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반복전송

Search Result 403,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Performance of UEP Channel Coding with Iterative Decoding of SCCC under Rayleigh Fading Channel (Rayleigh Fading 채널에서 SCCC의 반복복호에 의한 UEP 채널 부호화의 성능 분석)

  • 이연문;조경식;정차근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1999.11a
    • /
    • pp.71-74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이동 무선 채널에 의한 동영상의 실시간 전송을 위해 채널 상태에 따라 터보코드의 반복 복호 횟수를 자동으로 결정한 UEP(Unequal Error Protection) 채널 부호화 방법에 대해 레일리 페이딩 채널에서의 성능을 분석한다. 이 부호화 방법은 열악한 채널 환경에서 우선 순위가 높은 정보에 보다 많은 반복 횟수가 부과되게 함으로써 헤더 정보나 움직임 벡터 등과 같이 동영상 신호의 복원에 중요한 정보에 대한 오류의 전파효과를 억제시킬 수 있다. 연집 오류의 주요인인 레일리 페이딩 채널에서 복호기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컴퓨터 모의실험을 수행해 그 결과를 제시한다.

  • PDF

A Combining Scheme for Partial Incremental Redundancy based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 MIMO Systems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 부분 증분 리던던시 방식 Hybrid ARQ를 위한 결합 기법)

  • Park, Sang-Jo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TC
    • /
    • v.47 no.11
    • /
    • pp.19-23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bining scheme for partial IR based hybrid ARQ in MIMO systems. The proposed combining scheme is a symbol-level combining scheme for repeatedly transmitted systematic symbols in partial IR based hybrid ARQ. In this paper, it is shown that the proposed combining scheme can also enhance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parity symbols that are newly transmitted in each retransmission.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combining scheme significantly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partial IR based hybrid ARQ compared to the cases of the conventional bit-level combining scheme, especially with the ZF detection.

Performance Enhancement Technique using Iterative Decoding and Maximal Ratio Receive Combining Technique for Multiplexed STBC OFDM Systems (복호 및 최대수신결합을 반복적으로 이용한 Multiplexed STBC OFDM 성능향상 기법)

  • Jung Hyeok-K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0 no.5C
    • /
    • pp.391-397
    • /
    • 2005
  • Since space time block code (STBC) technique of a transmission diversity technique was introduced,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echniques using transmission diversity at the basestation for improving transmission data rate,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Multiplexed STBC OFDM technique uses multiple groups of two transmit antennas and suppresses the interference signals of other STBC OFDM groups at the receivers. In this paper, I propose a new method of iterative decoding and maximal ratio receive combining technique for multiplexed STBC OFDM systems, and simulated and showed the results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Transmission Power Control algorithm based link quality indicator at IEEE 802.15.4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IEEE 802.15.4 무선 PAN에서 링크 품질에 기반을 둔 Transmission Power Control 알고리즘)

  • Seo, Jung-Tae;Kim, Kwang-Jin;Son, Byung-Hee;Kwon, Young-Bin;Park, Jae-Hwa;Park, Ho-Hyun;Lee, Jung-Woo;Choi, Young-Wa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3-6
    • /
    • 2009
  • IEEE 802.15.4 기반의 무선 PAN(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환경에서 기존에 제안된 전송 전력 제어(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알고리즘은 수신 신호의 세기를 기반으로 반복 전송을 통하여 적합한 최소 전송 전력을 결정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은 통신 채널의 변화가 잦은 지역에서는 재전송률이 높아지고 전송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4에서 제공하는 링크 품질 지표(LQI: Link quality indicator)값을 바탕으로 최소 전송 전력을 결정하여 재전송률을 줄이고, 통신 채널 변화에 보다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전송 진력 제어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광학적 방법에 의한 전열관 레이저용접 감시기술

  • 백성훈;김민석;정진만;김철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d
    • /
    • pp.449-454
    • /
    • 1996
  • 원자력발전소 증기발생기 전열관의 레이저 슬리브 용접시, 레이저 전송 및 용접상태의 광학적 감시방법을 개발하였다. 전열관 레이저용접은 용접 중의 레이저 출력, 레이저 전송 광학계의 파손여부, 광학 정렬상태 등을 정확히 감시하며 수행하여야 하지만, 작업공간의 협소함과 방사능 공간이라는 어려움 때문에 적절한 감시방법이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레이저 빔 전송을 위한 광섬유 광학계를 그대로 이용하여, 용접시 발생되는 radiation과 용접 표면에서 반사되는 Nd:YAG 레이저 빔을 측정하여 레이저 및 광학계 상태를 실시간 감시할 수 있는 기술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은 Inconel plate를 시편으로 이루어졌으며, 레이저 펄스길이, 레이저 반복률에 따른 감시 조건과 초점확인 기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 PDF

An efficient Harmonic Patching scheme for Near Video on Demand (부분 채널 조화 분할 덧대기 방법을 이용한 유사 주문형 비디오 전송방식)

  • Hong, Jong-Woo;Song, Eun-Don;Kim, Hong-Ik;Park, Sung-Kwon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11a
    • /
    • pp.415-420
    • /
    • 2006
  • 전체 비디오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으로 전송하는 스테거드 방식으로 전송하고 스테거드 방식의 전송 주기 부분을 채널 조화분할 방법으로 스테거드 방식에 패칭 해서 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서 기존의 분할 전송을 통한 Near VoD 서비스의 단점이었던 과도한 비디오 데이터 분할 세그먼트 수를 크게 줄이고, 잦은 채널 이동도 줄였으며, 한꺼번에 사용하는 채널의 수도 줄였다. 또한 비디오의 짧은 앞부분에 데이터 분할을 통한 패칭 전송방식이 적용되므로 우수한 채널 대역폭 효율도 유지할 수 있다. 이 논문의 특징은 Near VoD가 간단한 구조를 유지하면서 채널 대역폭의 효율도 함께 증가시키는 매우 실용적인 NVoD 방식이라 한다.

