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반복적 예측기법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Implementation of Sequential Pattern Mining algorithm For Analysis of Alert data. (경보데이터 패턴분석을 위한 순차패턴 알고리즘의 구현)

  • Ghim, Hohn-Woong;Shin, Moon-Sun;Ryu, Keun-Ho;Jang, J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c
    • /
    • pp.1555-1558
    • /
    • 2003
  • 침입탐지란 컴퓨터와 네트워크 자원에 대한 유해한 침입 행동을 식별하고 대응하는 과정이다. 점차적으로 시스템에 대한 침입의 유형들이 복잡해지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지면서 빠르고 정확한 대응을 필요로 하는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지능적이고 자동화된 탐지 및 경보데이터 분석에 이용할 수 있다. 마이닝 기법중의 하나인 순차 패턴 탐사 방법은 일정한 시퀸스 내의 빈발한 항목을 추출하여 순차적으로 패턴을 탐사하는 방법이며 이를 이용하여 시퀸스의 행동을 예측하거나 기술할 수 있는 규칙들을 생성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대량의 경보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고 반복적인 공격 패턴에 능동적인 대응을 위한 방법으로 확장된 순차패턴 알고리즘인 PrefixSpan 알고리즘에 대해 제안하였고 이를 적용하므로써 침입탐지 시스템의 자동화 및 성능의 향상을 얻을 수 있다.

  • PDF

A Numerical Study of the Pressure Wave in the Tunnel for G7 Test Train (G7 시제 차량의 터널내부 압력파에 대한 수치적 연구)

  • 권재현;권혁빈;김태윤;이동호;김문상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2.10a
    • /
    • pp.162-167
    • /
    • 2002
  • 열차가 고속으로 터널에 진입하게 되면 터널 내부에서 극심한 압력 교란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한 이명현상은 승객들에게 불쾌감을 크게 유발시키고, 열차 구조물에 작용하는 반복적인 하중변화 또한 구조상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터널 내부의 유동장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긴 터널을 효율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 최소 차원의 공간 가정을 통하여 계산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혼합차원 기법을 이용하여 현재 G7 시제차의 시험 운행 구간내의 터널들에 대해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터널 내부에서는 압축파, 팽창파의 상호 작용에 의한 복잡한 압력 교란이 발생하였고, 이러한 압력 변화는 열차 속도, 터널 길이, 측정위치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터널 내부의 유동장을 정확히 예측하려면 열차 속도, 터널 길이, 열차 길이, 열차/터널 단면적 비, 측정 위치 등을 고려하여 해석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러한 수치 해석 결과는 시제차 시험 계획의 수립 및 시험기기의 선택과 설치 위치 등을 결정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고속 열차의 여압 시스템과 외부 부착 구조물에 대해서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Single Image Super-Resolution Using CARDB Based on Iterative Up-Down Sampling Architecture (CARDB를 이용한 반복적인 업-다운 샘플링 네트워크 기반의 단일 영상 초해상도 복원)

  • Kim, Ingu;Yu, Songhyun;Jeong, Jechang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5 no.2
    • /
    • pp.242-251
    • /
    • 2020
  • Recently, many deep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for image super-resolution have been studied. Existing deep learning-based super-resolution algorithms are architecture that up-samples the resolution at the end of the network. The post-upsampling architecture has an inefficient structure at large scaling factor result of predicting a lot of information for mapping from low-resolution to high-resolution at o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single image super-resolution using Channel Attention Residual Dense Block based on an iterative up-down sampling architecture. The proposed algorithm efficiently predicts the mapping relationship between low-resolution and high-resolution, and shows up to 0.14dB performance improvement and enhanced subjective image quality compared to the existing algorithm at large scaling factor result.

An Adaptive Gradient-Projection Image Restoration using Spatial Local Constraints and Estimated Noise (국부 공간 제약 정보 및 예측 노이즈 특성을 이용한 적응 Gradient-Projection 영상 복원 방식)

  • Hong, Min-Cheol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2 no.10C
    • /
    • pp.975-981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patially adaptive image restoration algorithm using local and statistics and estimated noise. The ratio of local mean, variance, and maximum values with different window size is used to constrain the solution space, and these parameters are computed at each iteration step using partially restored image. In addition, the additive noise estimated from partially restored image and the local constraints are used to determine a parameter for controlling the degree of local smoothness on the solution. The resulting iterative algorithm exhibits increased convergence speed when compared to the non-adaptive algorithm. In addition, a smooth solution with a controlled degree of smoothness is obtained without a prior knowledge about the nois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requires the similar iteration number to converge, but there is the improvement of SNR more than 0.2 dB comparing to the previous approach.

Analysis of Leaf Node Ranking Methods for Spatial Event Prediction (의사결정트리에서 공간사건 예측을 위한 리프노드 등급 결정 방법 분석)

  • Yeon, Young-Kwa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7 no.4
    • /
    • pp.101-111
    • /
    • 2014
  • Spatial events are predictable using data mining classification algorithms. Decision trees have been used as one of representative classification algorithms. And they were normally used in the classification tasks that have label class values. However since using rule ranking methods, spatial prediction have been applied in the spatial prediction problems. This paper compared rule ranking methods for the spatial prediction application using a decision tree. For the comparison experiment, C4.5 decision tree algorithm, and rule ranking methods such as Laplace, M-estimate and m-branch were implemented. As a spatial prediction case study, landslide which is one of representative spatial event occurs in the natural environment was applied. Among the rule ranking methods, in the results of accuracy evaluation, m-branch showed the better accuracy than other methods. However in case of m-brach and M-estimate required additional time-consuming procedure for searching optimal parameter values. Thus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areas, the methods can be selectively used. The spatial prediction using a decision tree can be used not only for spatial predictions, but also for causal analysis in the specific event occurrence location.

