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용인

Search Result 1,101,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과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 황선아;황선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44-45
    • /
    • 2001
  • 다양해지는 소비자들의 패션에 대한 개성적 표현 욕구에 따라 우리나라 미용산업은 헤어, 메이크업과 피부미용, 네일케어 분야로 전문화.세분화되면서 토탈 패션산업의 주요영역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 한 토탈 패션의 등장으로 미용서비스에 대한 수요증가로 양적으로는 상당히 그 규모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버스 품질에 대해서는 고객들에게 확실한 신뢰를 주지 못하고 있다. 이는 국내 미용업계가 미용서비스 제공자의 관점에서 일방적인 서비스를 창출하여 왔고, 고객이 바라는 서비스의 내용과 품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는 사실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용실의 서비스품질의 구성 요인을 확인하고. 미용실의 서비스품질과 소비자 만 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ulcorner 둘째,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 중 소비자 만족과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중요한 서비스 품질 결정요인은 무엇인가\ulcorner 본 연구를 위한 예비조사에서는 개방형 질문(open-ended question)을 실시하였다. 예비조사결과 프랜차이즈 미용실, 시내중심가 미용실 그리고 집.직장 근처 미용실의 3가지 유형의 미용실은 그 규모나 소비 자 인식이 상이하여 미용실의 서비스품질 차원을 연구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조사에서는 설문지법을 이용하였으며, 그 대상은 서울 지역의 3가지 유형의 미용실을 이용하는 고객들중 2 20-30대의 주요 고객층으로 정하였고 편의 표집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는 Cronbach's 외 alpha값을 활용하였고, 미용실의 서비스품질 차원의 개념 타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LISREL을 이용한 확인 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미용실의 유형에 따른 서비스 품질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일원변량분석(one-way ANDV A)을 실시하였으며, 서비스품질 속성들 중 소비자 만족을 결정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중 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는 물리적 서비스(유형성, 접근성, 청결성), 판매원 관련 서비스(감정배려, 능력), 정책관련 서비스(점포운영, 명성, 신용카드) , 미용기술관련 서비스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을 결정하는 요인들에 있어서 점포 유형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응답자들은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서버스 품질에 가장 만족했으며, 시내중심가 미용실과 집근처 미용 실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용실의 소비자 만족을 예측하는데 유의한 서비스 품질 결정 요일을 살펴보면, 프랜차이즈 미용 실은 청결성($\beta$ =.30), 감정배려($\beta$ =.54), 명성($\beta$ =.60), 미용기술관련 서비스 차원($\beta$ =.68)이 결정 요인으로 나타났다. 시내중심가 미용실은 청결성($\beta$ =.39), 직원의 능력($\beta$ =.49), 명성($\beta$ =.59), 미용기술관련 서비스 차원($\beta$ =.68)가 서비스 결정 요인이었고, 집근처 미용실은 청결성($\beta$ =.27), 감정배려 ($\beta$ =.57), 명성($\beta$ =.73), 미용기술관련 서비스 차원 ($\beta$ =.60)으로 나타났다. 이것으로 미용실의 소비자 만족을 예측하는데 유의한 서비스 품질 결정 요인은 청결성, 감정배려, 명성, 상품관련 서비스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방법론적 의미는 그 동안 개발된 소매점이나 패션점포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평기척도를 우리나라 미용실에 적용해 봄으로써 미용실의 특성인 유행성, 청결성, 미용실의 명성, 직원과의 친분 등을 포함한 미용실의 서비스 품질 차원과 그 신뢰성 과 유용성을 입증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미용실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각 미용실의 유형에 따른 소비자 만족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서비스 품질 결정 요인들을 통해서 좀 더 나은 미용서비스를 정착시키는데 필요한 전략 을 수립할 수 있다는데 실질적 의미를 지닌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Beauty Business Act for the Development of Beauty Industry (미용업 발전을 위한 미용업법 제정에 대한 연구)

  • Im, Do-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183-185
    • /
    • 2020
  • 수명의 연장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인해 건강하고 아름다운 삶에 대한 관심과 욕구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미용 서비스 산업은 급격한 신장을 이루었고 이러한 미용업의 발달로 인해 미용분야는 전문화·세분화 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이러한 미용업의 발전을 뒷받침할 수 있는 독립적 미용업 관련 법률을 갖추지 못하고 공중위생관리법으로 미용분야의 규율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미용산업의 독자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미용업의 특성에 맞는 법적 규제를 위해서는 미용관련 독자적인 법률의 제정이 요구된다. 미용관련 독자적 법률의 제정의 방향은 면허권자를 보건복지부 장관으로 하고, 전문분야별 세부적 면허제도를 마련함이 필요하다. 또한 학력에 따른 지식이나 기술을 고려하여 면허의 종류에 따라 할 수 있는 업무범위 또는 개설영업범위를 달리하는 방법 등을 마련하여야 하고, 미용업에 대한 면허제도의 합리적 정비를 전제로 미용업 개설의 신고제는 유지됨이 타당하다.

