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바람 취약성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3초

침수 취약성 평가: 안면도 바람아래 조간대 지역을 사례로 (Assessment of Flood Vulnerability: Baramarae Intertidal Area in Anmyeondo, Korea)

  • 김장수;장동호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9-39
    • /
    • 2010
  • 기후변화는 바람아래 조간대 지역에서 해수면의 급격한 상승을 야기하며, 여러 가지 사회·경제적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람아래 조간대 지역의 해수면 상승에 따른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다중시기 위성영상과 GIS기법을 이용하여 먼저 바람아래 조간대 지역의 DEM을 추정하고, 이를 통해 IPCC SERS 시나리오별 조간대 침수지역을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해수면이 20cm 상승하면 약 68ha의 간석지가 침수되고, 30cm 상승하면 85ha, 40cm가 상승하면 103ha, 50cm 상승 시 121ha, 60cm 상승 시 139ha의 간석지가 침수됨을 분석할 수 있었다. 해수면 상승의 영향을 가장 크게 받는 지역은 태안군 고남면 고남리 가경주 마을 전면에 위치한 간석지로, 상대적으로 간석지의 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하기 때문이다. 침수 예상지역의 간석지는 현재 주민들이 굴과 바지락 등을 양식하고 있어서, 향후 기후변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에 따른 경제적 피해가 점차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도시지역의 바람길 조성을 위한 야간시간대의 공기순환성 평가 (Air Ventilation Evaluation at Nighttime for the Construction of Wind Corridor in Urban Area)

  • 송봉근;박경훈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6-29
    • /
    • 2013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시를 대상으로 MetPhoMod 모델링의 야간시간대 바람패턴결과를 이용하여 공기순환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공기순환성 평가는 바람의 지속성과 교란성의 평가지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바람의 지속성은 바람패턴의 풍속, 바람의 교란성은 풍향의 다양성 결과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도시지역 중 공기순환성이 취약한 지역은 봉림동, 용지동, 반송동 등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용지동과 상남동, 사파동의 고층아파트 및 상업지역, 단독주거지역에서 바람정체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순환성이 취약하여 바람정체현상이 발생하는 지역에 대해 공간개선을 함으로써 바람의 유동이 원활할 수 있도록 조성되어야 할 것이며, 도시외곽에서 생성되는 바람이 지속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개발계획차원에서 바람길 조성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강풍 발생 시 국내 가로수의 취약성 분석 (Wind Fragility for Urban Street Tree in Korea)

  • 심 비리야붓;정우영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98-304
    • /
    • 2019
  • 이 논문에서는 한국의 가로수에 대한 바람 취약성을 유도하는 분석 방법을 보여준다. 몬테 카를로 시뮬레이션 방법은 도시 가로수의 파괴 확률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 확률 결과는 대구 지역의 가로수를 기반으로 4 가지 유형에 대한 바람 취약성 매개 변수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이로 인해 풍하중에서 가로수 손상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 직경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선택된 4 가지 유형 중에서 높이 7m, 직경 35cm의 가로수는 손상률이 제일 낮은 반면, 높이 8m, 직경 30cm의 가로수는 가장 낮은 풍하중에서 저항하였다. 높이 7m의 가로수의 평균 손상 풍속은 직경 30cm 및 35cm에 대해 각각 43.8m/s 및 50.6m/s로 나타났으며, 높이 8m의 가로수의 평균 손상 풍속은 직경 30cm 및 35cm에 대하여 각각 38.7m/s 및 45.4m/s로 나타났다.

