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바이러스유사입자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44초

배나무잎 검은점병(구: 이상반점증상)에 관한 연구 7. 병원 바이러스의 동정 (Studies on the Pear Black Necrotic Leaf Spot (Former: Abnormal Leaf Spot) Disease 7. Identification of Causal Virus)

  • 남기웅;김충회;김경수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68-373
    • /
    • 1996
  • 배나무잎 검은점병에 이병된 신고와 지표식물 PS-95의 잎을 전자현미경으로 세포내 미세구조를 검경한 결과 굴곡성 사상형 유사바이러스 입자가 집단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엽육유세포질에 있는 유사바이러스 입자들의 직경은 12 nm였으나 입자들의 길이는 측정하지 못하였다. 섬유사를 함유하고 있는 소포는 일반적으로 ssRNA genome을 갖는 식물바이러스에 의해 이병된 세포에서 생성된다. 본 연구에서 이 소포들은 tonoplast에 형성되었다. 배나무잎 검정점병의 이병잎을 초본 지표식물에 즙액접종하였으나 어떠한 병징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접목접종 전염에 의하여 전염되어 전형적인 검은점이 발병하였다. 발병된 잎에는 유사바이러스 입자가 존재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 병징, 섬유사를 함유한 소포의 존재, 그리고 접목전염을 기초로하여 볼 때 배나무 검은점병을 일으키는 유사바이러스 입자는 closteroviruses의 하나로 생각된다.

  • PDF

원형느타리백색변이체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irus-like particles in color mutants of oyster mushrooms)

  • 이강효;김규현;이진경;석순자;원항연;김양섭;김완규;성재모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9-42
    • /
    • 2007
  • 색소변이체에서 버섯 바이러스의 게놈인 dsRNA가 확인되었으며, 크기는 각각 5.8kb, 1.8kb 이었다. 느타리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인 PVP로 RT-PCR을 수행한 결과 500bp 크기의 특이밴드가 관찰되었다. 또한 양송이 바이러스 진단용 프라이머 LIVP와 MBVP에서도 특이밴드가 관찰되었으나 양송이 바이러스와는 다른 양상이었다. 원형느타리의 백색변이체 (MGL2205)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유사입자는 구형이었으며, 크기는 14, 20~45nm이었다. 균사체의 세포단면을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순화액에서 확인된 바이러스유사입자와 비슷한 구형의 입자들이 관찰되었으며, 순화된 바이러스와 동일한 입자인지는 추후 확인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원형느타리 백색변이체(MGL2205)에 존재하는 바이러스의 최적 증식 조건은 $15^{\circ}C$, pH 6, 배양기간 3주인 것으로 판단되며, 이 결과는 이와 유사한 재배적 조건에서 재확인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오돈토글로썸 윤문 바이러스에 감염된 Cymbidium 잎조직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Cymbidium Leaf Tissue Systemically Infected with Odontoglossum Ringspot Virus)

  • 류기현;김우갑;박원목
    • Applied Microscopy
    • /
    • 제24권3호
    • /
    • pp.46-54
    • /
    • 1994
  • 오돈토글로썸 윤문 바이러스(ORSV)에 감염된 한국 자생춘란(Cymbidium goeringii) 초박절편의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ORSV 입자들은 집적되거나 환형상 평면구조로 다양한 크기의 불규칙적인 응집된 다발상들이 관찰되었다. 바이러스 입자들은 원형질체에서 다수 존재하였고, 세포벽과 원형질막 사이에서도 존재하였으며, 이들은 주로 응집된 평행상과 불규칙적인 산재된 형태로 관찰되었다. X-체 및 paramural body는 원형질막 주변에 존재하였고 액포와 유사한 낭상 구조체에 싸여있었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조직의 세포벽은 확장되어 있었다. ORSV에 감염된 세포내 엽록체는 불규칙적인 모습을 보였다. 미토콘드리아, 핵, 액포, 소포 및 기타 세포내 소기관들내에서는 바이러스 입자를 볼 수 없었다. 원형질연락사(plasmodesmata)는 다소 확장되고, 바이러스 입자들이 이들 원형질연락사 주변에 존재하였다.