  • PDF

Predictors of Wish to Undergo Cosmetic Surgery according to Experience of Cosmetic Surgery in Female College Students (여대생의 미용성형 경험 유무에 따라 미용성형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Lee, Haeky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1
    • /
    • pp.285-293
    • /
    • 2013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ich predictors influenced the wish to undergo cosmetic surgery according to experience of cosmetic surgery in female college student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was used with self-report questionnaires, which were completed by 254 subjects. Data was analyzed with t-test and regress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ceptance and social motivation of cosmetic surgery and the wish to undergo cosmetic surgery in the future between the two groups. Body area satisfaction and acceptance of cosmetic surger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to the wish to undergo cosmetic surgery in the non-experienced group. The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wish to undergo cosmetic surgery for the experienced group was acceptance of cosmetic surgery.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is need to different approaches to discuss or council for wish to undergo cosmetic surgery according to individual cosmetic surgery experience.

An Affection of Service Quality on Perceived Value, Customer Satisfaction and Reuse Intent in Brand Hair Shop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Relational Customer- (브랜드미용실의 서비스품질이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및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미용실의 단골고객 조절효과)

  • Choe, Byeong-Suk;Jo, Cheol-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09.10a
    • /
    • pp.123-130
    • /
    • 2009
  • 미용업의 사회적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 미용서비스산업은 경영적 측면에서 체계화되고 규모면에서도 날로 확대되는 등 양적, 질적인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 업계끼리는 물론이고 글로벌화로 인하여 외국의 선진 프랜차이즈와도 경쟁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이러한 환경적 변화 속에서 국내의 미용업계는 한 차원 높은 성장을 위한 자구적 노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국내 미용업계는 서비스 제공자 관점에서 일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고 고객관점에서 가치 있는 서비스의 내용과 품질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미용서비스품질을 정의하기 위한 연구들은 계속되고 있으나 미용서비스품질에 대한 명확한 개념정의는 물론이고 앞으로 국내 미용업계 성장의 축이 될 브랜드 미용실의 고유 서비스품질은 여전히 확정적이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브랜드 미용실 고유의 서비스품질 요인들을 발견하고, 지각된 가치, 고객만족, 재이용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알아보고자하며, 특히 지각된 가치의 매개적 역할과 계량적 중요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브랜드 미용서비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의 단골고객 신념수준에 조절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가치-고객만족, 가치-재이용의도, 고객만족-재이용의도 간의 이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정하였고, 효과적인 서비스품질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

"식료본초" 미용 식약(食藥)의 용법 분석(食疗本草 有关美容食药的用法分析)

  • ;Kim, Hyo-Cheol
    •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 /
    • v.25 no.2
    • /
    • pp.89-93
    • /
    • 2012
  • 목표 : 미용은 요즘 현대인들에게 관심 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로서 본 논문은 이에 대한 동양 의학적 접근 방법을 토대로 미용에 효과적인 식약(食藥)을 분석하여 임상 연구를 위한 문헌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 "식료본초"의 미용에 관련한 음식 치료의 내용을 위주로 수집 및 정리하여 미용 식약(食藥)의 종류, 용법 및 작용 원리를 분석하고 설명하였다. 연구결과 : 미용 식약(食藥)은 내원, 미용 성질로 분류됨을 알 수 있고 용법은 상용되는 제형, 치료원칙 및 치법, 배합 제조 방식, 예방 및 치료 결합, 입약 부위 등으로 정리 및 분석하여 "식료본초"가 영양 성분과 외모 손상성 질병 치료에 대한 작용원리를 제시해 보았다. 결론 : 본 논문의 주요한 의미는 "식료본초"는 중국의 당(唐)나라 이전 시대의 음식요법의 큰 성과물이며, 중의미용 및 음식요법의 중요한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향후 통계학적인 관점에서 미용 식약(食藥)의 용법과 특징 및 규율을 정리하여 임상에서 실제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Cosmetology Major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 satisfaction on the cosmetology profession (헤어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미용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Moon, So-Hee;Kong, Cha-Sook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8 no.6
    • /
    • pp.1667-1677
    • /
    • 2021
  •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smetology major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the professionals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e cosmetology major student's major satisfaction on the beauty professional hall. Research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p <0.001)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n the hair beauty department and the beauty professionals (p <0.001), and the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 is "specialty" t = 4.625 (p =). .000),'Occupational recognition' t = 3.152 (p = .002), major value is'specialty' t = 2.330 (p = .021),'professional activity' t = 2.438 (p = .015), 'Occupation recognition' t = 4.843 (p = .000), university student activity adaptation is a subordinate factor of the cosmetology profession, "professional activity" t = 2.746 (p = .006), "occupation recognition" t = 4.303 ( Appearing as p = .000),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n the hair beauty departm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eauty professionals. For cosmetology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not only leads to satisfaction with the university and department, but also to self-satisfaction and cosmetology job confidence, allowing them to adapt to social life with a positive impact, and cosmetologists are hair With the values and attitude toward the beauty profession, you will be able to become a professional officer when you are a university student majoring in cosmetology.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e formation of a positive professional hall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hair beauty and the satisfaction of the major will be enhanced, and the self-development of students, as well as professors and educational relations, will be established so that beauty professionals can be established through correct theory and practical education. Education and continued guidance on the professional ethics and values of the person is considered necessary.

