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민감개인정보

Search Result 29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identification Method Proposal for EHR Data on Remote Healthcare Service (원격 의료 서비스를 위한 EHR 데이터 비식별화 기법 제안)

  • Yoon, Junho;Kim, Hy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268-271
    • /
    • 2019
  • 최근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등 최첨단 기술이 빠른 속도로 의료 정보시스템에 도입됨에 따라 환자정보를 포함한 민감한 개인정보에 대한 사이버 공격이 급증하고 있다. 다양한 개인정보 비식별화에 대한 표준이 제안되었지만, 데이터의 범주에 따른 기법 적용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본 논문에서는 EHR 데이터를 위한 심근경색을 대상으로 하는 원격 의료 시스템을 위한 개인정보들에 대한 민감도를 4단계로 분류하고 이에 따른 비식별화 기법에 대해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EHR 데이터에 대한 분류 및 비식별화 기법은 다양한 의료 정보 서비스를 위한 프라이버시 보호에 활용될 수 있다.

A Study on trajectory data statistical queries of prefix trees satisfying differential privacy (차분 프라이버시를 만족하는 접두사 트리의 경로 데이터 통계 질의 연구)

  • Ji Hwan Shin;Ye Ji Song;Jin Hyun Ahn;Taewhi Lee;Dong-Hyuk 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11a
    • /
    • pp.1250-1253
    • /
    • 2023
  • 최근 정보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스마트폰이 우리의 일상 생활에 점점 더 많이 들어오고 있으며, 사용자들은 많은 서비스들을 누릴 수 있게 되었다. 위치 기반 서비스(LBS)의 경우 스마트폰에 탑재된 위치 확인 기능을 통해 음식점 추천, 길찾기 등 개인형 맞춤 서비스를 제공하며, 사용자는 간단한 동의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LBS 서버에 전송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의 개인정보 침해의 요소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가 공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경로 데이터의 민감 정점을 보호하고, 통계적 질의를 할 때, 절대적으로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A Study on the EU Internet Privacy Protection Rules (EU의 인터넷 개인정보보호법에 관한 입구)

  • Kim, Eun-Mi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3 no.2
    • /
    • pp.131-142
    • /
    • 2001
  • IT 산업은 인터넷을 발달시킴으로써 새로운 경제 시대 (New Economic Era)를 열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제도의 발전가능성을 한층 더 앞당기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들은 그들의 개인정보가 국가기관이나 민간기관에 자신도 모르는 사이 누출되어 국가기관의 감시체제를 구축하거나 불공정한 상업적 목적으로 쓰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온라인상의 구매활동이나 정치활동을 주저하고 있다. 특히 유럽민족은 과거의 역사적인 사건들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문제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러한 이유로 EU는 EU국가들 내에서의 인터넷관련 개인정보처리문제와 EU와 제3국간의 개인정보 이전 문제를 규정하는 지침을 1995년 재정하고 1998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동 지침은 또한 미국과의 정보이전협상인 safe harbor를 탄생시켰다. 본 고에서는 왜 개인정보 보호법이 필요한지 그 이유와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국제적인 논의 그리고 EU의 개인정보지침 내용을 연구한다.

  • PDF

Technical Architecture for Implementation and Adoption of Database Encryption Solution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솔루션 구현 및 도입을 위한 기술적 아키텍처)

  • Lee, Byoung-Yup;Lim, Jongtae;Yoo, Jae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6
    • /
    • pp.1-10
    • /
    • 2014
  •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ternet mobile devices and online business activation, sensitive data of unspecified user is being easily exposed. In such an open business environment, the outflow of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has often been remarked on recently for which adoption of encryption solution for database became top priority in terms of importance. In 2011, government also legislated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s an information network law, and is now applying the law to a variety of industries. Firms began to comply with these regulations by establishing various measures for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are now quickly introducing encryption solution to reinforce security of personal information they are managing. In this paper, I present architecture and technological parts that should be considered when introducing security solution.

