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밀집 분포도

Search Result 33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Electromagnetic Source Localization of the Cultural Noise in MT Data (MT 탐사자료에 나타나는 전자기적 인공잡음의 송신원 위치 추정)

  • Lee, Choon-Ki;Kwon, Byung-Doo;Song, Yoon-Ho;Lee, Tae-Jong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10 no.4
    • /
    • pp.285-292
    • /
    • 2007
  • Magnetotelluric data recorded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re contaminated by severe noises at dead-band frequencies.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location of noise source using a source localization method. Since conventional beamforming techniques were not adequate for the localization of electromagnetic sources, we used the matched field processing and a genetic algorithm. The solutions for the strong noise signals tend to be localized in a narrow area, whereas those for natural MT signals shows randomly distributed patterns. The strong noise sources are mainly located in the western part of Kyonggi-do.

The First Record of Scleria caricina (R. Br.) Benth. (Cyperaceae) in Korea (한반도 미기록 식물: 애기개올미(사초과))

  • Jang, Chang-Seok;Lee, You-Mi;Park, Su-Hyun;Kim, Jong-Hwan;Cho, Yang-Hoo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0 no.3
    • /
    • pp.179-182
    • /
    • 2010
  • We report S. caricina (R. Br) Benth. (Cyperaceae) as an unrecorded species from Sinan-gun, Jeollanam Province on the Korean peninsula. This taxon was known to be distributed mainly in southeast Asia, China, Japan, and the northern part of Australia. S. caricina is distinguished from other species of the genus Scleria in Korea by having congested inflorescences, 3-toothed pistillate scales at the apex, and enclosed achenes in 2 scales. The new Korean common name, 'Ae-gi-gae-ol-mi', is given considering the small-size of the plants. A description based on the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the illustrations of this species are provided with a taxonomic key to the species of Scleria in Korea.

Optimization Protocol using Load Balancing for Hierarchical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부하 균등화를 위한 클러스터링 최적화 프로토콜)

  • Choi, Hae-Won;Kim, Sang-Jin;Pye, Su-Young;Chang, Chu-Seoc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10
    • /
    • pp.419-429
    • /
    • 2013
  • The Wireless sensor network(WSN) consisting of a large number of sensors aims to gather data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The sensor nodes operate on battery of limited power. so, To extend network life time is major goals of research in the WSN. In this paper, we state the key point of a energy consumption with minimum&load balancing. The proposed protocol guarantee balance of number of cluster member nodes using the node memory threshold and optimization of distribution of cluster head using the optimized clustering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protocol could support the load balancing and high energy efficiency by distributing the clusters with a reasonable number of member nodes.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schme ensure longer life time in WSN as compare with existing schemes such as LEACH and CBLM.

Contrast Improvement Technique Using Variable Stretching based on Densities of Brightness (명암의 밀도에 따른 가변 스트레칭을 이용한 영상대비 개선방법)

  • Lee, Myung-Yoon;Han, Young-Joon;Hahn, Hern-So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5 no.12
    • /
    • pp.37-45
    • /
    • 2010
  • This paper proposes a novel contrast enhancement method which determines the stretching ranges based on the distribution densities of segmented sub-histogram.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image effectively, the contrast histogram is segmented into sub-histograms based on the density in each brightness region. Then the stretching range of each sub-histogram is determined by analysing its distribution density. The higher density region is extended wider than lower density region in the histogram. This method solves the over stretching problem, because it stretches using density rate of each area on the histogram.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the experiments have been carried out on complex contrast images, and its superiority has been confirmed by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methods.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at a Coastal Area in Busan, Korea (부산 해안가 도심지역의 지하수 오염 특성)