Similar Trajectory Store Scheme for Efficient Store of Vehicle Historical Data (효율적인 차량 이력 데이터 저장을 위한 유사 궤적 저장 기법)

  • Kwak Ho-Young;Han Kyoung-B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6 no.1
    • /
    • pp.114-125
    • /
    • 2006
  • Since wireless Internet services and small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ome into wide use as well as the use of GPS is rapidly growing, researches on moving object, whose location information shifts sequently in accordance with time interval, are being carried out actively. Especially, the researches on vehicle moving object are applied to 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vehicle tracking system, and distribution transport system. These systems are very useful in searching previous positions, predicted future positions, the optimum course, and the shortest course of a vehicle by managing historical data of the vehicle movement. In addition, vehicle historical data are used for distribution transport plan and vehicle allocation. Vehicle historical data are stored at regular intervals, which can have a pattern. For example, a vehicle going repeatedly around a specific section follows a route very similar to another. If historical data of the vehicle with a repeated route course are stored at regular intervals, many redundant data occur, which result in much waste of storage.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 a vehicle historical data store scheme for vehicles with a repeated route course using similar trajectory which efficiently store vehicle historical data.

  • PDF

Analysis of Landslide Hazard Area using Logistic Regression/AHP - Anseong-si -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역 분석 - 안성시를 대상으로 -)

  • Lee, Yong-Jun;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2001-2005
    • /
    • 2006
  • 우리나라는 매년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로 인해 인적, 물질적 피해를 일으킨다. 반복적인 산사태의 피해를 방지 하기위해서는 산사태 예측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안성시를 대상으로 GIS와 RS 자료를 활용하여 산사태 위험지를 분석하고자 Logistic 회귀분석 방법과 AHP 기법을 이용하였다. Logistic 회귀분석과 AHP 기법에는 6개의 인자(경사, 경사향, 고도, 토양배수, 토심, 토지이용)를 사용하여, 7등급으로 산사태 위험도를 분류하였다. Logistic 회귀분석 방법과 AHP 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지도를 표본 자료와 비교하면 산사태가 발생한 표본에서 산사태 위험성이 높은(1-2등급)지역이 Logistic 회귀분석에서는 46.1% AHP 기법은 48.7%로 분류되어 AHP 기법이 분류도가 높다고 분석 되었다. 하지만 Logistic 회귀분석과 AHP 기법은 서로 분석 과정의 차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Logistic 회귀분석과 AHP기법을 적용한 결과에 동일 가중치를 부여한 후 7개 등급으로 재분류(reclass)하여 산사태 위험지역을 추출 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산사태가 발생한 표본에서 1-2등급지역이 58.9%로 분석되어 분류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 PDF

Filtering Motion Vectors using an Adaptive Weight Function (적응적 가중치 함수를 이용한 모션 벡터의 필터링)

  • 장석우;김진욱;이근수;김계영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1 no.11
    • /
    • pp.1474-1482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for extracting and filtering block motion vectors using an adaptive weight function. We first extract motion vectors from a sequence of images by using size-varibale block matching and then process them by adaptive robust estimation to filter out outliers (motion vectors out of concern). The proposed adaptive robust estimation defines a continuous sigmoid weight function. It then adaptively tunes the sigmoid function to its hard-limit as the residual errors between the model and input data are decreased, so that we can effectively separate non-outliers (motion vectors of concern) from outliers with the finally tuned hard-limit of the weight function.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uggested approach is very effective in filtering block motion vectors.

A prediction of Ring Frame Composite Properties Using Discretization Method (이산화 기법을 이용한 링프레임 복합재의 기계적 물성 예측)

  • Jeon, Yong Un;Kim, Yong Ha;Kim, Pyung Hwa;Kim, Hwi yeop;Park, Jung S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17.05a
    • /
    • pp.939-941
    • /
    • 2017
  • The use of composites is increasing for lightweight aerospace structures. Among these structures, the ring frame and the parts of the projectile body are mainly made of a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 which is less susceptible such as delamination to structural damage. As the use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s increases, interest in modeling efficient methods of stiffness and strength is increasing. This paper predict the mechanical strength according to the repeating unit cell(RUC) of the 2-D triaxial braided composites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s. Yarn slice definition, incremental approach and stiffness reduction model were used as strength prediction. Finally, the results of strength prediction are verified by comparing with experimental data of 2-D triaxial braided composites specimens.

  • PDF

Pixel-based disparity estimation for Intermediate View Reconstruction of Multi-view images (다시점 동영상의 중간시점영상 생성을 위한 화소 기반의 변이 예측 기법)

  • Choi, Mi-Nam;Baek, Yun-Ki;Kim, Dong-Wook;Yoo, Ji-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49-52
    • /
    • 2006
  • 본 논문은 다시점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다시점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내의 모든 화소에 대한 정확한 변이 정보를 획득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정합창(measurement window)을 사용하는 화소기반 정합방법을 통해 정확한 변이 추정과 비용 함수 계산시 반복적인 계산을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수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정확한 변이 정보를 획득하는데 있어서 가려진 영역이 많은 영향을 미친다. 또한 가려진 영역의 판단 및 처리는 2대의 카메라로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평행식으로 구성된 5대 이상의 다시점 카메라로부터 획득된 다시점 영상을 사용함으로써 변이 정보의 신뢰도를 높이고, 가려진 영역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비용 함수 계산의 반복성을 이용하여 계산량을 줄임으로써 전체적인 수행시간을 줄인다. 이렇게 획득된 변이 정보는 다시점 영상의 중간시점영상 생성을 위해 사용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