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민속학

Search Result 18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Conjunction of Folklife and Archival Science : New Dimension for Folklife Archival Science (민속과 기록의 만남, '민속기록학'을 제창한다)

  • Kim, Duk-Muk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34
    • /
    • pp.165-219
    • /
    • 2012
  • Folklife archival science(folklife: Folklore is generally used in Engish-speaking countries but it has a strong meaning as remnants of former times. That's why I am useing the term-folklife instead of folklore in this paper. I think folklife is more appropriate term for expressing studies on daily life culture and also my intention to unite the both word in this paper) is a new academic movement, I propose, which is intended on convergence of advantage of folklife and archival science. In other words, taking advantage of the two branches of study(folklife, archival science), it becomes a practical studies which systematically organize records, preservations and application on living culture in any community. It demonstrate deeply on archiving and archive and It conducts a probe into records, preservations and applications. It is a method of technical study in order to record communities like village, rural society and modern city. In the mean time, there is no well defined and established methodology for archival science and for folk-area or community archiving. And therefore, It needs a research methodology in a folklife. In the other hand, there is a lack of a theoretical basis, methodological strategy and clear vision over folklife and field survey or method of survey. Therefore, converging advatage of the two studies(folklife, archival science), we can combine professionalism of community archiving and methodological strategy together.

저자 인터뷰-"설화작품의 현장론적 분석", "한국민속과 전통의 세계" 동시에 펴낸 임재해 교수

  • Jeong, Hye-Ok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83
    • /
    • pp.15-15
    • /
    • 1991
  • 구비전승되는 민속문화의 한갈래인 설화를 새로운 방법론으로 탐구한 것과 10여년간 우리 전통문화의 세계를 탐구해오며 발표했던 글들을 묶은 평론집으로 구별되는 이번 두 저술에서 저자는 민속학의 연구가 역사의 흐름과 사회적 실천에서 결코 분리되어 있어서는 안됨을 강조하고 있다.

  • PDF

시대적 변화와 늘 함께해온 민속학 연구

  • Im, Jae-Hae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41
    • /
    • pp.22-23
    • /
    • 1998
  • 내게 70년대가 구조주의 시대이자 민속극의 시대라면, 80년대는 현장론의 시대이자 이야기의 시대다.또 90년대는 곧 생태학의 시대이자 현실문제의 대안을 모색하는 실천의 시대로 떠올랐다. 나의 저서들은 이런 시대적 변화와 늘 함께한 셈이다.

  • PDF

전통민속주(傳統民俗酒)의 특징(特徵)과 제조현황(製造現況)

  • Jeong, Ho-G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4 no.3
    • /
    • pp.311-318
    • /
    • 1989
  • 우리 민족(民族)의 희노애락(喜怒哀樂)과 함께 흘러온 민속주(民俗酒)는 우리의 문화(文化)와 더불어 발전(發展)되어 왔었다. 그러나 일본(日本)의 지배(支配)를 받게된 이후(以後)에는 대부분의 민속주(民俗酒)는 밀주(密酒)로 규정(規定)되어 주조(酒造)가 금지되어 왔으며 해방후(解放後)에도 한국정부(韓國政府)의 양곡정책(糧穀政策)으로 인하여 특히 1961년(年) 이후(以後)에는 쌀을 사용하는 민속주(民俗酒)는 강력(强力)하게 금지(禁止)되었고 민속주(民俗酒)에 관(關)한 문화(文化)는 거의 자취를 감추게 되어 왔었다. 그런데 다행(多幸)히도 1985년(年)에 문공부(文公部)에서 민속주(民俗酒)의 주조(酒造) 기술(技術)을 가진 많은 기능인(機能人)을 문화재보호(文化財保護)의 차원(次元)에서 발굴(發掘)하였고 그 기능(機能)을 보존(保存) 계승(繼承)하도록 노력하였다. 따라서 정부(政府)에서는 1988년(年) 9월(月) 전통(傳統)과 기술(技術)이 인정(認定)되는 24종(種)이 민속주(民俗酒)를 민간인(民間人)에게 주조(酒造)할 수 있도록 예비(豫備) 가능(可能)한 바 있었다. 그 24종(種)의 민속주(民俗酒) 중(中)에서 한산(韓山) 소곡주(素穀酒), 경주(慶州) 법주(法酒), 천(川) 박시주(朴?酒), 안동(安東) 소주(燒酒), 이리 이강주(梨薑酒)에 관(關)하여 그 유래(由來), 특징(特徵), 전승(傳承)의 근원, 제조현황(製造現況) 그리고 전래(傳來)된 일화(逸話) 등을 조사(調査) 수록(收錄)하였다.

  • PDF

노익장 과시하는 원로들 저술 활발

  • Ma, Jeong-Mi
    • The Korean Publising Journal, Monthly
    • /
    • s.220
    • /
    • pp.14-15
    • /
    • 1997
  • 한우근.이두현.황수영.진홍섭.이병선.지명관씨 등 역사학.언어학.미술사학.민속학 각계의 1세대격인 원로들이 노익장을 과시하며 책을 펴냈다. 고희와 팔순을 넘긴 이들 지식인의 일관성 있는 연구작업은 젊은 후학들에게 자극을 준다.

  • PDF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s Brewed with Improved-Nuruk (개량누룩을 이용한 전통주의 품질특성)

  • 김태영;윤인화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7 no.3
    • /
    • pp.399-404
    • /
    • 1997
  • 우리의 전래 민속주는 중국 둥과 같이 곡류 위주의 양조방식으로 발달하여 고대에는 그 기술이 일본 등에 전수될 정도로 선도하였으나, 조선말을 전후한 역사적인 시련기 속에서 별다른 개발을 보지 못한 가운데 서구적인 문명의 영향을 받아들이게 되면서 민속고유주의 개발 내지 재현보다는 서구적인 양조방식 혹은 외래주류의 모방 및 개발에 역점이 주어지고, 원료면에서 식량자원의 제한에 따라 많은 제약을 받아오면서부터 그 쇠퇴일로를 거듭하였다. 따라서 우리의 전통 민속주류의 올바른 복원과 현실화를 위한 체계적인 연구가 우선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