  • Kim, Tae-Hyung;Chung, Sang-Yong;Park, Nam-Sik;Kim, D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2026-2031
    • /
    • 2010
  • 연구지역인 수영지역은 부산 동남부 해안가에 위치한 도심지역으로서 수영만과 수영강에 직접 접하고 있어 해수침입의 가능성이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안가에 위치한 도심지역에서 해수면 이하의 지하수 수위가 분포하고 있고, 이에 따른 지하수 수위 하강의 발생 원인과 해수침입에 의한 지하수 수질 오염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지역에서 지하수 수위 및 현장 간이수질(수온, 수소이온농도, 산화-환원전위, 전기전도도, 염도, 용존산소)의 현장조사는 갈수기(2007년 12월)와 풍수기(2008년 7월과 2009년 8월)로 구분하여 약 140여개 관정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정밀 지하수 수질 분석을 위하여 2009년 8월에 50지점의 수질 시료(지하수 44지점, 유출지하수 1지점, 수영강 2지점, 해수 3지점)를 대상으로 지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하수 수위 및 수질을 조사한 결과, 갈수기와 풍수기에 상관없이 지하수 수위가 해수면 이하인 지역에서는 해수침입의 가능성이 나타났다. 지하수 수질 유형은 일반 지하수를 지시하는 $Ca(HCO_3)_2$ 유형, 해수침입이나 인위적인 오염 가능성을 지시하는 $NaHCO_3$ 유형, $CaSO_4$ 유형 및 $CaCl_2$ 유형과 직접적인 해수침입을 지시하는 NaCl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연구지역에서 지하수 수위 하강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지하수 이용량과 지하철에서 발생하는 유출지하수량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지하수 이용량 조사 결과, 306개소에서 $1,531,000m^3$/년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하철의 유출지하수량은 6개의 역사에서 $751,000m^3$/년이 발생하고, 이는 지하수 개발가능량인 $951,000m^3$/년의 2.4배를 초과하여 지하수가 배출되어 지하수 수위하강을 초래하고 있다. 지하수 수위의 하강이 발생하는 지역과 비교 분석한 결과, 수영만에 위치한 광안리해수욕장의 유락시설이 밀집한 지역과 유출지하수가 발생하는 역사 주변 지역에서 지하수 수위의 하강이 크게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에서는 지하수의 이용량과 지하철에서 발생하는 유출지하수에 의해 지하수 수위의 하강이 크게 일어나고, 이들 지역에 해수침입에 의한 지하수 수질 오염이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영강과 인접한 지역에서는 해수의 영향을 받고 있는 수영강의 유입으로 지하수가 염수화 되어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Design of Efficient Cluster Sensor Network Using Approximate Steiner Minimum Tree (근사 최소 스타이너 트리를 이용한 효율적인 클러스터 센서 네트워크의 구성)

  • Kim, In-Bum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7A no.2
    • /
    • pp.103-112
    • /
    • 2010
  • Cluster sensor network is a sensor network where input nodes crowd densely around some nuclei. Steiner minimum tree is a tree connecting all input nodes with introducing some additional nodes called Steiner points. This paper proposes a mechanism for efficient construction of a cluster sensor network connecting all sensor nodes and base stations using connections between nodes in each belonged cluster and between every cluster, and using repetitive constructions of approximate Steiner minimum trees. In experiments, while taking 1170.5% percentages more time to build cluster sensor network than the method of Euclidian minimum spanning tree, the proposed mechanism whose time complexity is O($N^2$) could spend only 20.3 percentages more time for building 0.1% added length network in comparison with the method of Euclidian minimum spanning tree. The mechanism could curtail the built trees' average length by maximum 3.7 percentages and by average 1.9 percentages, compared with the average length of trees built by Euclidian minimum spanning tree method.

Improved Throughput Scaling of Large Ultra-Wide Band Ad Hoc Networks (거대 초 광 대역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의 개선된 용량 스케일링)

  • Shin, Won-Y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8 no.2
    • /
    • pp.303-310
    • /
    • 2014
  • We show improved throughput scaling laws for an ultra-wide band (UWB) ad hoc network, in which n wireless nodes are randomly located. First, we consider the case where a modified hierarchical cooperation (HC) strategy is used. Then, in a dense network of unit area, our result indicates that the derived throughput scaling depends on the path-loss exponent ${\alpha}$ for certain operating regimes due to the power-limited characteristics. It also turns out that the HC protocol is dominant for 2 < ${\alpha}$ < 3 while using the nearest multihop (MH) routing leads to a higher throughput for ${\alpha}{\geq}3$. Second, the impact and benefits of infrastructure support are analyzed, where m base stations (BSs) are regularly placed in UWB networks. In this case, the derived throughput scaling depends on ${\alpha}$ due to the power-limited characteristics for all operating regimes. Furthermore, it is shown that the total throughput scales linearly with parameter m as m is larger than a certain level. Hence, the use of either HC or infrastructure is helpful in improving the throughput of UWB networks in some conditions.

