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바람직한 구성

Search Result 332, Processing Time 0.044 seconds

The Analysis of Informational Structure and Labeling System of Academic School Websites (대학 웹사이트의 정보구조 및 레이블링 시스템 분석)

  • Lee, Seung-Min;Nam, Tae-Woo;Kim, Se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3 no.2
    • /
    • pp.39-59
    • /
    • 2006
  • In this study we proposed a new informational structure and category labels to fully support the functions of school websites as an access tool to its contents. The proposed model was divided into three main aspects. First, main menu structure was the primary guideline to access information embedded in a website. Therefore, The proposed main menu structure consisted of 9 categories that are commonly provided by 17 existing school websites. Second, first-level categories consisted of total 35 categories under 9 main menu categories. Each category was placed under certain categories in main menu based on the relationships with the meaning of the upper level categories. Third, the proposed model adopted general and comprehensive terms as category labels. The terms used as category labels were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category labels,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terms were selected from the current school websites.

Analysis of Pattern of Mathematical Interaction Occurring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rooms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 분석)

  • Cho, Young-Jun;Shin, Hang-Kyu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4 no.3
    • /
    • pp.681-700
    • /
    • 2010
  • These days, the importance of the mathematics interaction is strongly emphasized, which leads to the need of research on how the interaction is being practiced in the math class and what can be the desirable interaction in terms of mathematical thinking.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thematical interaction patterns and mathematical thinking, it also classifies mathematical thinking levels into the phases of recognizing, building-with and constructing. we can say that there are all of three patterns of the mathematics interactions in the class, and although it seems that the funnel pattern is contributing to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students and teachers, it has few positive effects regarding mathematical thinking. In other words, what we need is not the frequency of the interaction but the mathematics interaction that improves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it is the focus pattern that is desirable mathematics interaction in the class in the view of mathematical thinking.

  • PDF

지금 여기 - '에너지 정책 합리화를 추구하는 교수협의회' 출범

  • 한국원자력산업회의
    • Nuclear industry
    • /
    • v.38 no.3
    • /
    • pp.8-10
    • /
    • 2018
  • 에너지 정책 합리화를 촉구하기 위해 전국 대학의 에너지 관련 교수들로 구성된 '에너지 정책 합리화를 추구하는 교수협의회'(이하 에교협)가 3월 23일 한국프레스센터 프레스클럽에서 창립기념토론회를 갖고 본격적인 활동을 개시했다. 서강대 이덕환 교수, 숭실대 온기운 교수, 카이스트 성풍현 교수 3인이 공동대표를 맡은 에교협은 이날 '우리나라의 바람직한 전력수급기본정책 방향 :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개정을 위한 제언'을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에교협에는 이공계, 인문사회계 등 에너지를 전공하는 전국 57개 대학의 210명의 교수가 가입한 상태이며, 앞으로도 추가 가입이 이어질 예정이다. 다음은 에교협 창립 취지문 전문이다.

  • PDF

Pour un traitement lexicographique des proprietes syntaxiques et lexicales des noms coreens (언어사전의 명사항목 구성을 위한 통사 어휘 정보)

  • Hong, Chai-S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89.10a
    • /
    • pp.96-98
    • /
    • 1989
  • 본 발표는 현대 한국어 어휘에 대한 공시적 시각 우위의 총체적 기술을 지향하는 대규모 언어사전의 명사 항목 내에 표시 되어야할 주요 통사 어휘 정보가 어떠한 것인가 하는 문제를 다룬다. 특히 기간 한국어 사전에서 소홀히 취급되었거나 무시되었으나, 언어학적으로는 중요하고, 따라서 언어 사전에 기록되는 것이 바람직한 한국어 명사의 통사 어휘적 속성의 일부를 소개해 보기로 한다.

  • PDF

학습부진아에 대한 효율적인 지도방법 - 고등학교 중심 -

  • Lee, Sang-W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0
    • /
    • pp.237-270
    • /
    • 2000
  •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학습부진아를 위하여, 자연과학의 기초가 되고, 학습의 전이가 높다고 생각되는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학습부진아의 특성을 규명하고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수, 학습방법, 수학적 능력향상, 학습부진아에게 새로운 흥미와 학습 의욕을 야기 시켜 보다 효율적인 지도방법, 학습부진아의 원인을 규명하고, 개인차에 알맞은 학습과 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학습부진아를 위한 교재를 개발하여 학습의 전의력을 높임으로써 수학교과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수, 학습 모형을 구성 적용하고, 학습에 대한 태도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키고, 학습부진아를 위한 효율적인 지도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 PDF

건축사협회에 바란다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1 s.309
    • /
    • pp.59-69
    • /
    • 1995
  • 우리 사회의 모든 부문에서 변화의 움직임이 일고 있다. 이는 기존의 체제와 대응논리로는 더이상 새로운 시대적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위기감에서 비롯된 것이다. 변화에 낙오되지 않으려면 사회 각 부문의 이러한 위기의식은 우리 건축계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번 막을 내린 전국 시ㆍ도건축사회총회와 정기총회에서 새롭게 구성된 새집행부가 하나같이 "변화와 개혁"을 정책 목표로 설정한 사실은 이를 잘 반증해 준다. 이에 본지는 국제화ㆍ개방화 시대에 부응한 "건축사협회의 나아갈 길"이라는 대명제를 해결하기 위한 건축인의 의식개협, 협회의 체질개선을 포함한 협회의 바람직한 운영방향 등을 전반적으로 모색해 협회발전의 기틀을 세우는데 일익을 담당하고자 한다.