The perception of a nail beautician according to the nail treatment technique Job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네일 시술기법에 따른 네일 미용인이 지각하는 직무 효능감 및 직무만족도)

  • Park, Jang-So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3
    • /
    • pp.301-307
    • /
    • 2022
  • Excessive work intensity and stress from customers visiting nail salons due to the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visits and treatments to nail salons of modern people are negatively affecting the job psychology of nail salons.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need to prepare realistic and specific measures to increase job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rough nail treatment techniques of nail salons, the perceived job efficacy and job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for satisfa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nail gradation technique induces the highest job efficacy of nail polishers, and it was found that the more gel manicure techniques were applied,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of nail polishers was.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complex application between various nail techniques will be possible and the coordinates of the job psychology of nail beauticians will be presented, and at the same time, it will serve as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work environment and developing new nail treatment techniques.

A Comparison of the Social Perception of Hairdressers (헤어미용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 비교)

  • Kim, Kwang-hee;Kim, Eun-Young;Kim, Jin-Soo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2
    • /
    • pp.177-18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hairdressers, hairdressers-to-be, and ordinary people on hairdressers. For this, 286 hairdressers, hairdressers-to-be, and ordinary people residing in Daegu and Gyeongbuk were surveyed and analyze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preferred by hairdressers is running their own salon. Most of those involved in the beauty industry considered that anyone who has an aesthetic sense can become a hairdresser, the average education level is college, and 5-10 years of experience would be adequate. On the other hand, the majority of the ordinary people thought different. Second, most of the hairdressers thought that professional theoretical knowledge and skills are required for hairdressers and that they have the role of leading beauty. On the other hand, the majority of the hairdressers-to-be and ordinary people considered that what it takes to become hairdressers are design sense and creativity and that they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of cleanliness and service. Meanwhile, all the research subjects shared common ideas that the competence required for hairdressers is skills and female hairdressers are preferred. Third, the most common cause for hairdressers to move from a workplace to another was wage-related issues, and the most answered entry-level salary was between KRW 1 million and 1.5 million and average working hours a day 9-10 hours. Fourth, the research subject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 of the occupation of hairdresser. The results suggest that although the social perception of hairdressers is improving, ordinary people still need to change their perception.

A comparative study of consumer preference about the skin beauty shop of the hospital and the independent skin beauty shop (병원부설 피부미용실과 자영 피부미용실에 관한 소비자의 선호도 비교 연구)

  • Kwon, Young-Na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0 no.12
    • /
    • pp.3953-3962
    • /
    • 2009
  • To build up the marketing strategy and competitiveness which are suitable for hospital-annex skin care shop and independent skin care shop, 600 people, who are living in Gumi and Ulsan city, Gyung-Buk and also, clients of both skin care shop, were participated from Sept. 16th to Oct. 16th, 2009. The main clients of hospital-annex skin care shop were women in 20s, who have skin trouble with pimples, pores and sebum. On the other hand, the clients of independent skin care shop were mainly women in their 30s or 40s. They were housewives or self-employed. The reason to visit skin care shop was because of wrinkles or lack of elasticity. When they chose skin care shop, first of all, they considered the effect of the care and they wanted a licensed aesthetician to care their skin. In the aspect of sanitary facilities, equipments and the licensed aestheticians, the independent skin care shops were needed to be more improved than hospital-annex skin care shop. According to this survey, hospital-annex skin care shop and independent skin care shop need to provide differentiated service and this result would be the basis to have competitiveness. Also, in the future, more strategies and concrete method should be presented.

A Study on Improvement and Analysis of Beauty Information in KOREA (우리나라 미용 정보화에 대한 분석과 개선에 관한 연구)

  • Park Dae-woo;Kang Nam-so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9 no.3
    • /
    • pp.13-25
    • /
    • 2004
  • In this paper, We would research and analysis for actual beauty information condition in Korea on the end of July 2004. We make an investigation into 3 beauty subject that Web service were operated by 100% regular school education. 15.5% Private school in 363 teaching institutions, 8.74% of 767 material dealers, 0.38% of 77,546 beauty salons. There are 12 companies of client management program and 3 hair changing programs. It bring to be few of technical beauty information data and creature value added that lack of full-time lecturer, according1y, KBMC and Ministry of Health & Welfare would constitute beauty information commit that make connection of each 3 beauty subjects and web database for technical beauty information data. As a result of unification and communization for beauty information system. It should be take synergy effect for Korean Beau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