구조재료 변수 상관관계를 고려한 격납건물의 내압취약도 평가 (Assessment of Internal Pressure Fragility of Containment Buildings considering the Correlation of Structural Material Variables)

  • 함대기;김정한;최인길;이홍표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396-399
    • /
    • 2011
  • 격납건물의 내압취약도 평가를 위하여 격납건물 구조재료 변수 각각의 재료특성 시험 결과를 분석하여 현재상태 중앙값 및 변동계수 값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값은 최근의 가동중 검사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출된 구조재료 변수들의 재조합을 통해 상관성을 배제시키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서, 변수 간의 상관성이 격납건물 취약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기존의 방법과 대비하여 분석하였다. 본 예제의 경우에는 의도치 않은 변수간 상관성에 의해 2%가량 내압성능이 작게 평가되는 결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문제의 경우 구조재료 변수의 특성과 추출된 변수의 임의성에 의해 영향이 증폭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합리적인 내압취약도 평가를 위해서는 상관관계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교량의 내진성능 평가를 위한 확률적 지진안전성 분석 - 역량스펙트럼법을 이용한 지진취약도 분석을 중심으로- (Probabilistic Safety Analysis for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Bridges -Focused on Fragility Analysis using Capacity Spectrum Method-)

  • 이진학;김상훈
    • 전산구조공학
    • /
    • 제17권2호
    • /
    • pp.31-41
    • /
    • 2004
  • 몇 일 전 필자는 대전에 위치한 한 연구소에 근무하고 계신 분으로부터 지진취약도 분석에 관한 문의 전화를 받았다. 그분의 대학 후배가 지진취약도에 대한 연구를 하고 싶다는 내용이었다. 최근 필자는 그분 외에도 다른 분들과 함께 지진취약도 분석 및 이를 확장한 바람에 의한, 혹은 홍수에 의한 구조물의 확률적 안전성 분석에 관한 논의를 하곤 하였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구조물의 취약도 분석에 대한 연구가 그다지 활발하지 않으나, 이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여진다. 지진취약도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임의의 크기를 갖는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구조물에 어느 규모 이상의 손상이 발생할 확률"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조물의 확률적 지진안전성으로 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지반가속도가 0.1g인 지진이 발생하였을 때, 해당 구조물에 보수를 요하는 수준 이상의 손상이 발생할 확률이 30%이다"와 같은 정보를 지진취약도 곡선으로부터 읽을 수 있다. (중략)

월성 2,3,4호기 컴퓨터 시스템과 한국형 표준원전 컴퓨터 시스템의 비교 분석

  • 이경호;이병채;이순성;전종성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491-498
    • /
    • 1996
  • 울진 3,4호기의 발전소컴퓨터계통(PCS)은 한국형 표준 원전의 컴퓨터 시스템으로 향후 완벽한 시스템으로의 구성을 위해서는 설계 개념의 재검토와 보완이 필요하다. 그 과정의 일환으로 국내 기술진에 의해 이미 상당부분의 기술을 습득한 월성 2,3,4호기의 발전소 제어 컴퓨터계통(DCCS)과 개념적인 비교를 통하여 PCS에서의 설계개선 사항을 구조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PCS는 실시간 처리가 취약하였고, 몇몇 화면의 구성이 운전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개선되어야 하였다. 또한, DCCS와의 공통적인 취약점으로는 개발환경의 낙후, 데이타 처리능력의 저조, 주변기기와의 데이터 통신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호환성 및 확장성이 대체로 취약하였다.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는 시스템의 전격적인 교체보다는 부하 분산을 통한 실시간 처리와 점진적인 주변기기의 교체가 바람직하며, 이러한 점진적인 시스템의 교체시 고려사항과 운전원에게 제공되는 화면의 재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강수 및 온도 변동성 분석 (Variability analysis of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in Korean Peninsular under climate change)

