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반사망원경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4초

근접쌍성 AO Cam과 AW Cam의 공전 주기 연구 (PERIOD STUDIES OF CLOSE BINARIES, AO CAM AND AW CAM)

  • 김천휘;한원용;나일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41-51
    • /
    • 1992
  • 근접쌍성 AO Can과 AW Cam을 1984년의 관측 계절에 소백산 천문대의 61cm 반사 망원경으로 광전 관측하였다. 이 두별의 관측으로 부터 AO Cam의 채 1 극심시각 l개와 AW Cam익 체 1 극심시각 3 개를 각각 구하였다. 여러 문헌으로 부터 수집한 이 두 별의 극심시각들을 이용하여 최소자송법으로 A0 Cam파 AW Cam의 새로운 광도요소를 구하였다. AO Cam의 공전주기는 1980년 10월(JD 2444520) 부터 1985년 2월 (JD 2446107)까지 일정하였다. 그러나 최근에 Mullis와 Faulkner (1991)가 발표한 AO Cam의 l개의 제2극심시각 (JD 2447864. 7879)은 우리가 새로 구한 광도요소와 약 +4.6분 ( (0.0032일)의 큰 차이가 난다. AO Carn의 극심시각의 앞으로의 관측은 이 별의 공전주기 변화 연구에 중요하다. AW Cam의 공전주기는 지난 1930년대 초 이래 현재짜지 약 60년 동안 P=$0^d.77134645$로 일정하다

  • PDF

MIRIS 적외선우주관측카메라 광학계 인증모델 설계제작 및 시험

  • 이창희;박성준;문봉곤;차상목;이대희;정웅섭;박영식;남욱원;박장현;가능현;이미현;이덕행;양순철;김영주;이기훈;이승우;;한원용
    • 한국우주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한국우주과학회보)
    • /
    • 한국우주과학회 2009년도 한국우주과학회보 제18권2호
    • /
    • pp.44.4-45
    • /
    • 2009
  • 과학기술위성 3호의 주탑재체인 MIRIS (Multi-purpose InfraRed Imaging System) 적외선우주관측카메라의 인증모델이 조립을 마치고 현재 성능시험이 진행 중이다. MIRIS 적외선광학계는 구경 80mm의 광시야(f/2) 굴절식 망원경으로서, 총 5매의 렌즈로 구성되어 있다. 렌즈들은 S-FPL53, S-TIH6, Fused Silica 등의 재료를 사용해 가공되었으며, MIRIS 관측 파장대역($0.9\sim2.0{\mu}m$)에서 투과율이 극대화되도록 반사억제 코팅이 적용되었다. MIRIS 광학계 및 광기계부 설계에 있어서의 주요 고려사항은, 1) 상온에서 조립된 상태에서 발사 시 위성체가 받는 충격과 진동을 견뎌낼 것, 그리고 2) 발사 후 위성 궤도상에서의 복사냉각을 통해 180K로 열수축된 상태에서 최적의 광학성능을 발휘할 것 등이다. 이러한 설계 개념을 바탕으로 MIRIS 광학계를 제작하였으며, 조립된 인증모델은 진동시험 및 열진공시험을 통과하였다. 이 발표에서는 MIRIS 적외선우주관측카메라 광학계의 인증모델 제작 과정과 부품별 시험, 그리고 조립 후 상온 및 저온성능시험 결과에 대하여 논의 한다.

  • PDF

에이치(H)자 형태의 기생패치를 가진 초광대역 안티포달 비발디 안테나 (Ultra-wideband Antipodal Vivaldi Antenna with H-shaped Parasitic Patches)

  • 정동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642-1648
    • /
    • 2017
  • 초광대역 안테나는 위성통신, 레이더, 리모트 센싱 시스템, 전파 망원경, 마이크로웨이브 화상 시스템 등의 여러가지 용도로 쓰인다. 수많은 형태의 광대역 안테나 구조들이 있으나, 테이퍼 슬롯 비발디 안테나는 가격, 무게, 스캔각도, 종형 복사, 쉬운 급전과 시스템 구성의 용이성 등의 장점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개선된 안티포달 비발디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설계에 있어서 H자 형태의 기생패치 구조를 채택하였으며 이를 통해 전체 작동 주파수에 있어서 방사특성을 개선하는 능력을 나타내었다. 비유전율(${\epsilon}_r$) 2.2, 유전체 두께 0.7874mm의 RT/duroid 5880기판을 사용해 제안된 안테나의 시작품을 제작하고 측정한 결과 7.8-52.5GHz에 걸쳐 -10dB 반사손실 대역폭과 9-12dBi의 이득을 보였으며 이는 시뮬레이션 결과와 합리적으로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카메라폰 모듈용 비구면 Glass렌즈 성형용 Silicon Carbide(SiC) 코어 초정밀 연삭가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ltra Precision Grinding of Aspheric SIC Molding Core for Camera Phone Module)

