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호천 유역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A Sturdy on Rainfall Runoff Models for Forecast of Long-Term Runoff in Miho Basin (미호천 유역의 장기유출 예측을 위한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의 적용)

  • Ahn, Sang-Eok;Lee, Hyo-Sang;Jeon, Mi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91-995
    • /
    • 2009
  •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강수일수는 감소한 반면 집중호우의 발생빈도는 증가하고 있다. 실제 가뭄과홍수와 같은 극치사상의 피해가 증가될 가능성과 이러한 재해로부터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하고 효율적인 수자원 활용을 위해서는 장기간 강우-유출과정의 정확한 해석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미호천 유역을 대상으로 장기유출을 모의하기 위해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은 PDM(Probability Distributed Model)으로 유역을 한 개의 단위구역으로 사용한 집중형(lumped) 모형이고, 분포형 모형에 비하여 간단 (parsimonious)하며 영국의 수자원 및 홍수 관리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모형의 검정은 MC(Monte Carlo) 방법과 SCE-UA(Shuffled Complex Evolution-University of Arizona)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NSE(Nash Sutcliffe Efficiency) 목적함수를 사용하여 모형의 성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MC 방법과 SCE-UA 방법 모두 NSE의 값 0.9 이상으로 만족할 만한 모의성능을 나타내었다. 분포형 모형에 비하여 적은 수문자료 및 검정변수를 갖는 PDM 모형을 수문자료의 취득이 용이하지 않은 중 소규모 유역에 적용하여 모형의 검정 및 유량산정에 있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에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다양한 유역을 대상으로 PDM 모형의 검토가 요구되고, 향후 우리나라의 홍수량 산정 및 수자원 관리에 적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study of conceptual rainfall-runoff models for regionalization of Miho catchment, Chungbuk (미호천 상류유역의 지역화 연구를 위한 개념적 강우유출 모형의 평가)

  • Lee, Hyo-Sang;Choi, Ho-Hoon;Joo, Jae-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85-285
    • /
    • 2011
  • 우리나라의 하천 상류지역의 유역들은 신뢰할 수 있는 수문자료의 미비로 인하여, 관행적으로 모형의 변수를 산정하여 강우유출모형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류지역의 빈번한 홍수 피해 및 수자원관리의 문제발생 등으로 인하여 이러한 상류지역의 중소유역의 신뢰할 수 있는 홍수량산정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영국의 국가 홍수량 산정 표준방법(Flood Estimation Handbook)과같이 강우유출모형의 지역화를 통하여 해결 할 수 있다. 지역화를 위한 강우유출모형의 선정을 위하여 9개의 개념적 강우유출모형을 충청북도 미호천 상류 7개의 소유역에 적용하여 모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이는 유효우량 산정을 위한 3개의 개념적 토양저류함수 모형(Soil Moisture Accounting: Modified Penman Type Model(MP), Catchment Wetness Index Model(CWI), Probability Distribution Model(PDM))과 3개의 유역유출을 위한 3개의 개념적 유출모형(Routing: 2-Conceptual Reservoir Model(2PAR), 3-Conceptual Reservoir Model(3PAR), Marcropore Model(2PMP))의 조합으로 총 9개의 모형을 검토하였다. 이를 검정기간(2004.01.01-2007.12.31) 과 검증기간(2008.01.01-2009.12.31)의 장단기 유출성능을 Nash Sutcliffe Efficiency 로 평가한 결과, 시간 단위의 단기모의에서는 CWI-2PMP와 PDM-2PMP모형이, 일 단위의 장기모의에서는 CWI-3PAR와 PDM-2PMP가 우수한 성능을 보이고 있다. 향후 금강 상류유역의 기본 강우유출모형으로 PDM-2PMP모형을 선정한다.