  • PDF

가물치, Channa arga 자어에서 분리한 Rhabdovirus 유사 병원체 (Isolation of rhabdovirus-like from fry of the fry of the snakehead fish, Channa arga)

  • 김수미;홍미주;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5-64
    • /
    • 2006
  • 2003~2004년 봄, 대량 폐사한 가물치 자어 (부화 후 15~30일령)에서 랩도바이러스 유사 병원체를 분리하였다. 분리 바이러스주는 EPC cell과 SSN-1 cell에서 잘 증식하는 반면 FHM cell에는 감수성이 없었고 감염된 EPC cell에서 전형적인 랩도바이러스 모양의 탄환형 바이러스 입자 (45×100 nm)를 다수 관찰할 수 있었다. 분리 바이러스주의 증식 적온은 20~25℃이었고, 15℃이하에서는 증식할 수 없었으며, 30℃ 이상에서는 증식하지는 않았으나 초기 감염가를 유지하였다. 분리 바이러스는 15일령 및 40일령의 가물치 자치어에서는 침지 감염에서 병원성이 높은 반면, 90일령 이상의 중간 육성어에서는 폐사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팥에 발생하는 바이러스 분리 동정 (Identification of Virus from Azuki Bean Plant)

  • 허남기;강문석;하건수;김혜자;최장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60-165
    • /
    • 1997
  • 팥 바이러스병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병징의 유형과 생육 단계별 감량정도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병징 유형별 바이러스를 분리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팥에 발생되는 바이러스병의 병징은 크게 mosaic, yellow mosaic 및 severe mosaic의 3가지 군으로 분류되었으며 병징별 분포는 mosaic>severe mosaic>yellow mosaic 순이었다. 2. 성숙기까지 매개충 차단 재배시의 이병률은 1.5%(방임구 20.7%)로서 생육 후기에 감량될수록 이병률이 낮았으며 10a당 수량도 171kg으로서 방임구에 비하여 45% 증수되었다. 3. 지표식물 검정 결과 mosaic 유형은 CMV, yellow mosaic 유형은 AMV, severe mosaic 유형은 AzMV의 기주범위와 유사하였다. 4. 항혈청에 의한 각 병징별 반응결과 yellow mosaic 유형의 시요는 AMV 항 혈청과 mosaic 유형의 시요는 CMV의 항혈청과 침강선이 형성되어 각각 AMV 및 CMV의 한 계통으로 판정되었다. 5. 병징 유형별 전자현미경 관찰결과 yellow mosaic유형은 18~58$\times$18nm의 타원형 입자가 다수 관찰되었고 mosaic 증상의 시요에서는 직경 30nm의 구형 입자, severe mosaic병징의 시요에서는 730$\times$12nm의 사상형 입자와 봉입자가 관찰되었다.

  • PDF

가잠의 전염성 연화병 및 농핵병 바이러스 증식에 관한 연구 (Multiplication of Infectious Flacherie and Densonucleosis Viruses in the Silkworm, Bombyx mori)