  • 김현욱;차두환;이동길;김상석;김혜정;김정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8-428
    • /
    • 2007
  • 최근 고화질 카메라폰이 경박단소화 되는 경향에 따라 Plastic렌즈 또는 구면 Glass렌즈만으로는 요구되는 광학적 성능 구현이 힘들기 때문에 비구면 Glass렌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비구면 Glass렌즈는 일반적으로 초경합금 성형용 코어를 이용한 고온압축 성형방식으로 제작되어지기 때문에 코어면의 초정밀 연삭가공 및 코어면 코팅기술 개발이 시급한 상황이다. 한편, 대표적인 난삭재 Silicon Carbide(SiC)는 광학적 특성 및 기계적 특성, 전기적 특성 등 우수한 특성을 가진 재료로서 우주망원경, 레이저 광 및 X선 반사용 미러 등 다종,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전기, 전자, 정보, 정밀기기의 급격한 발전으로 SiC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비구면 Glass렌즈 성형용 코어를 SiC소재로 제작할 경우 성형용 코어의 수명향상, 렌즈 생산원가의 절감 및 코팅 과정의 간소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가지므로 SiC를 이용한 성형용 코어의 나노 정밀도급 초정밀 연삭가공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3 메가픽셀, 2.5배 광학 줌 카메라폰 모듈용 비구면 Glass렌즈 개발을 목적으로 실험계획법을 적용하여 초경합금 성형용 코어의 연삭조건을 규명하였다. 초경합금 비구면 성형용 코어의 초정밀 연삭가공조건 및 결과를 바탕으로 난삭재인 Silicon Cabide(SiC)의 연삭가공조건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비구면 Glass렌즈 성형용 코어를 초정밀 연삭가공하였다.

  • PDF

δ Scuti형 변광성 HR 2707(=21 Mon)의 CCD 측광 (CCD Photometry of a δ Scuti Variable HR 2707 (=21 Mon))

  • 이호;김승리;조성일;박홍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70-676
    • /
    • 2006
  • [ ${\delta}$ ] Scuti형 변광성 HR 2707에 대해 한국교원대학교 청람천문대의 40 cm 카세그레인식 반사 망원경과 1K CCD(AP8p)를 사용하여 2001년 11월 13일부터 2002년 2월 20일까지 45일간 시계열 관측을 수행하였다. B, V필터를 이용한 측광 관측으로부터 3,011장의 V필터 영상과 6,562장의 B 필터 영상을 획득하였다. 이들 자료 중 2002년 1월의 7일간 V 필터 관측 자료는 국제공동 관측에 사용되었다(Lopez de Coca et al., 2003). 변광성의 맥동 주파수를 검출하기 위하여 이산 푸리에 변환(DFT)과 선형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8개의 맥동 주파수를 찾았으며, 이전 관측 자료에서 얻어진 주파수와 비교하여 HR 2707의 진짜 맥동 주기는 Lopez de Coca et at.(2003)의 연구에서 얻은 $f_1,\;f_2,\;f_3,\;f_4,\;f_5$의 5개의 주기와 우리의 연구로부터 얻은 $f_4$까지 6개로 결정하였다.

Hα 방출선을 통한 Be 항성 원반 (DISK OF Be STAR WITH EMISSION)

  • 안대건;배장호;이상각;신영우;고연경;강석철
    • 천문학논총
    • /
    • 제22권4호
    • /
    • pp.133-140
    • /
    • 2007
  • 서울대학교의 61cm 망원경에 SGS 분광기를 부착하여 4개의 Be 항성에 대한 분광 관측을 수행하였다. 관측으로부터 얻은 각 항성의 $H{\alpha}$ 등가폭은 HD 5394가 $-26.4{\AA}$, HD 10516이 $-27.7{\AA}$, HD 200120이 $-10.2{\AA}$, HD 202904가 $-18.2{\AA}$이다. 이로부터 Grundstrom & Gies (2006)가 제시한 $H{\alpha}$ 방출선의 등가폭과 수소 방출선 영역의 크기 관계를 이용하여 구한 원반의 수소 방출선영역의 크기는 HD 5394가 $6.7{\pm}0.3R_{H{\alpha}}/R_s$, HD 10516이 $8.2{\pm}0.4R_{H{\alpha}}/R_s$, HD 200120이 $6.0{\pm}0.4R_{H{\alpha}}/R_s$, HD 202904가 $4.1{\pm}0.1R_{H{\alpha}}/R_s$이었다. HD 5394와 HD 10516에 대한 결과는 $H{\alpha}$ 간섭 관측으로부터 얻어진 결과와 약 20% 정도 차이가 났다. 항성의 광구에서 발생한 $H{\alpha}$ 흡수선의 등가폭을 정밀하게 보정하고, Grundstrom & Gies (2006)의 모형이 좀더 현실적으로 개선되며 정확한 항성 물리량 (유효온도, 원반 경사각, 원반 전체 크기)을 적용할 경우, 보다 정확한 원반크기를 구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61cm 구경의 반사망원경과 범용의 중분산 분광기를 활용한 분광관측으로도 충분히 Be 항성의 원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