  • PDF

Application of WMS Model for Runoff Analysis of Miho Stream Basin (미호천 유역의 유출해석을 위한 WMS 모형의 적용)

  • Ahn, Sang-Jin;Lee, Moo-Kyeong;Jun, Kye-Won;Yeon, In-S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11
    • /
    • pp.929-938
    • /
    • 2004
  • In this study, Miho stream basin(Seokhwa water level gauging station) In Geum river, Flood control main station of Geum River Flood Control Office, is selected. Hydrologic topographical informations are calculated using WMS which is hydrologic analysis software coupled with GIS Method, and flood analysis is accomplished by HEC-1 included In WMS. To calculate the effective rainfall CN values of SCS are used. Clark, Snyder and SCS methods are selected respectively to derive unit hydrograph. This study shows the applicability of GIS techniques to runoff simulation in ungauged basin by comparing with actual measured flood hydrograph. As a results, Snyder(Tulsa) method and Clark (Herby) method is suitable to Miho stream basin. But Snyder(Tulsa) method is suitable more than Clark(Herby) method. A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urbanization, the peak discharge has increased and the peak time has tended to decrease.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with SEBAL Model in Miho River Basin (SEBAL Model을 이용한 미호천 유역의 증발산량 추정)

  • Na, Sang-Il;Park, J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125-1130
    • /
    • 2009
  • 우리나라 연간 총수자원 1240억$m^3$ 가운데 42%에 해당하는 517억$m^3$는 증발산을 통해서 하늘로 올라가고 나머지 58%인 723억$m^3$는 하천으로 흘러간다(국토해양부, 2008). 이와 같이 증발산량은 지구 표면에서 대기로의 수증기 이동 현상으로 강수와 더불어 대기의 물 순환 및 수분 이동의 파악에 매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기상청에서는 세계기상기구의 관측 기준에 따라 증발산량을 측정하고, 점추정 자료를 내삽법을 이용하여 유역면적 전체에 적용시키고 있다. 그러나 자연상태에서 증발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점추정 자료를 통해 유역면적 전체에 대한 증발산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많은 오차를 가져올 수 있다(유진웅, 2003).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RS 기법에 의한 증발산량 추정 방법과 함께 위성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는 지표 및 대기 정보를 이용하여 광범위한 지역 내에서 공간적으로 불균일한 수분 분포를 추정하기 위하여 많은 알고리즘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추정하는 모형가운데 SEBAL(Surface Energy Balance Algorithm for Land) Model을 상용소프트웨어에서 구현하고 충청북도에 위치한 미호천 유역에 대해 모형을 적용하여 증발산량을 추정하였다. 위성자료로는 2006년 9월 22일의 Landsat 5 TM 영상을 사용하였으며, DEM은 USGS DEM, 기상자료로는 청주시 기상연보를 활용하였다.

  • PDF

Non-stationarity Analysis with Trend and Climate Variability for Annual Maximum of Hourly Rainfall in Miho watershed (미호천 유역의 시단위 연최대치 강우계열의 경향성 및 기후변동을 고려한 비정상성 빈도분석)

  • Lee, Jung-Ki;Kim, Byung-Sik;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45-345
    • /
    • 2012
  • 정상성 기반의 전통적 극한치 이론은 기후변화 및 변동에 의한 외부변화 요인을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이 지적되어왔다. 따라서 강우의 빈도분석 시 매개변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반영한 비정상성 빈도분석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호천 유역의 강우관측소 중 기상청에서 관리하는 청주 관측소 및 국토해양부에서 관리하는 가덕, 병천, 증평, 진천 관측소의 24시간 연최대치 강우자료를 대상으로 시간에 따른 경향성 분석을 하였다. 또한 자료의 경향성을 고려하여 비정상성 빈도분석을 하였고 외부상관기상변수로써 ENSO(El Nino Southern Oscillation)를 이용하여 비정상성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Region-Focused Program by Field Survey of Physical Geography with the Case Study on Miho River Basin, Central Korea (자연지리 답사를 통한 지역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 미호천 유역 하천지형을 사례로 -)

  • Lee, Min-Boo;Kim, Jeong-Hyuk;Choi, Hu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1 no.4
    • /
    • pp.53-67
    • /
    • 2014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operate education program for the region-focused field study on the physical geography for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ir community places in the geography classe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college. The theme of the program is understanding the geomorphic structures and processes including river channel, wetland, levee, terrace, sand and gravel bar and alluvial island, floodplain and irrigation system in Miho river basin, Chuncheong Province of Central Korea. For the study of regional geography as their community, the field education is focused on relations of landform to everyday life, though different levels in learning achievement according to each school classes. But, the purpose of the field education is, same at all classes, for student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geomorphic effects on the place of everyday life in geography education.