A Study of Individual Differences across Numerosity Sensitivity, Visual Working Memory and Visual Attention (수량민감도와 시각작업기억 및 시각적 주의 간 개인차 연구)

  • Kim, Giyeon;Cho, Soohyun;Hyun, Joo-Seok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8 no.2
    • /
    • pp.3-18
    • /
    • 2015
  • Numerosity perception is considered as an innate ability of human being where its sensivitiy may widely vary across each individual person.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working memory (VWM), visual search efficiency, and numerosity sensitivity. To accomplish this, we calculated each participant's K-value from change detection performance representing one's storage capacity in VWM, slopes of search RTs representing the search efficiency, and discrimination sensitivity for a quantity difference across two sets of dot arrays representing the numerosity sensitivity. The correlational analysis across the measurements revealed that participants with a high VWM capacity better discriminated the numerosity difference in the arrays when the spatial information in the two dot arrays was preserved. In contrast, the participants with high search efficiency discriminated better the difference in the arrays when the spatial information in the arrays was not preserved. The results indicate high VWM-capacity individuals were presumably able to use a strategy of storing the dot arrays by grouping them into a smaller pattern of dot arrays while high search-efficiency individuals were able to use a strategy of rapidly switching their focused attention across the dots in the arrays to count each individual dot. These in sum suggest that individual differences in numerosity sensitivity rely on one's working memory capacity as well as their efficient use of switching focused attention.

Personal Information Detection and Blurring Cloud Services Based on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에 기반을 둔 사진 속 개인정보 검출 및 블러링 클라우드 서비스)

  • Kim, Min-jeong;Lee, Soo-young;Lee, Jiyoung;Ham, Na-yo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05a
    • /
    • pp.152-155
    • /
    • 2019
  • 클라우드가 대중화되어 많은 모바일 유저들이 자동 백업 기능을 사용하면서 민감한 개인정보가 포함된 사진들이 무분별하게 클라우드에 업로드 되고 있다. 개인정보를 포함한 클라우드가 악의적으로 해킹 될 시, 사진에 포함된 지문, 자동차 번호판, 카드 번호 등이 유출됨에 따라 대량의 개인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따라 적절한 기준에 맞게 사진 속 개인 정보 유출을 막을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현재의 클라우드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연구는 모바일 기기에서 클라우드 서버로 사진을 백업하는 과정에서 영역 검출과 블러링의 과정을 제안하고 있다. 클라우드 업로드 과정에서 사진 속의 개인 정보를 검출한 뒤 이를 블러링하여 클라우드에 저장함으로써 악의적인 접근이 행해지더라도 개인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머신러닝과 computer vision library등을 이용하여 이미지 내에 민감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영역을 학습된 모델을 통해 검출한 뒤, OpenCV를 이용하여 블러링처리를 진행한다 사진 속에 포함될 수 있는 생체정보인 지문은 손 영역을 검출한 뒤, 해당 영역을 블러링을 하여 업로드하고 카드번호나 자동차 번호판이 포함된 사진은 영역을 블러링한 뒤, 암호화하여 업로드 된다. 후에 필요에 따라 본인인증을 거친 후 일정기간 열람을 허용하지만 사용되지 않을 경우 삭제되도록 한다. 개인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지금, 사진 속의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기술은 안전한 통신과 더불어 클라우드의 사용을 더 편리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and countermeasures in Big-data environment: Survey (빅데이터 환경에서 개인민감정보 보호 방안 및 대응책: 서베이)

  • Hong, Sunghyuc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10
    • /
    • pp.55-59
    • /
    • 2018
  • Big-data, a revolutionary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rovides services in various fields such as health, public sector, distribution, marketing, manufacturing, etc. It is very useful technology for marketing analysis and future design through accurate and quick data analysis. It is very likely to develop further. However, the biggest problem when using Big-data is privacy and privacy. When various data are analyzed using Big-data, the tendency of each user can be analyzed, and this information may be sensitive information of an individual and may invade privacy of an individual. Therefore, in this paper, we investigate the necessary measures for Personal private information infringement that may occur when using Personal private information in Big-data environment, and propose necessary Personal private information protection technologies to contribute to protection of Personal private information and privacy.