  • 김근영;강석권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1
    • /
    • 1984
  • 가잠에 있어서 피해가 많은 전염성 연화병(Flacherie Virus; FV)과 농핵병 바이러스(Densonucleosis virus; DNV)의 증식에 관한 연구를 행하기 위하여 서당밀도 구배 초원심분리법에 의한 양바이러스의 정제 및 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 바이러스 감염잠의 중장과 체액에서의 핵산과 단백질의 변동 및 감염중장 피막세포의 전자현미경에 의한 병리조직학적 관찰 등, 일연의 조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1. 서당밀도구배에 의한 초원심분리법을 이용하여 FV 및 DNV를 분획한 결과, base line이 낮고 좌우상칭의 단일 peak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바이러스 분획을 얻었으며, 또한 이들 바이러스의 negative 염색에 의한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FV는 27nm, DNV는 21nm의 균일한 구형입자임이 확인되었다. 2. 두 바이러스 감염잠의 체중은 바이러스 접종 6일 후부터, 중장중은 바이러스 접종 3일 후부터 건전잠에 비해 뚜렷한 감소를 나타냈다. 3. DNA의 양적 변화는 FV 및 DNV 감염잠에서 공히 중장에서는 전기간을 통해 건전잠에서 보다 높았고, 체액에서는 바이러스 접종 초ㆍ중기에는 큰 변화가 없고 바이러스 접종 7일 이후에는 건전잠에서 보다 훨씬 낮았다. 4. RNA의 양적 변화는 FV 및 DNV 감염잠에서 다같이 바이러스 접종 초기에 중장에서는 건전잠에 비해 높았고, 체액에서는 건전잠에 비해 매우 낮았으나, 바이러스 접종 말기에는 중장 및 체액의 경우 공히 건전잠에서 보다 현저히 낮았으며 그 정도는 DNV 감염잠에서 더 심했다. 5. FV 및 DNV 감염잠에서 중장과 체액의 단백질은 바이러스 접종 중기까지는 건전잠에 비해 큰 변화가 없었으나, 접종 말기에서는 건전잠에서 보다 월등히 낮았다. 6.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의 FV 및 DNV 감염잠 중장 RNA 전기영동상은 건전잠의 중장 RNA인 26S, 17S, 5S 및 4S의 4종 band와 동일했다. 7. FV 및 DNV 감염잠의 중장 단백질 전기영동상은 바이러스 접종 1일과 5일 후에는 건전잠의 것과 큰 차이가 없고, 접종 8일 후에는 건전잠에 존재하는 이동도가 낮은 L band가 양 바이러스 감염잠에서는 공히 소실되는 반면, 건전잠에서 볼 수 없는 이동도가 중간인 M band가 새로이 나타났으며 비교적 이동도가 높은 건전잠의 N band는 양 바이러스 감염잠에서는 2개로 분리되었다. 8. 체액단백질의 전기영동상은 FV 및 DNV감염잠 공히 건전잠의 것과 유사하나,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양적인 감소를 나타내어 건전잠의 약 40%에 지나지 않았다. 9. FV 감염중장조직을 pyronin-methyl green 2종 염색을 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의 중장원동세포내에서 A형 및 B형 봉입체가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0. FV감염 중장조직세포의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바이러스 접종 5일 후에 배상세포의 'cytoplasmic wall'이 비대해지고 그 내부에 virus-specific vesicle이 형성되었으며, 바이러스 접종 8일 후에는 virus-specific vesicle, 바이러스 입자, linear structure, tubular structure 및 전자밀도가 높은 matrix 등의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특이적인 구조물이 배상세포의 세포질에서 관찰되었으며, microvilli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의 존재도 확정되었다. 특히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구형의 바이러스 입자 유사체가 관찰되었는데, 이것은 virus-specific vesicle 주위에서 바이러스 조립이 일어나는 것을 추정된다. 한편 원통세포 내에서 봉입체 관찰되고, 변형소구화된 배상세포가 중장강으로 탈락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11. DNV감염 중장조직을 acridine orange 염색을 하여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DNV접종 5일 후에 본 바이러스 증식 장소인 원동세포핵의 비대가 뚜렷이 관찰되었다. 12. 전자현미경에 의해 DNV감염 중장조직세포를 관찰한 결과, 바이러스 접종 5일 후에 원동세포 핵내의 인이 소형 과립으로 붕괴되어 산재되었고, 접종 8일후에는 전자밀도가 높은 virogenic stroma가 출현하였으며, 감염 말기로 추정되는 핵내의 전자밀도가 전자보다 낮고 더욱 확대되어 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virogenic stroma도 관찰되었다. 또한 이들 virogenic stroma내에서 바이러스 입자유사체가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 이 virogenic stroma는 바이러스 전구물질의 합성 및 바이러스 조립장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 PDF