  • 권현한;김민지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3-363
    • /
    • 2012
  • 최근 극심하게 변화하고 있는 기후에 적응하기 위해서 미래 기후를 좀 더 정확하게 예측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다. 결국,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 강수, 습도, 바람 등의 기후정보를 기후모형을 이용하여 얻게 되면 이에 따라 우리가 받게 되는 영향, 취약성 등을 평가하여 다양하게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지형적으로 육지의 70% 정도를 산악 지역이 차지할 만큼 복잡한 지형과 다양한 기후의 특성을 나타나고 있어 미래에 대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산출하는 기본적인 도구이면서 공간해상도가 약 400km인 전지구 기후모형(Global Climate Model; GCM)으로 그대로 활용하기에는 곤란하다. 따라서 지역기후모형(Regional Climate Model; RCM)을 통해서 추정된 A1B시나리오를 기본 기후변화 시나리오로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GCM이나 RCM 기반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실제 강수의 특성을 제대로 재현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통계적인 상세화 기법을 통해서 수문학적으로 활용 가능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생산하여 이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새롭게 제공되는 RCP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북한을 포함하는 한반도 전체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BLE기술 기반 비콘 결제 시스템의 취약점과 대응방안 연구 (A Study on the Vulnerabilities of the BLE Technology-based Beacon Payment System)

  • 신영현;이근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66-467
    • /
    • 2015
  • ICT 기술의 발달과 활용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서비스와 시스템의 융합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결제시스템 방식에 관심이 늘어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여러 가지 IT기술들이 접목되어 시장에 나타나고 있다. 최근 주목받고 있는 기술로 BLE(Bluetooth Low Energy)기반인 비콘이 있다. BLE 비콘은 에너지 소모율이 적은 것이 가장 큰 특징이며 자동으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비콘이 스마트폰 결제 시스템에 새로운 방식이며 혁신의 바람을 불러온 것은 사실이지만, 비콘 관련 연구 및 개발에서 블루투스 신호를 사용한다는 점을 바탕으로 거리의 정확도의 미흡함과 통신 도달범위가 크다는 것을 관련하여 보안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된다. 본 논문에서는 BLE 비콘 결제의 전반적인 시스템을 분석하고 보안의 취약함을 도출하여 그에 따른 요구사항을 연구함으로써 결제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대응방안을 제안한다.

개폐식 대공간 막 구조물에서 지붕 맞댐부 우수차단 시스템의 수밀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Watertightness Properties for Rain-Block System in the Sliding-Roof Joint of Large-Span Membrane Structures)

  • 오상근;백기열;이선규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29-136
    • /
    • 2010
  • 지붕 개폐형태의 대공간 막 구조물은 멀티미디어적인 요소 및 전천후 공간을 활용할 수 있지만, 다수의 연결 조인트에 의해 구조물이 형성되므로 누수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개폐식 지붕 맞댐부위의 우수차단 시스템은 우수의 직접적인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바람을 동반한 강우환경에서도 수밀성능이 요구된다. 따라서 상기의 환경 조건을 부여한 수밀성 실험을 통하여 우수차단 시스템의 디테일에 대한 수밀성능을 평가하고자 한다. 실험 결과, 모든 실험체에서 누수가 발생하였으며, 우수의 유입경로는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바람에 의하여 물입자들이 구조물 내부로 들이치는 현상이 주원인이므로 이를 보완한 새로운 우수차단 시스템의 디테일이 요구된다. 이 연구를 통해 강우 환경과 바람 환경을 동시에 부여하였을 때 발생될 수 있는 우수 침입 경로를 확인하였으며, 수밀 성능 확보 유무가 사전에 검토되어 져야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디테일을 사전에 작성하여 모형 수밀성 시험을 반드시 시행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설계 디테일의 변경, 개선, 보완시공을 하여야 할 것이다.

국내외 건축용 유리 및 커튼월의 안전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Standard of Architectural Glass and Curtain Wall)

  • 김지영;김남혁;김동은;서동구;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163-167
    • /
    • 2010
  • 최근 건축물의 초고층화에 따른 커튼월 시공에 따라 유리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커튼월 구조는 바람, 지진 등에 취약하며, 화재 안전성에 있어서도 취약할 것이라 판단되므로, 국내외 건축용 유리 및 커튼월의 안전기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국내의 유리 기준은 단열 및 내풍압 성능에만 집중되어있으며, 화재 및 지진, 안전성능에 대한 기준이 미비하며, 커튼월에 대한 안전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외국의 사례와 같이 초고층에서 커튼월의 안전성능을 고려한 설계프로세스나 안전 기준의 세부화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