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타테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5초

한중 소화(笑話) 속의 비유표현과 일본소화 속의 미타테(見立て)기법의 비교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the Figurative Representation in Chinese and Korean Comedic Stories and the mitate of Japanese Comedic Stories)

  • 금영진
    • 비교문화연구
    • /
    • 제40권
    • /
    • pp.7-39
    • /
    • 2015
  • 연을 일본어로는 다코(たこ), 즉 문어라고 한다. 그 이유는 일본인들이 연의 꼬리를 보았을 때, 문어의 발을 떠올렸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연상행위는 일본어로 미타테(見立て)라고 한다. 미타테는 비유와 비슷하지만, 이 두 개념은 웃음을 일으키는 주안점이 약간 다르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의 소화에서의 비유는 90%의 비슷한 점이 웃음을 유발하지만, 일본 소화에서의 미타테는 10%의 비슷하지 않은 점이 웃음을 발생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동아시아 소화의 미타테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다음의 3가지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첫 번째, 중국과 한국소화의 미타테는 인간의 신체적 약점과 관련되는 경향을 보이는 반면, 일본 소화의 미타테는 인간의 직업이나 기질과 관련되는 경향을 보인다. 두 번째, 동아시아 소화의 미타테는 중국의 언어문자유희에서 온 한자의 파자와 관련이 되는데, 이는 이 지역에서 오랫동안 한자가 쓰여져 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일본 소화에서 보이는 문자 미타테는 한자와 히라가나, 혹은 가타카나라는 두 개의 서로 이질적인 타입의 문자를 조합하는 형태로도 나타난다. 세 번째, 미타테에는 한자의 착각에 의한 것도 있는데, 이것은 중국과 한국 소화에서 특히 많이 보인다. 아마도 이 패턴은 중국의 3자음 언어문자유희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일본복식문화에 나타나는 미의식으로서 문학적 서정 -그 형성과 전개- (A Study on the Literary Lyricism as Aesthetic Sense in Japanese Costume -Focusing on its Formation and Development-)

  • 허은주
    • 복식
    • /
    • 제56권7호
    • /
    • pp.79-95
    • /
    • 2006
  • The relationships between costumes and literature are the remarkable characteristics in the history of Japanese costumes. Among them, the literary designs which have literary subject matters seem unique to Japan. In Japan, the history of the literary design traces far back and its examples are abundant in various literatures in the Heian era. It is particularly notable that the literary designs take a relatively large part of Kosode pattern in the pre-modern period, the Edo era, which can be cleary seen in Kosodehinagata-bon, a collection of Kosode pattern of those era, in addition to various sources of extant relics or paintings. These literary designs lie the tradition of the literary lyricism as aesthetic sense in the japanese costume history. The literary lyricism means the lyrical mood evoked by litera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literary lyricism which has supported those literary designs was formed and developed. The literary designs on costumes related with the relationships between literature and formative art, for example painting. Those typical example, which started in the literature tournament, utaawase, was devised for matching up with the character of the assembly. They continued as a sort of the intellectual amusements. In the pre-modern period, the literary designs developed In relation to not only subject matters but those expression. Moreover, it shows the extremely typical example that a series of Kosodehiinagata-bons, consisted solely of literary designs, was enjoyed as a device of reading materials like poem ant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