양식산 넙치로부터 HRV-like Rhabdovirus의 분리 (A New Rhabdovirus (HRV-like) Isolated in Korea from Cultured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오명주;최태진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29-136
    • /
    • 1998
  • 1997년 3월 전라남도 및 경상남도의 해산어 육상 및 가두리 양식장에서 양성 중이던 넙치가 HRV(hirame rhabdovirus, Rhabdovirus olivaceus) 감염증과 유사한 증상을 나타내어 그 원인을 조사한 결과 새로운 rhabdovirus가 분리 되었다. 분리 바이러스(DF-9708)는 RTG-2 및 EPC 세포주에서 $15^{\circ}C$로 배양하였을 때 랩도바이러스 특유의 세포변성효과(CPE)를 나타내었으나 CHSE-214에서는 증식되지 않았다.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감염 세포내의 바이러스 입자 형태를 관찰해본 결과 bullet-shape의 크기 $70nm{\times}100\sim150nm$으로 인벨롭을 가진 바이러스였다. 분리바이러스는 pH 3 및 diethyl ether의 처리 조건에서는 감염성을 상실하였고, 열($50^{\circ}C$ 5 min, $60^{\circ}C$ 1 min)에도 약한 성상을 나타내었다. DNA 저해제인 IUdR $10^{-4}$M 처리에 의해서는 바이러스 감염가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분리 바이러스는 Anti-HRV(8401-H) rabbit serum에 의해서만 중화 되었고, 전염성 조혈기 괴사증 바이러스(IHNV), 연어과 레오바이러스(CSV), 바이러스성 선회병 바이러스(RVS) 및 전염성 췌장괴사증 바이러스(IPNV) 등의 국내에서 분리되어지는 바이러스 항체로는 중화되지 않았다. 초원심법으로 정제한 분리 바이러스를 전기영동 한 결과 polymerase(L), glycoprotein(G), nucleoprotein(N) 및 2개의 matrix proteins(M1 및 M2)으로 구성되어져 있었으며, 각 단백질의 분자량은 L, 160 kDa; G, 55 kDa; N, 45 kDa; M1, 26 kDa; M2, 22 kDa의 크기로 계산되었다. 새롭게 분리된 바이러스는 외부증상으로는 기존의 HRV 감염과 유사한 점을 나타내었으나 그 바이러스학적 특성에 있어 약간의 차이점이 있어 본 분리바이러스를 우선 Nubchi rhabdovirus(NRV)(HRV-like)로 부르기로 한다.

  • PDF

Acinetobacter sp. 배양여과액 분말제제의 식물바이러스에 대한 감염억제 효과 및 작용 (Inhibitory Effect on Infection of Plant Viruses by Filtrate Powder from Culture Broth of Acinetobacter sp. and Its Mode of Action)

  • 김미순;정민영;김윤성;장철;황인천;류기현;최장경
    • 식물병연구
    • /
    • 제12권2호
    • /
    • pp.91-98
    • /
    • 2006
  • Acinetobacter sp. KTB3의 배양여과액으로 제조한 분말 제제 KNF2022의 바이러스 감염억제 효과를 PMMoV 와 N. glutinosa 또는 N. tabacum cv. Xanthi nc를 이용하여 검정한 결과, 증류수 1/100 배양액의 실질 농도 10,000 ppm) 희석농도에서 $94.3{\sim}95.6%$의 높은 감염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이 1/100 희석농도를 이용하여 PepMoV-C amaranticolor에서 검정한 억제효과는 97.1%, CMV-C amaranticolor 에서는 92.5%의 감염억제를 나타냈다. KNF2022 희석액을 N. glutinosa의 반엽에 도말하고 일정 시간 경과 후 PMMoV를 접종하여 조사한 억제효과의 지속성은 처리 2 일 후까지 약 80% 선에서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나, 처리 4 일 후부터는 50% 수준으로 저하되었다. 고추에 KNF2022를 처리한 후 3 종의 바이러스를 접종하고 발현되는 병징을 조사한 결과, 각 바이러스를 단독으로 접종하였을 경우는 바이러스의 종류에 관계없이 접종 후 10 일까지 병징발현이 지연되는 효과를 보였다. 특히 PepMoV를 접종한 경우는 접종 후 30 일까지 병징발현이 억제되어 제제의 처리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이들 3 종 바이러스의 복합감염에 대한 KNF2022의 효과는 모든 바이러스 조합에서 단독감염 보다 강하게 발현되어 병징억제의 효과는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제제를 처리한 고추에서 증식된 바이러스의 농도를 PCR 및 ELISA로 검출한 결과, PepMoV를 단독으로 접종한 경우, 접종 후 30 일까지 cDNA가 검출되지 않았다. RT-PCR 검정에서 억제효과가 인정된 PepMoV와 그 복합감염 의 조합에 대해서 ELISA 검정을 실시한 결과, PCR 검정에서 얻어진 결과와 유사한 패턴을 보여 PepMoV에 대한 감염억제효과가 뚜렷하게 인정되었다. KNF2022를 처리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PMMoV와 PepMoV는 처리 5 분 후에 각각 200-250 nm 및 400-600 nm의 길이로 절단된 입자가 많이 관찰되었고, 처리 30 분 후에는 대부분 100-150nm와 300-500 nm의 절편입자로 관찰되었다. 이와 같이 절단된 입자가 증가할수록 N. tabacum cv. Xanthi nc 와 C. amaranticolor에서 나타난 병반수는 급격하게 감소되었다. 한편 KNF2022를 처리한 후 전자현미경을 관찰한 CMV의 바이러스 입자는 처리시간에 비례하여 파괴된 입자의 수가 증가하였으며, 파괴된 바이러스입자가 증가할수록 C. amaranticolor에서의 병반수도 감소되었다.

