며, 생성된 해는 최소의 컨테이너 이동 횟수가 보장된다. 4 단 6 열과 5 단 9 열의 장치장 구조를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99% 이상의 상황에서 허용할 수 있는 시간 내에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Reevaluating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Evacuation and Exhibition Projects in the 1950s (6.25 전쟁기 국립박물관 소장품의 국외반출 과정에 대한 신고찰)

  • KIM Hyunjung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7 no.1
    • /
    • pp.198-216
    • /
    • 2024
  • This article reevaluate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s pivotal actions during the Korean War in the 1950s and its aftermath. It argues that the evacuation of the museum's collection to Busan and the subsequent exhibition "Masterpieces of Korean Art" in the United States in 1957 were not isolated events, but rather interconnected facets of a larger narrative shaping the museum's trajectory. With newly discovered archival evidence, this study unravels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these episodes, revealing how the initial Busan evacuation evolved into a strategic U.S.-led touring exhibition. Traditionally, the Busan evacuation has been understood solely as a four-stage relocation of the museum's collections between December 1950 and May 1951. However, this overlooks the broader context, particularly the subsequent U.S. journey. Driven by the war's initial retreat of the war, the Busan evacuation served as a stepping stone for evacuation to Honolulu Museum of Art. The path of evacuation took an unexpected turn when the government redirected the collections to the Honolulu Museum of Art. Initially conceived as a storage solution, public opposition led to a remarkable transformation: the U.S. exhibition. To address public concerns, the evacuation plan was canceled. This shift transformed the planned introduction into a full-fledged traveling exhibition. Subsequently approved by the National Assembly, the U.S. Department of State spearheaded development of the exhibition, marking a distinct strategic cultural policy shift for Korea. Therefore, the Busan evacuation, initially envisioned as a temporary introduction to the U.S., ultimately metamorphosed into a multi-stage U.S. touring exhibition orchestrated by the U.S. Department of State. This reframed narrative sheds new light on the museum's crucial role in navigating a complex postwar landscape, revealing the intricate interplay between cultural preservation, public diplomacy, and strategic national interests.

Vehicle Booking System for Container Terminal Operation Efficiency (반출입 예약을 통한 컨테이너 터미널의 서비스 수준 향상)

  • Shin, Jae-Young;Park, Jo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165-166
    • /
    • 2015
  • Due to the international economic downturn and the increasing competition, container terminals have been trying to achieve cost effectiveness and high service levels. Shipping companies want to get better services from container terminals but container terminals only have limited space and equipment. Frequently, too many external trucks come to the terminal at the same time, and create bottle necks at the terminals. Ouside the container terminals traffic jams occur as well. As a result, stakeholders need a vehicle booking system. By VBS, container terminals can plan efficiently in advance to avoid work delay and the truck drivers can finish their jobs quickly. This paper aims to search efficient models for the container terminals by using VBS.

  • PDF

Quantitative Analysis for the Expected Effect of Tractor Appointment System (컨테이너 반출예약제 기대효과의 계량적분석)

  • Kim, Woo-Sun;Choi, Yong-Seok;Ha, Tae-You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27 no.4
    • /
    • pp.403-407
    • /
    • 2003
  • A basic concept of TAS(Tractor Appointment System), which not only enhances the terminal productivity, but also yields higher efficiency of domestic CT(Container Terminal), is developed in this paper for CT to more competitive and serviceable. To analyze the effects of TAS when applied to the existing four-tier CT, a quantitative analysis is perform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rehandling time of CT has been significantly decreased, the efficiency of CT increased, and the flow time of trucks in CT reduced in a great deal

수직 배치형 블록 내에서 재배치 작업계획을 위한 혼합정수계획모형

  • Park, Yeong-Man;Bae, Jo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07a
    • /
    • pp.173-174
    • /
    • 2015
  •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이적작업은 적하작업과 반출작업을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장치장에 흩어져 있는 컨테이너들을 재배치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수직 배치형 장치장 블록 내에서 컨테이너 재배치 작업계획 문제를 다룬다. 재배치 작업계획은 대상 컨테이너, 옮겨질 위치 그리고 재배치 작업 순서를 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재배치 작업시간, 반출작업, 적하작업의 가중시간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재배치 작업동안 공간 가용성이 만족되도록 장치위치와 작업순서를 함께 결정하는 혼합정수계획모형을 개발하였다.

  • PDF

방위산업기술 자료의 외부 반출 시 보호 방안

  • Jang, Kyung Jun
    • Review of KIISC
    • /
    • v.28 no.6
    • /
    • pp.50-55
    • /
    • 2018
  • 방산업체는 물리적 망분리를 의무적으로 구축하고 군사기밀 및 방위산업기술을 보호하는 정보보호체계를 운용 중이다. 그러나, 물리적 망분리를 운용하더라도 다양한 경로로 방위산업기술 자료가 외부로 반출되어 불법적인 유출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 망분리 시스템의 문제점을 진단해 보고 방위산업기술 자료가 협력업체 등 외부로 반출되는 경우와 출력물에 의해 유출되는 경우에 대해 유출 방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반입 컨테이너 무게를 고려한 재취급 최소화 장치 위치 결정 방안

  • 강재호;오명섭;류광렬;김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271-278
    • /
    • 2004
  •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적하 작업을 수행할 때에는 선박의 안정성을 위하여 무거운 컨테이너들을 선박의 바닥쪽에 우선하여 배치한다. 그러므로 장치장(yard)에서 동일한 선박 베이(bay)에 선적할 컨테이너들을 무게가 무거운 순서로 효율적으로 반출할 수 있다면, 적하 계획의 수립과 수행일 수월해진다. 만일 장치장에서 적하를 위하여 지금 반출하여야 하는 컨테이너의 상단에 다른 컨테이너들이 장치되어 있다면, 부득이하게 위에 놓여 있는 컨테이너들을 임시로 옮겨야 하는데, 이러한 부가 작업을 재취급(rehandling)이라 한다. 채취급이 빈번히 발생하게 되면 적하 작업의 흐름은 차질을 빚게 되므로 재취급의 최소화는 작업 효율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컨테이너가 장치장에 반입되는 시점에 해당 컨테이너의 무게를 알 수 있다는 가정하에, 적하 작업을 위한 반출시 재취급이 적게 발생하도록 신규 반입된 컨테이너의 장치 위치를 결정하는 휴리스틱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휴리스틱은 각 스택(stack)별로 장치되어 있는 컨테이너들 중에서 자장 먼저 반출될 가장 무거운 컨테이너의 무게를 해당 스택의 대표 무게로 설정하고, 이를 신규 반입 컨테이너의 무게와 비교하여 장치 위치를 결정한다. 장치장 베이 하나로 시뮬레이션한 실험 결과 4단 6열 및 6단 9열의 장치장 베이 구조에서 임의의 위치에 신규 반입 컨테이너를 장치하는 방식에 비해 재취급 횟수를 1/5이하로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