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호천

Search Result 11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Non-stationarity Analysis with Trend and Climate Variability for Annual Maximum of Hourly Rainfall in Miho watershed (미호천 유역의 시단위 연최대치 강우계열의 경향성 및 기후변동을 고려한 비정상성 빈도분석)

  • Lee, Jung-Ki;Kim, Byung-Sik;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345-345
    • /
    • 2012
  • 정상성 기반의 전통적 극한치 이론은 기후변화 및 변동에 의한 외부변화 요인을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이 지적되어왔다. 따라서 강우의 빈도분석 시 매개변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반영한 비정상성 빈도분석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호천 유역의 강우관측소 중 기상청에서 관리하는 청주 관측소 및 국토해양부에서 관리하는 가덕, 병천, 증평, 진천 관측소의 24시간 연최대치 강우자료를 대상으로 시간에 따른 경향성 분석을 하였다. 또한 자료의 경향성을 고려하여 비정상성 빈도분석을 하였고 외부상관기상변수로써 ENSO(El Nino Southern Oscillation)를 이용하여 비정상성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Miho Stream Flowing through a Granitic Plain, South Korea (화강암 분지를 흐르는 미호천의 지형학적 특색)

  • Kim, Young Rae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8 no.3
    • /
    • pp.1-11
    • /
    • 2021
  • The drainage area of the Miho stream is composed of granitic basins, gneissic and sedimentary mountains. 80 percent of the Miho stream flows through the Jincheon basin and the Cheongju inner-plain within the Daebo granite belt. Because the deep weathering of granitic hills provides a large amount of sands to the streams, there are wide floodplains with thick alluvium developed in the basin and plain. The thickness of the alluvium is 5~10m and the width of the floodplains is 2~2.5km. In the basin outlet area where a stream passes through the mountain canyon, wide floodplains and deep alluvium are developed in other riverside. The Miho stream is a sand-gravel channel flowing through the Cheongju inner-plain with wide floodplains and deep alluvium formed by deep weathering of granite.

The Ichthyofauna and Dynamics of the Fish Community in Miho Stream, Korea (미호천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동태)

  • Son, Yeong-Mok;Byeon, Hwa-Kun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17 no.4
    • /
    • pp.271-278
    • /
    • 2005
  • The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were studied in Miho Stream from May 2004 to August 2005. During the surveyed period 41 species belonging to 10 families were collected. Twelve of the species (29.3%) are endemic to Korea. Exotic fishes were Carassius cuvieri, Lepomis macrochirus, and Micropterus salmoides. Dominant species was Zacco platypus (54.7%). Comparing the present result with that of Son (1982), the indices of diversity,evenness and richness were lower and the dominance index was higher; Lampetra reissneri, Anguilla japonica, Acheilognathus macropterus, Coreoleuciscus splendidus, Pseudopungtungia nigra, Gobiobotia naktongensis, Lefua costata, Pseudobagrus koreanus, Monopterus albus and Iksookimia choii did not appear; Carassius auratus, Rhodeus uyekii, Rhodeus notatus, Acheilognathus lanceolatus, Pseudogobio esocinus, Hemibarbus longirostris, Microphysogobio yaluensis, Cobitis lutheri, Iksookimia koreensis, Pseudobagrus fulvidraco, and Rhinogobius brunneus, remarkably decreased, and Z. platypus, Pseudorasbora parva, and Squalidus gracilis majimae increased.

Application of WMS Model for Runoff Analysis of Miho Stream Basin (미호천 유역의 유출해석을 위한 WMS 모형의 적용)

  • Ahn, Sang-Jin;Lee, Moo-Kyeong;Jun, Kye-Won;Yeon, In-S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11
    • /
    • pp.929-938
    • /
    • 2004
  • In this study, Miho stream basin(Seokhwa water level gauging station) In Geum river, Flood control main station of Geum River Flood Control Office, is selected. Hydrologic topographical informations are calculated using WMS which is hydrologic analysis software coupled with GIS Method, and flood analysis is accomplished by HEC-1 included In WMS. To calculate the effective rainfall CN values of SCS are used. Clark, Snyder and SCS methods are selected respectively to derive unit hydrograph. This study shows the applicability of GIS techniques to runoff simulation in ungauged basin by comparing with actual measured flood hydrograph. As a results, Snyder(Tulsa) method and Clark (Herby) method is suitable to Miho stream basin. But Snyder(Tulsa) method is suitable more than Clark(Herby) method. A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urbanization, the peak discharge has increased and the peak time has tended to decrease.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harge and Pollution Load on the Tributary Basin of Kum River (금강지류 유역에서의 유출량과 오염부하량의 상관관계 분석)

  • Jeong, Sang-Man;Im, Gyeong-Ho;Choe, Jeong-Hye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5
    • /
    • pp.527-536
    • /
    • 2000
  • This study estimates the pollution load in a basin by regional groups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harge and pollution load. The study area is placed in the Miho stream basin known as the main tributary of the Kum river. Four major Telemetary streamflow stations are chosen. In this research, discharge and water quality in a dry season and a flood season from the observed discharge in the stream are analyzed. The Rating-Curve and the Pollutograph are drawn analyzing discharge and water quality at the major st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runoff for each stream are analyzed and the change of water quality are analyzed for rainfall perio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charge and water quality has been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harge and pollution load is analyzed and a representative equation is derived. These relationships permit an estimates of the pollution load at the Miho stream basin. basin.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Flow and Bed Change at the Confluence of the Geum River and Mihocheon (합류부에서 흐름 및 하상변동 수치모의 (금강과 미호천 합류부를 중심으로))

  • Jang, Chang-Lae;Kim, Jeongkon;Ko, Ick Hwa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8 no.3
    • /
    • pp.91-103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low and bed change at the wide, shallow confluence of the Geum river and Mihocheon, which has different bed slope, height, and sediment concentration condition between the main channel and tributary. RMA-2 and SED2D were used to simulate flow and bed changes at the site. Flow simulations showed that the overall flow velocity, shear layer and vortex generated at the left bank of the confluence increase as the discharge was increased. Sediment transport simulations indicated that because of the high inflow sediment concentration from Mihocheon, sediment concentration in the main river increases after the confluence, the high sediment concentration band was kept along the shear layer boundary and the left bed was aggraded after confluence.