  • PDF

Gyrator-Based Analyses of Resonant Circuits i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자이레이터를 이용한 자기유도 전력전달시스템의 공진 회로 해석)

  • Sohn, Yeong H.;Choi, Bo H.;Cho, Gyu-Hyeong;Rim, Chun T.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7-1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자이레이터를 사용하여 자기유도 전력전달시스템(IPTS)의 보상 회로를 해석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보상회로를 주로 구성하는 갖가지 공진 회로와 유도 결합 코일이 자이레이터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인다. 그러므로, 자이레이터의 바람직한 특성들을 보상 회로의 전원-로드 이득, 전원의 역률 등을 해석하는데 사용할 수 있음을 보인다. 제안된 해석 방식은 적용이 간편하고 서로 다른 보상 회로에도 동일한 형태로 적용된다는 장점이 있다.

  • PDF

The Access Network Architecture for Multi-service (멀티서비스 적합형 액세스네트워크 구조)

  • Lee Sang-Moon;Lee Gwang-Yong;Kwon Kyoung-I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90-94
    • /
    • 2004
  • 본 고에서는 지금까지의 통신 서비스의 주류를 형성했던 접속 중심의 서비스가 한계상황에 도달함에 따라 사업자 또는 네트워크 장비측면에서 그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는 응용 및 솔루션 기반의 멀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액세스네트워크 차원의 구축 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지금까지의 액세스네트워크는 음성 서비스면 음성 서비스에 적합하게, 데이터 서비스면 데이터 서비스에 적합한 구도로 구축되어 왔지만 향후에는 멀티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망 구조를 단순화하고 트래픽을 집선하며 가입자에 대한 인증 및 개별 과금 등과 연계될 수 있도록 하며, 서비스에 따라 QoS 및 라우팅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기존 네트워크 상에 별도 시스템을 통해 구축하는 방안과 시스템 내부 기능을 통해 구축하는 방안의 두 가지를 비교하고 향후의 바람직한 구축 방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현재 국내 액세스네트워크의 구축 연혁 및 구조를, 3장에서는 멀티서비스 중심의 서비스 체계로의 전환의 당위성과 멀티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요구사항, 기능을 구체화하고 현재 및 신규 액세스네트워크를 위한 구조를 비교한다. 그리고 마지막 4장에서는 바람직한 액세스네트워크의 구조의 방향을 제안하고 결론을 맺는다.

  • PDF

Power System Stabilizer by Nonlinear Observer Backstepping Output Feedback (Nonlinear Observer Backstepping 출력 궤환 제어에 의한 전력계통안정화장치)

  • Lee, Sang-Seung;Li, Shan-Ying;Park, Jong-Keun;Moon, Sung-Il;Yoon,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4.11b
    • /
    • pp.237-239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Nonlinear Observer Backstepping 출력 궤환 제어에 의한 비선형 전력계통안정화장치(NPSS)를 개발하였다. 이 기법은 출력단자의 측정만으로 매우 강한 전력계통의 고유한 특징인 강한 비선형을 처리할 수 있는 바람직한 제어기를 구성할 수가 있다. 첫 번째로 비선형 관측기를 통하여 측정할 수 없는 부분의 상태들을 대신할 수 있는 출력 궤환 관측기를 구성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이렇게 구성된 관측기에 매번 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backstepping 제어기를 적응하는 것이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제안된 제어기의 효과는 비 제어시, 기존의 Lead-Lag PSS, 그리고 제안된 Nonlinear Observer backstepping 출력 궤환 제어에 기준한 비선형 PSS를 비교 검토하였다.

  • PDF

충북지역 초등수학 영재교육의 분석과 전망

  • Kim, Su-Hwa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227-239
    • /
    • 1999
  • 영재교육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 연구물이 국내에는 그다지 많지 않다. 뿐만 아니라 지금 한국과학재단에서 지원하고 있는 전국의 9개 대학 과학영재교육센터 역시 실천적인 차원의 활동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외국의 대학부설 연구소들이 30년 이상 이와 같은 연구와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실천해오고 있는 사례들을 우리는 쉽게 찾을 수 있다는 점을 거울 삼아 모처럼 마련된 국가적 차원의 지원을 토대로 그 바람직한 실천과 연구를 위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본다. 첫째, 질적 연구의 집적에 힘써야 한다. 영재교육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전제로 할 때는 더구나 그렇듯이 일반화를 전제로 한 양적 연구보다는, 사례연구와 같은 질적 연구물들의 집적에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할 것이다. 둘째, 교수-학습 활동은 활동이론과 구성주의 이론의 적절한 조화가 요망된다. 구성주의 이론에 입각한 교수-학습 활동의 모습을 단적으로 말하자면, 학습자 자신이 주어진 문제 상황에서의 탐구를 통하여, ‘구체적인 것에서 추상적인 것으로’ 나아가 스스로 지식을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나, 활동이론에 입각한 교수-학습 활동의 요지는 활동은 정말로 전형적인 활동에 국한하고 나머지는 교사의 설명에 의해 학습자들이 ‘추상적인 것에서 구체적인 것으로의 소급’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완전히 정반대의 주장을 하는 것 같으면서도 일면 그 타당성들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학제적 ${\cdot}$ 통합적 연구가 절실하다. 연구의 측면에서 수학반 아동과 과학반 아동들의 활동상의 차이점이나 유사점 등에 대한 질적 연구를 시도해보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일이 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