A study on application of GPU-accelerated kinematic wave rainfall-runoff model (GPU 가속 운동파 강우유출모형의 적용 연구)

  • Kim, Boram;Yun, Gwan Seon;Kim, Hyeong-Jun;Yoon, Kwang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23-323
    • /
    • 2020
  •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 Processing Unit: GPU)는 그래픽 처리 작업에 특화된 다수의 산술논리 장치(Arithmetic Logic Unit: ALU)로 구성되어 있어서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보다 한 번에 더 많은 연산 수행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GPU 가속 운동파모형을 실제 유역에 적용하여, GPU 가속 운동파 강우유출모형 결과에 대한 정확성과 연산 소요 시간에 대한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GPU 가속 운동파모형은 분포형 강우유출모형의 수치모의 연산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CUDA 포트란을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분포형모형의 지배방정식은 운동파모형과 Green-Ampt모형으로 구성되었고, 운동파모형은 유한체적법을 이용하여 이산화 하였다. GPU 가속 운동파모형을 이용하여 금강의 미호천 유역에서 발생하는 강우유출현상을 모의 하였고, 동일한 유한체적법을 이용한 CPU(Central Processing Unit) 기반의 강우유출모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GPU 가속모형의 결과는 미호천 유역 하류단에서 관측한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연산소요시간은 CPU 기반의 강우유출모형의 연산소요시간보다 단축되었으며, 본 연구에 사용된 장비를 기준으로 최대 100배 정도 단축되었다.

  • PDF

Water Quality Prediction of the Miho Stream Using GIS (GIS를 이용한 미호천의 장래수질예측)

  • Noh, Jun-Woo;Lee, Sang-Jin;Lee, Sang-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6 no.1
    • /
    • pp.13-21
    • /
    • 2008
  • This study conducted water quality projection of year 2010 in Miho stream of the Geum river basin by using GIS. Pollutant load data of corresponding tributary of the Miho stream is estimated based on the pollutant load of TMDL zone to simulate water quality of the Miho stream for BOD, TN, and TP. The pollutant load of the urban area such as Bochung and Musim stream basin is relatively high and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of Chunju city directly affects the entire water quality of the target area. As a result, simulation result reveals that water treatment facility needs more refined treatment process for efficient water quality management. Also, to meet the target water quality of the Miho stream water quality simulation estimates the additional dilution flow by increasing irrigation water supplied from the Daechung dam through the Musim stream.

  • PDF

Estimation of distributed groundwater recharge rate in Jincheon (진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률 산정)

  • Chung, Il-Moon;Kim, Nam-Won;Kim, Ji-Tae;Na, Han-N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37-237
    • /
    • 2011
  • 효율적인 지하수 관리를 위해서는 시공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한 지하수 함양률의 정량적 산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수-지하수 연동해석이 가능하며 토지이용 특성과 국내 토양특성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한국형 장기 유출 모형 SWAT-K를 이용하여 진천지역의 분포형 지하수 함양량을 산정하였다. 행정경계와 수자원단위지도에서 제시하는 표준단위유역을 기준으로 하여 진천군을 포함하는 미호천유역을 SWAT-K 구동을 위한 모델영역으로 설정하여 주하도를 따라 34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다. SWAT-K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기상 및 수문자료를 구축해야 하는데 강우량을 비롯하여 기온, 풍속, 일사량, 상대습도 등의 기상자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유역 내에 위치한 청주, 충주, 대전, 이천, 보은, 천안 기상관측소의 자료를 이용하여 기상자료를 구축하였으며, 모형의 계산시간, 모형결과의 정확도 등을 판단하여 30m 공간해상도를 가지는 DEM을 300m 공간 해상도로 가공하여 사용하였다. 토지이용도는 모의시 다양한 토지이용상태를 반영할 수 있도록 중분류(1:25,000) 토지이용도를 사용하였다. 토양도는 국립농업과학원에서 토양도 전산화 사업을 통해 구축된 1:25,000 축척의 정밀토양도를 사용하였다. SWAT-K를 이용하여 진천군을 포함한 미호천 전체유역에 대해 지표수-지하수 통합 물수지 분석 결과(2004년~2009년) 연평균 강수량 대비 유출률은 66.6%, 증발산률은 34.6%, 함양률은 20.8%로 나타났다. 지표수 유출과정과 지하수위 변동을 동시에 고려하여 산정한 소유역별 연간 함양량 결과를 산정하였고, 총 34개의 소유역별 연간 지하수 함양량을 제시하였다. 또한 SWAT-K 모형을 이용한 모델 영역중 진천군에 속하는 행정구역별, 표준권역별 연평균 함양량을 산출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 진천군 평균 함양률은 20.5%로 산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