  • PDF

Review of Backwater effect period of Gaging station located at the Confluence (합류부에 위치한 수위관측소의 배수영향 기간 검토)

  • Kang, Jong Wan;Lee, Tae Hee;Lee, Ki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80-380
    • /
    • 2021
  • 수위관측소에서는 일반적으로 실시간 수위관측을 통해 연속된 수위자료가 계측이 되고 있는 반면, 하천의 유량은 실시간 측정이 어렵기 때문에 목적에 따라 시기 또는 수위별로 측정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확보한 유량자료를 이용하여 수위-유량관계곡선(Stage-Discharge relationship)을 개발하고, 이 곡선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유량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자연하천의 경우 하도의 인공적 및 자연적 변화에 따라 수위-유량관계가 변화하게 된다. 특히 합류부에 위치한 관측소는 일반적인 단일 하천에서의 수위-유량관계와 다르게 배수(Backwater)가 발생한다. 이는 등류수위의 경사보다 완경사가 발생하고 단순 수위-유량 일대일 관계를 나타내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수위-유량관계곡선을 이용한 유량환산에 있어 배수 발생기간은 왜곡된 유량자료를 생산하거나 유량환산 불가기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미호천의 지류인 한천에 위치한 진천군(인산리) 관측소는 하류 약 500m에서 미호천 본류와 합류하고 있다. 또한 합류점을 기준으로 본류인 미호천 상류 약 3km에 진천군(가산교) 관측소, 하류 약 2km에 진천군(오갑교) 관측소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호우사상의 크기에 따라 본류 배수영향으로 진천군(인산리) 관측소 중고수위에서 수위-유량관계곡선으로 산정된 유량의 크기가 과대 산정되어 진천군(가산교)와 합산한 유량이 진천군(오갑교) 관측소 유량과 상하류 역전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합류부 보조수위계 설치를 통해 배수영향을 검토 할 계획이었으나 2020년 큰 호우사상으로 보조수위계가 유실되어 본류에 위치한 진천군(가산교)와 진천군(오갑교) 관측소의 연속적인 수위, 유량, 유속 등 수리학적 인자를 이용하여 에너지 방정식으로부터 합류부 수위를 산정하고 지류인 한천의 배수영향 검토를 통해 진천군(인산리) 관측소의 배수 발생기간을 검토하였다. 따라서 수위-유량관계곡선을 이용한 유량환산에 있어서 배수에 의한 왜곡된 유량 자료를 제외하였으나 배수에 의한 유량환산 불가기간은 추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는다.

  • PDF

A Study on Sediment Transport Analysis and Long-term volatility of River Bed Analysis Using Hydraulic Geometry (수리기하 이론을 이용한 유사거동 분석 및 하상의 장기변동성 검토)

  • Kim, Hyeonseung;Yu, Hyeri;Kim, Dae-Hong;Paik, Kyung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04-204
    • /
    • 2022
  • 하천 내에서 하상변동은 치수나 생태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상변동의 예측을 위한 여러 가지 모델들이 존재하지만 하상변동의 양상을 직관적으로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최근 수행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하천의 수리 기하학적 형상이 부유사 농도와 유량과의 관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Kim et al., 2018). 본 연구에서는 수리기하(Hydraulic Geometry) 이론을 이용하여 하천의 형상에 따른 유사거동과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하상의 장기적 변동성을 직관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수리기하 이론에서의 수심과 폭을 나타내는 인자들을 이용하여 하천의 형상을 넓고 얕은 하천, 좁고 깊은 하천, 중간 정도의 하천으로 분류하였으며 흐름조건을 정상류와 부정류조건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하상경사와 하상재료의 입경 분포를 고려하여 자연하천에서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하천형상에 대해 수치모의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Manning 공식에 수심, 유속만 고려한 것이 아닌 조도계수까지 고려하여 수리기하 이론을 접목시킴으로서 유속과 수심의 수리기하적 인자로 계산된 하상전단력의 수리기하적 인자가 수치모의를 통해 구한 값과 거의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천의 형상이 넓고 얕을수록 수리기하 관계로 표현한 하상전단력 인자가 작은 값을 나타냈으며 수리기하 관계로 표현한 부유사농도인자와 하상전단력 인자가 비슷한 양상을 띄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하천이 기하학적 형상으로부터 하상의 변동성을 유추할 수 있었다. 실제 하천에 대한 검증은 금강 수계에 있는 미호천과 갑천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수리기하적으로 표현하였을때 갑천은 미호천에 비해 넓고 얕은 하천에 속하는데 현재까지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두 하천의 하상변동량을 비교해본 결과 갑천이 미호천에 비해 변동량이 적었으며 이는 위의 내용과 일치한 결과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