  • PDF

A Modified DCF Protocol for Real-Time Multimedia Data (Real-Time MultiMedia Data 전송을 위한 새로운 방식의 DCF 프로토콜)

  • 신세영;심승섭;조경익;윤석진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11c
    • /
    • pp.157-163
    • /
    • 2003
  • IEEE 802.11a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DCF) Protocol을 사용하여 Real-Time MultiMedia Data의 전송을 수행할 경우, DCF Protocol의 적합하지 못한 Mechanism에 의하여, Data 전송의 극대화를 이루지 못한다. Retransmission이 반복되는 경우, Binary Slotted Exponential Backoff Mechanism은 거대한 Packet Delay와 Jitter의 원인이 되며 Automatic Repeat Request(ARQ) 방식의 Ack Mechanism은 MultiMedia Data를 전송하기에 적합하지 못하다. 본 논문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Real-Time MultiMedia Data을 주로 전송하는 STA에 따른 Real-Time/Non-Real-Time(RT/NRT) Station(STA)의 구분과 보내고자 하는 Real-Time MultiMedia Data의 Network Traffic Load(The Required Bandwidth)를 고려하여, Modified DCF(mDCF) Protocol의 Modified Backoff(mBackOff), Modified BlockAck(mBlockAck) Mechanism을 제시함으로서, Data 전송의 극대화를 제공하며, 또한 IEEE 802.11a와의 호환성을 제공한다.

  • PDF

Proactive Congestion Control for Energy Efficiency of Mobile Device in Ad-hoc Network (Ad-hoc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의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한 능동적인 혼잡 제어 기법)

  • Cho, Nam-Ho;Lee, Jung-Min;Choi, Woong-Chul;Rhee, Seung-Hyong;Chung, Kwang-Su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340-342
    • /
    • 2005
  • 최근 기지국(Base Station)의 도움 없이 이동 단말기(Mobile Device) 간의 다중 무선 홉을 사용하여 송수신자 간의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Ad-hoc 통신망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Ad-hoc 통신망을 구성하는 이동 단말은 이동성을 고려하여 한정된 배터리로 동작을 하게 된다. Ad-hoc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은 종단(End Host)으로만 동작하는 것이 아닌 중계 노드(Intermediate Node)로도 동작을 하기 때문에 통신상에 경로를 제공하는 중요한 역할도 한다. 하지만, 현재 인터넷 상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전송 규약인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수동적인(Reactive)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방식으로 망의 혼잡으로 인한 패킷 손실 발생 이전까지 전송 윈도우의 크기를 증가 때문에 반복적인 혼잡과 그로 인한 패킷 손실로 인해 불필요한 재전송을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 TCP는 무선 통신망에서 동작하는 이동 단말의 한정된 배터리 전원을 고려하지 않고 동작하기 때문에 이동 단말의 에너지를 불필요하게 낭비하는 문제를 가지게 된다. 본 논문은 Ad-hoc 망에서 이동 단말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불필요한 재전송 방지 및 망 상태에 따라 전송률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TCP의 새로운 혼잡 제어 기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ns-2 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이동 단말의 에너지 효율이 제안된 혼잡 제어 기법에 의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 PDF

Non-Real-Time 3D Video Services for Terrestrial DMB (지상파 DMB 비실시간 3D 비디오 서비스)

  • Kim, Yong-Han;Park, Min-Kyu;Oh, Chang-Yeol;Yun, Kug-Jin;Lee, Bong-Ho;Hur, Nam-Ho;Lee, Soo-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0.07a
    • /
    • pp.83-85
    • /
    • 2010
  • 최근 소형 무안경식 스테레오스코픽 디스플레이가 저가에 양산될 수 있게 되어 이를 장착한 휴대형 기기를 통한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지상파 DMB 수신 겸용 휴대폰의 경우에도 이러한 3D 디스플레이를 장착할 수 있으므로, 지상파 DMB를 통해 3D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도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한 현재 지상파 DMB 채널은 가용 전송률이 거의 남아 있지 못한 상태이므로, 실시간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지상파 DMB 비디오 서비스를 위해 전송되는 비디오 압축 데이터를 3D 영상의 좌우 영상 중 한 영상으로 사용하고, 다른쪽 영상은 비실시간적인 방법으로 수신기로 전송함으로써 기존 지상파 DMB 비디오 서비스와 호환적으로 3D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2 가지를 제안한다. 첫 번째 방법은 지상파 DMB의 파일 다운로드 프로토콜인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를 이용하여 3D 영상에 필요한 한 쪽 영상을 파일 형태로 미리 수신기로 다운로드해 준 후, 실시간으로 전송되어 오는 2D 비디오 데이터와 함께 디스플레이하는 MOT/스트림 모드 비실시간 3D 비디오 서비스이며, 두 번째 방법은 광고 영상과 같이 일정 기간 중에 반복적으로 전송되는 콘텐트에 대해 추가로 필요한 전송률이 거의 없이 3D 비디오로 제공할 수 있는 반복 콘텐트 비실시간 3D 비디오 서비스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