양식산 넙치 치어로부터 분리한 버나바이러스의 Marine Birnavirus(MBV)와 Infectious Pancreatic Necrosis Virus(IPNV)와의 연관성 (Biological and Serological Characteristics of Birnavirus Isolated from Cultured Japanese Flounder in 1999)

  • 오명주;정성주;김형락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6-62
    • /
    • 1999
  • 1998년 12월에서 1999년 3월에 걸쳐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넙치 치어의 대량 폐사가 일어났다. 감염어 샘플을 CHSE-214에 접종한 3일 후부터 세포의 구형화, 용해를 특징으로 하는 CPE가 나타났으며, 전자현미경 관찰에서는 크기가 52-56 nm의 구형의 바이러스입자가 세포질 내에서 관찰되었다. RT-PCR에 의한 버나바이러스 특이적 검출의 결과 양성이었다. 어류주화세포를 이용한 바이러스 배양 특성을 확인한 결과 분리바이러스는 MBV와 유사한 세포선택성을 나타내었으나 IPNV와는 세포내 배양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바이러스 중화 시험에서 항MBV Y-6혈청과 완전히 중화되었으나, IPNV Ab, Sp, VR-299치 항혈청과는 중화 항체가가 낮게 나타나났다. 본 바이러스는 한국의 넙치에서 분리된 IPNV와 다른 새로운 버나바이러스로서 marine birnavirus(MBV)에 속한다.

  • PDF

젤라틴입자응집반응법을 이용한 국내 시판 고추종자의 Tobamovirus 검출 및 오염률 조사 (Detection of Tobamoviruses and Survey on Contamination Rate in Commercial Pepper Seeds Using Gelatin Particle Agglutination Test)

  • 한정헌;장태호;이철호;김영호;나용준
    • 식물병연구
    • /
    • 제7권3호
    • /
    • pp.170-174
    • /
    • 2001
  • 시판고추 종자로부터 Tobamovirus를 검출하고 Tobamovirus 오염률을 조사하고자 gelatin particle agglutination test (GPAT)의 최적조건을 조사하였다. Gelatin 입자에 감작할 담배 모자이크 바이러스 고추 계통에 대한 ${\gamma}$-globulin G 의 최적농도는 100$\mu\textrm{g}$/$m\ell$이었고, GPAT의 바이러스 검출 감도는 효소면역항체법 및 dot immuno-binding assay와 유사하였으며, Tobamovirus 검출을 위한 종자시료의 최적 희석배수는 5배에서 25배였다. 그리고 최적화된 GPAT에 의한 국내시판 고추종자의 Tobamovirus 오염률은 평균 79.1%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