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바닥공조

Search Result 4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ir-conditioning design for industrial large space (산업용 대공간에 대한 공조계획)

  • 윤원석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8 no.1
    • /
    • pp.25-30
    • /
    • 1999
  • 최근 고도의 경제성장과 함께 유통구조의 선진화로 대형화, 하역 및 적재, 운반기계의 자동화를 도입하므로써 생산 또는 보관제품의 품질 보존, 작업 인원의 최소화 및 교통체중에 대한 적절한 대응으로 고품격의 물류 서비스를 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생산 또는 보관제품의 품질 보존을 위해서는 물류 창고 내의 물류 특성에 따른 실내 공조환경 즉, 적정한 온 습도 및 기류를 유지하도록 공조설비를 계획하여야 하는데 층고가 높고 바닥면적이 넓은 대형 물류센터 즉, 산업용 대공간에 대한 공조설비는 층고 높이로 적재된 장애물을 극복하고 취출되는 기류가 실내 전체에 골고루 확산 및 순환 될 수 있도록 적정한 공조방식을 선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계획에서는 주로 N-스포츠사의 이천 물류센터 공조방식의 설계 사례를 들어 산업용 대공간에 대한 공조계획 개선 방안을 소개 하고자 한다.

  • PDF

바닥 급기 공조의 전망

  • 김영일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8
    • /
    • pp.54-59
    • /
    • 2001
  • 바낙 공기 급기(UFAD, underfloor air distribution)는 사무실과 상업 건물의 공조를 위하여 바닥 하부 공간을 사용하는 혁신적인 기술이다. 북미에서는 UFAD가 기존 천장 공기 급기 방식에 비하여 많은 장점을 지니므로 그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잘 설계된 UFAD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지닌다. - 건물의 용도 변경에 따픈 유연성이 우수하므로 건물의 생애 주기 비용을 감소시킨다. - 개별 쾌적성 제어가 가능하므로 온열 쾌적성, 거주자의 만족도 그리고 생산성을 향상시킨다. - 거주자주변에 직접 선선한 공기를 공급하므로 환기 효율, 실내 공기질 그리고 건강 상태를 향상시킨다. - 이코노마이저 운전, 온도 성층화 그리고 낮은 정합 운전에 의하여 에너지 비용을 감소시킨다. - 설비 공간이 축소되고 표준 철골 구조에서는 콘크리트 구조체 변경이 가능하므로 새 건축 공법에서는 충고를 감소시킬 수 있다. 1995년까지만 해도 UFAD는 파격적인 설계 기법이라고 여겨졌지만, 이제 설계자와 건축업자들은 2004년까지 신축되는 사무용 건축품의 35%는 바닥을 높인 기법이 적용되며 이 중 반 정도가 UFAD를 채택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2000년 2억불이라고 추정되던 바닥을 높이는 건축의 시장 규모가 2004년에는 최소 10억불이 되리라고 예측된다. UFAD는 기본 연구에 의한 정립된 표준화된 설계 기법과 지침이 아직 마련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설계, 시공되고 있다. 이라한 경향은 펄수적인 연구가 수행되어 관련 업계가 지식과 경험을 충분히 쌓기 전까지는 계속될 전망이다. 본고는 시스템 설계와 운영의 주요한 특징, 기존 방식과 비교하여 지니고 있는 잠재적인 장점, 한계와 기술 개발의 필요성, UFAD 기술 개발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요구되는 연구 분야 등을 서술함으로써 현재 UFAD 기술에 대한 평가를 한다.

  • PDF

뉴스광장

  • Korea Boiler Engineering Association
    • 보일러설비
    • /
    • no.2 s.157
    • /
    • pp.88-99
    • /
    • 2007
  • PDF

A Study on the Design Prototype Development of Underfloor Air-Conditioning System(UFAC) for Improving Indoor Environment (바닥급기 공조시스템(UFAC)을 적용한 작업공간의 실내환경 평가기법 개발연구)

  • 정광섭;한화택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2 no.4
    • /
    • pp.325-336
    • /
    • 2000
  • During the last decade, an increasing interest in Underfloor Air-Conditioning(UFAC) systems has emerg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comprehensively the indoor environmental performance of office buildings with UFAC system in order to develope the design prototype of this system. In this paper, the physical measurements and the interviewing survey of occupant's sensation responses to the environment were carried out. Measurements and survey were made of the therm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ir velocity, globe temperature, and the other sever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sound level and the illuminance of working plane, etc. And, the air quality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carbon monoxide, and carbon dioxide in the room. Furthermore, the paper appraises the various indoor environmental factors of the room by using post-occupancy evaluation(POE) method in office building with UFAC system, and thus, it suggests the basic data for assessing the indoor comfort based on field measurements and survey.

  • PDF

Experimental Analysis of Thermal Comfort of an Office Space for Ceiling and Floor Supply Air Conditioning Systems (사무실 공간의 냉방시 천장 및 바닥 급기 공조 방식에 따른 열환경 평가 실험)

  • Cho, Yong;Kwon, Hyurk-Seung;Kim, Sung-Hyun;Kim, Young-Il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2 no.9
    • /
    • pp.810-816
    • /
    • 2000
  • Thermal comfort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dern office buildings. Four major factors affecting thermal comfort are air temperature, velocity, humidity and radiation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se thermal factors in indoor space depends largely on the air flow which is related to the method of supplying and extracting air.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analysis on indoor thermal comfort is conducted to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a ceiling supply cooling system and a floor supply one. The two cooling systems are applied to an office space during summer season and the distributions of temperature, velocity, radiation temperature and PMV are measured. Results show that the floor supply cooling system is superior in terms of thermal comfort and energy saving. Studies need to be done, however, to reduce the vertical temperature difference of a floor supply air conditioning system.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