Analysis of Subsidence Mechanism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Program (지반침하 메커니즘 분석 및 평가 프로그램 개발)

  • Choi Sung O.;Jeon Yang-Soo;Park Eu-Sup;Jung Yong-Bok;Chun Dae-Sung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 /
    • v.15 no.3 s.56
    • /
    • pp.195-212
    • /
    • 2005
  • Surface subsidence which occurs with several reasons, such as collapse of gangway, discharge of groundwater, compaction of weak rock mass, and tunnel excavation in shallow depth, gives rise to a serious problem in national infra-structures. In this study, therefore, the mechanism of subsidence has been examined numerically to overcome the passive approach on subsidence occurrence area. With many kinds of numerical studies, the major geotechnical parameters have been selected and the weighted values have been defined for each parameters. Also the authors developed the numerical program which can estimate the possibility of subsidence occurrence, and proposed the decision method for objective and quantitative guideline.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helpful to establish the hazard map on subsidence region.

국내산 납석의 부존현황 및 광물특성

  • 노진환;고상모
    • Mineral and Industry
    • /
    • v.18 no.1
    • /
    • pp.1-17
    • /
    • 2005
  • 국내의 납석 광상은 대부분 백악기의 화산암류들이 열수변질되어 형성된 광상으로서, 주로 전남 및 경남 지역에 밀집되어 분포한다. 납석은 지질 여건상 주로 경상분지 내에 국제적인 규모의 풍부한 부존자원이 있지만, 그 동안의 개발에 의해서 고품위 황석들은 상당히 채진된 상황이다. 현재 개발되고 있는 광체들은 몇 곳의 광산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저품위 광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광체의 탐광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앞으로 고품위 광석에 관한 한 국내의 수요를 충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이를 것으로 예견된다. 현재 국내에서 납석으로 개발되고 있는 광석의 상당수(대략 $40\%$ 정도)가 엄밀한 의미에서는 사실상 납석이 아닌 고령토나 견운모 광석인 것으로 밝혀졌다. 엽납석을 함유하는 정상적인 형태의 납석들은 그수반 점토광물상에 의거하여 (l) 엽납석질, (2) 딕카이트질. (3) 일라이트질 및 (4) 딕카이트-일라이트질 유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고령토 광물로는 대부분 딕카이트가 수반되고 외국에서는 흔히 수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고령석은 거의 함유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석영은 납석에서 점토광물 못지않게 그 용도를 가름하는 주요 성분으로서 대부분의 광석 유형에서 수반되지만 특히 일라이트질 납석에서 흔히 그리고 보다 많이 수반되는 양상을 보인다. X-선회절 정랑분석법은 납석의 품위를 산정하는데 유력한 수단이 될 수 있다. 특히 납석 이외의 점토광물들의 조성, 특히 일라이트의 함유 정도는 납석의 용도별 품위와 품질을 가름하는 주요 사항이다. 화학분석에 의한 납석의 평가 방식은 특히 납석의 백색 도기류와 같은 각종 세라믹스 제조 용도에서의 품질 평가에 결정적인 단서를 제공하는 유력한 평가수단이다. 특히 착색유발 성분인 철분의 존재와 그 함량을 정하고 요업용도에서 중요한 $Al_3O_3$와 알칼리 성분 함량을 검증하는데 필수적인 평가 방법이다. 이외에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을 통해서 납석의 주요 품질 기준이 되는 극미립상 엽납석의 결정형, 조직 및 미시적 산출상태를 보다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한다. 현행 광업법상의 납석을 비롯한 관련 광종들의 광물분류 체계가 모호하게 설정되어 있고 관련 인허가 부서에서의 전문성 및 지도력 부족으로 관련 산업계에 심각한 비효율성과 오류가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납석의 광석평가 방식이 그 품위와 품질 개념 하에서 응용광물학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 PDF

The Observation and a Quantitative Evaluation of Viable but Non-Culturable Bacteria in Potable Groundwater Using Epifluorescence Microscopy (형광현미경을 이용한 음용 지하수내 배양불능 세균의 관찰 및 정량적 평가)

  • ;Takashi Someya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38 no.3
    • /
    • pp.180-185
    • /
    • 2002
  • The direct viable count (DVC) and plate count (PC) methods was used to measure the number of bacteria in potable groundwater samples collected from bottled water from the market, mineral water, and edible groundwater near the urban areas and the stock farming congested areas. As a result, the number of living bacteria by DVC was comprised 30~80% of the total direct count (TDC), whereas the number of living bacteria by PC was around l~30% of DVC. Such results show that viable but non-culturable (VBNC) bacteria exist in the potable groundwater with high percentages. On the other hand, upon measuring the value from the conventional nutrient broth (NB), $10^-2$ fold diluted nutrient broth (DNB), and R2A broth, the values from the DNB and R2A showed 2~50 times higher than the conventional NB medium.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ligotrophic bacterial groups which can multiply in the low nutrient broth abundantly exist in the oligotrophic environment like potable groundwa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