Balancing the Fair Us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Data Protection (개인정보의 적절한 이용과 보호의 균형)

  • Kim, Beom-Su
    • CRM연구
    • /
    • v.1 no.1
    • /
    • pp.71-85
    • /
    • 2006
  • 인터넷 웹사이트를 통한 개인정보의 대량 유통, 상품배송기관을 통한 개인정보의 유출, 명의도용, 신용정보유출 등의 정보프라이버시 침해의 사례가 많이 발표되면서, 개인정보의 적절한 이용과 정보 프라이버시(Information Privacy)의 보호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져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 현상과 시민의 관심을 반영하여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다양한 법률과 제도가 최근에 검토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름, 전화번호, 주소, 전자우편주소 등 비교적 민감하지 않은 개인정보를 기업의 마케팅이나 홍보에 이용하는 경우의 좁은 의미에서의 개인정보 보호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러한 개인정보 및 개인정보서비스 와 관련된 법률, 정책 및 제도를 정보의 생성과 이용의 흐름 및 경제주체를 중심으로 적절한 정보의 이용이 보장 되면서 개인의 정보프라이버시가 보호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방법을 체계적으로 검토하였다. 해외의 개인정보서비스 산업의 사례 조사를 통하여 향후 우리나라에서 개인정보서비스산업이 활성화되었을 때 개인의 만족증대, 실질적인 정보보호 수준의 향상, 고용창출, 기업활동의 효율화, 관련기업의 국제경쟁력 고양 등의 기대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또한, 개인정보의 적절한 이용과 보호, 그리고 정보서비스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관련 법률의 제정 및 개정, 정보보호 제도의 개발 및 효과적 운영, 장기적 정보서비스 산업 활성화 정책 수립과 단계적 추진, 활성화를 위한 정부 및 민간 재원 확보, 사회적 공감대 형성, 지속적인 연구 등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Medical Service Act (의료법의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 Sung, Soo-Yeon
    •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 /
    • v.21 no.2
    • /
    • pp.75-103
    • /
    • 2020
  • There is a growing voice that medical information should be shared because it can prepare for genetic diseases or cancer by analyzing and utilizing medical information in big data or artificial intelligence to develop medical technology and improve patient care. The utilization and protection of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are the same as two sides of the same coin. Medical institutions or medical personnel should take extra caution in handling personal information with high environmental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sensitivity, which is different from general information processors. In general, the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is processed by medical personnel or medical institutions through the processes of collection, creation, and destruction. Still, the use of term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in the Medical Service Act is jumbled, or the scope of application is unclear, so it relies on the interpretation of precedents. For the medical personnel or the founder of the medical institution, in the case of infringement of Article 24(4), it cannot be regarded that it means only medical treatment information among personal information, whether or not it should be treated the same as the personal information under Article 23, because the sensitive information of patients is recorded, saved, and stored in electronic medical records. Although the prohibition of information leakage under Article 19 of the Medical Service Act has a revision; 'secret' that was learned in business was revised to 'information', but only the name was changed, and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is the same as the 'secret' of the criminal law, such that the patient's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not protected. The Privacy Law and the Local Health Act consider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in 'information learned in business' a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and stipulate the same penalties for personal information infringement such as leakage, forgery, alteration, and damage. The privacy regulations of the Medical Service Act require that the terms be adjusted uniformly because the jumbled use of terms can confuse information subjects, information processors, and shows certain limitations on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because the contents or scope of the regulations of the Medical Service Law for special corporations and the Privacy Law may cause confusion in interpretation. The patient's personal information is sensitive and must be safely protected in its use and processing. Personal information must be processed in accordance with the protection principle of Privacy Law, and the rights such as privacy, freedom, personal rights, and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of patients or guardians, the information subject, must be guaranteed.

Evaluation of Privacy Impact Assessment for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System in Saitama Hospital (사이타마 병원 전자차트 시스템에 대한 개인정보 영향평가 실시)

  • Shin, Sanhhyu;Seto, Yoichi;Takasaka, Sadamu;Sekizuka, Eiich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419-422
    • /
    • 2014
  • 본 논문은 국립 사이타마 병원(일본)이 계획하고 있는 새로운 전자차트 시스템 도입을 위한 병원정보 시스템 시방서(안)에 대한 개인정보 영향평가 평가방법과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의료정보 시스템이 취급하는 데이터는 민감한 개인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한 번 유출된 개인 정보를 회수하기란 어렵다. 따라서 시스템 구축에 있어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개인정보 영향평가는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리스크를 시스템 가동 전에 평가하여 리스트를 경감하는 방법으로, 리스크를 가시화함으로써 사전에 리스크에 대한 대책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