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미장 공사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8초

친환경 미장재료로서 사벽재료를 혼입한 모르타르 및 벽체의 기초적 물성 (Fundamental Properties of Mortar and Wall Sand Coat Wall Materials Mixed with Eco-Friendly Plaster Material)

  • 료효개;김동훈;임남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7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3-134
    • /
    • 2017
  • The In the experiment on flow using sand walls, when white clay+sand was mixed with glutinous rice, traditional paper and seaweed as adherents and preventive measures for cracks, the flow was higher than other sand wall mortars. This indicates that it is effective in improving flow. Moreover, in terms of strength, a mix of white clay+sand, traditional paper and flour had a greater strength than a mix of white clay+sand, straws and flour. In the experiment to test for cracks and shrinking during drying, a composition of white clay+sand+traditional paper showed fewer cracks and less shrinking than the walls where straws were mixed in.

  • PDF

공동주택 건설공사의 표준품셈과 실투입 노무량 비교 분석 - 미장, 방수, 조적, 타일공사를 중심으로 - (Comparison between Labor Inputs by Quantity per Unit Method and by Actual Data Method in the Apartment Housing Construction Work - Focusing on Masonry Plaster Waterproofing Tile Labors -)

  • 전상훈;구교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10-118
    • /
    • 2015
  • 표준품셈은 우리나라 건설공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지만, 표준품셈이 공동주택 건설공사에서 실제 투입 되는 노무량과 큰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실적공사비방식에 의해 공사비를 산정하는 것이 합리적인 대안이 될 수 있으나 원가계산서상에 각종 경비 등에는 정확한 노무량을 파악하여야 비용이 산출될 것이며 공사 진도 관리를 위해 투입 노무량을 정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2000년 이후 준공 된 수도권에서 공동주택 건설공사에서 표준품셈과 실투입 노무량을 조사하여 비교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제 투입 노무량은 조적공 1.184인/천매, 미장공 0.048인/$m^2$, 방수공 0.039인/$m^2$, 타일공 0.059인/$m^2$이다. 표준품셈 대비 투입율은 보면 조적공 59.8%, 미장공41.3%, 방수공 31.5%, 타일공 34.3%이다. 방수공의 투입 비율이 가장 낮고 조적공이 비교적 높았다. 따라서 우리나라 공동주택 건설공사의 노무량은 실적공사비를 토대로한 원가계산이 바람직하지만, 공사관리에서 노무량이 주요 변수인 만큼 실제에 근접한 표준품셈을 지속적인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기능성 미장 모르타르의 현장 적용을 위한 재료별 기초 물성에 관한 평가 (Evaluation of the Basic Properties of Materials for Application of Functional Plaster Mortar)

  • 조도영;김규용;미야우치 히로유키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2-160
    • /
    • 2012
  • 건축공사의 선진화는 시공기술과 함께 재료의 성능향상이 동반되어야 한다. 특히 습식공사의 경우 인력에 의한 의존도가 높고, 재료 사용의 다양화가 미진한 대표적인 공정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감 모르타르 공사에서 품질 및 시공의 선진화를 위한 다양한 모르타르 재료에 대한 물리적 특성 시험을 통하여 비교·확인함으로 향후 습식 미장공사의 다양한 재료 적용과 기계화 시공을 넘어 친환경 기능성 재료의 사용까지 발전될 수 있도록 제안해 보았다. 특히 공장생산 제품인 건조시멘트 모르타르 제품을 기준으로 기계화 시공이 가능한 수지플라스터와 친환경 석고플라스터의 사용 확대를 위한 각 재료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 마감 모르타르 공사의 다양화와 선진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압축강도의 경우 시멘트를 기본으로 하는 재료에서는 초기 양생조건이 품질 확보에 가장 중요한 관리 항목임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으며, 마감 모르타르의 작업 후 균열 안정성에 영향을 주는 길이변화의 경우 석고플라스터가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최종 응결이 빠르게 나타남으로 후속 공정을 보다 빨리 진행할 수 있어 공기단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공동주택 바닥미장 균열차단막의 메커니즘 분석 (An Analysis of the Mechanism of Crack Stop-bar for Floor Plastering of Apartment Buildings)

  • 송용식;이동훈;이성호;김선국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333-344
    • /
    • 2011
  • 최근 주택 건설은 양적으로 팽창하면서 신공법, 신소재의 개발로 품질에 많은 발전을 하고 있으나 공동주택 공사 중 방바닥 미장은 인력난과 공기단축을 해결하기 위해 기계화 시공을 함으로서 방바닥 미장의 크랙발생 및 들뜸 현상으로 인한 하자 발생으로 경제적, 시간적 낭비가 많다. 공동주택 바닥미장의 균열은 재료적인 측면에서 볼 때 사용재료의 구성과 시공정도, 양생, 보양방법에 따른 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된다. 그러나 재료적인 측면에서 위 요인들을 제어하여 균열을 부분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나 근본적인 균열방지는 불가능하다.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바닥미장 균열의 발생원인과 균열 저감기술에 대한 논리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닥미장 균열의 원인과 근본적인 억제를 위한 균열차단막의 메커니즘을 분석하고자 한다.

미장공사의 품기준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Changes in Estimating Standards in Plaster Work)

  • 오재훈;안방율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32-233
    • /
    • 2019
  • The plater work in the standard of estimate presents a variety of construction types. However, there is a part that does not fit the change of specification standards and on-site construction status, and it was revised in 2019's standard of estimate. In this study, we analyzed in detail the factors affecting the changes in estimating standards in the plater work. There were changes in the specification standards previously presented as primary coat, secondary coat, and formal coat as well as changes in on-site construction status such as thicknes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lastering. Therefore, it is analyzed that the estimating standards can be classified by the number of finishes according to the site conditions by reflecting the analysis of the specification standards and site application status, and suggesting the finishing standards according to the number of plastering.

  • PDF

공동주택 마감공사의 기존 Tact와 복합병행 Tact 비교분석 - 공동주택 미장공사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Conventional Tact and Compositive Tact in Apartment House Finishing Construction)

  • 황수현;심재형;함남혁;김재준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7-56
    • /
    • 2022
  • 건설 프로젝트에서 공정계획은 사업 성패의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그 중 공동주택 마감공사는 기초공사나 골조공사에 비해 작업 간의 간섭이 많다. 이로 인해 마감공사 시 공정관리 효율성 증대를 위한 Tact 공정관리기법이 적용되고 있다. Tact 공정관리는 작업 흐름이 일정하게 발생할 수 있도록 관리하며 마감 단위층을 통일시켜 작업속도를 균등화시킨다. 그러나 세부공종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작업이 균일하게 동기화되어 공사비가 증가하고 비효율적인 공정관리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세부공종의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어 기존 Tact 공정관리방식의 한계점을 파악하고 개선하고자 세부공종을 고려한 복합병행 Tact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기존 Tact기법과 복합병행 Tact기법을 비교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를 기반으로 복합병행 Tact기법의 타당성 및 실효성을 검증했다.

공동주택 건설공사에서 공종별 실투입 노무비율의 추이분석 (Trend Analysis of Labor Input Ratios by Work Types in Apartment Housing Constructions)

  • 전상훈;구교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6권5호
    • /
    • pp.97-104
    • /
    • 2015
  • 공동주택에 대하여, 2000년 이후 건설한 대상 실적 중 25개 현장에 골조. 미장, 내장, 설비, 전기 통신, 기타의 공종별로 구분하여 월별 노무량의 투입실적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100%기간으로 표준화 된 공기로 변환하여 공종별로 구분하여 노무량 비율로 환산하여 노무비율의 흐름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이 결론을 도출하였다. (1) 노무비율의 크기는 골조공사 38.25%, 미장공사 5.10%, 내장공사 5.67%, 기계설비공사 9.10%, 전기 통신공사 8.76%, 기타공사 33.12%로 골조공사가 가장 크다. (2) 노무비율이 투입 되는 피크 시기는 52.5%월부터 62.5%월까지이고 3.6%의 노무비율이었다. (3). %월별로 골조공사가 가장 큰 시기는 35%월이고 이때 %월당 2.12% 투입 노무비율이었다. 골조공사가 마무리가 시작되는 65%월부터 80%월에 서로 다른 공종간의 상호 간섭이 가장 큰 시기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공동주택 건설공사에서 공종별로 가장 큰 혼잡도가 높은 시기를 알려주고 있으며, 이 시기의 집중 공정관리 하는 것이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에 필수적인 사항이 된다.

공동주택공사에서의 공기지연 리스크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Delay Claim Risk in Apartment Housing Projects)

  • 김재욱;우광민;이학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217-221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공사에서 발생하는 공기지연 리스크에 대한 분류체계와 분석방법을 제안하였다. 서울${\cdot}$경기 지역과 부산${\cdot}$경남 지역의 공동주택공사 현장을 중심으로 실무자 면담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광종 분류와 각 공종의 공기지연 리스크 수준과 지수를 산정하였다. 본 연구는 공동주택공사의 주요 공종인 토공사, 골조공사, 조적${\cdot}$미장공사, 창호${\cdot}$유리공사, 수장공사의 공기지연 리스크 요인의 리스크 수준, 지수 그리고 순위를 분석하여 공기지연 리스크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PDF

조선후기 관영건축공사의 회(灰)미장재와 공법에 관한 연구 - 영건의궤(營建儀軌)의 유회(油灰), 수회(水灰), 양상도회(樑上塗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aterials and Technique of Lime Plaster Work in Government Construction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17~19c) - Focused on the Lime Plaster Materials in 'Yeonggeon-Uigwe'(Construction Reports) -)

  • 이권영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4호
    • /
    • pp.63-79
    • /
    • 2009
  • Since the 1970's, UNESCO and ICOMOS have adopted or emphasized on the principles of historic preservation. One of them is what to require a repair have not to be repaired beyond the limits of the features and techniques to have been born in those days of establishment. On the premise,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aterials and technique of lime plaster work in order for roof ridge, and for bond paste of stones and bricks in government construction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17~19c). The result of this examination will come up with a basic conformity in the case of repairing the building established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is paper is carried out for the proper repair and restoration of architectural cultural properties. Construction reports and other documents in those days are examined for the study.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through the study. The components of old plaster mixtures which agglutinate stones each other were quicklime, perilla oil, and paper fiber. The components of old plaster mixtures which point joint of black bricks consisted of slaked lime, perilla oil, paper fiber, and cereal starch. These components were the same as coat surface of roof ridges. In the case of times, one of the following sand, white clay, sap of boiled elm bark was added to these components for the purpose of high efficiency. These materials and techniques which applied to plaster work of those buildings had developed in the process of making royal tombs. But these materials and techniques were quite different from the pres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