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스팅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 seconds

Rooting Rate and Survival Rate as Affected by Humidification Period and Medium Type of 'Maehyang' Strawberry on Cutting Propagation ('매향' 딸기의 삽목 번식 시 가습 기간 및 배지 종류에 따른 발근율과 생존율)

  • Hwang, Hee Sung;Jeong, Hyeon Woo;Lee, Hye Ri;Hwang, Seung Jae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9 no.3
    • /
    • pp.219-230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medium and humidification period for the strawberry (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 cutting seedling production. The cuttings were planted in coir (CO), rockwool (RW), phenolic foam (PF), and organic foam medium (OFM) with fogging treatment in 0, 3, 6, 9, or 12 days on February, 2019. And, as the field verification examination research, cuttings were planted in CO, RW, PF, and OFM, with misting treatment in 0, 6, 9, 12, or 15 days on June, 2019. In fogging treatments, rooting and survival rates of seedlings tended to increase with longer fogging periods, and rooting and survival rates wer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 CO medium with more than 9 days of fogging periods. In misting treatments, rooting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O and RW medium with more than 9 days of misting periods, and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with more than 12 days of misting periods.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by growth medium and humidification period in shoot and root growth. Therefore, when considering the rooting and survival rate the CO medium with 9 days of humidification period could be beneficial for the production of the 'Maehyang' strawberry cutting seedlings.

Smart Environmental Control System for Laying reptiles (파충류 사육을 위한 스마트 환경제어시스템)

  • Yoon, Seok-Jun;Koo, Dong-Ju;Ahn, Kyo-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9.10a
    • /
    • pp.249-252
    • /
    • 2019
  • 본 논문은 파충류 시장의 활성화와 파충류 사육 부담감을 해소하고자 사육자들에게 편리하고 접근성이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파충류 사육을 위한 스마트 환경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논문이 제시하는 주요한 기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육장 내 습도를 미스팅 시스템과 팬을 통해 제어를 한다. 둘째, 사육장 내 온도를 조광기를 활용한 스팟 램프의 밝기 조절을 통해 제어한다. 셋째, 파충류 먹이 공급 및 물 공급을 자동화하여 체계적인 식단을 관리한다. 넷째, 적외선 감지 센서를 통한 데이터를 활용해 파충류의 활동량과 탈피 및 질병의 가능성을 예상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IoT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현대 사회에서 추구하는 편리함과 기존 파충류 사육의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S/B 라텍스 특성에 따른 커튼코팅용 도공액의 커튼안정성 변화

  • Kim, Chae-Hun;Lee, Hak-Rae;Choe, Eu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ical Association of the Pulp and Paper Industry Conference
    • /
    • 2010.04a
    • /
    • pp.227-227
    • /
    • 2010
  • 기존 도공지 생산 공정에서 널리 사용되던 블레이드 도공방식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커튼코팅 방식은 스크래치, 스트릭, 미스팅, 블레이드의 마모등을 발생시키지 않고 고고형분 도공이 가능하며 우수한 커버리지를 갖는 도공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하나의 코팅 유닛에서 여러개의 도공층을 한번에 형성시킬 수 있어 설비투자비용 및 건조에너지, 공간활용도 절감 측면에서도 한층 유리하다. 커튼 코팅 방식에서 도공액의 유동은 도공액이 필름 형태로 사출되는 sheet forming zone, 도공액 커튼이 낙하하는 curtain flow zone, 도공액 커튼이 원지와 접촉하는 impingement zone으로 나뉜다. 커튼 코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sheet forming zone과 curtain flow zone에서 도공액이 얇은 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impingement zone에서는 고속으로 이송되는 도공원지에 의한 급격한 신장 조건에서 도공액 필름이 끊어지지 않고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유화제를 통해 동적 표면 장력을 낮초고 rheology modifier를 통해 점도 및 신장점도를 조절해 도공액의 커튼 안정성을 부여하는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도공액 제조시 바인더로 널리 사용되는 S/B 라텍스는 입도, 유리전이온도, 표면전하 등 그 특성을 달리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에 따라 도공액의 점도와 같은 유변특성이 변화하여 도공액의 커튼 안정성에 영향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입자경과 유리전이온도, 카르복실화 정도 등을 달리한 다양한 S/B 라텍스를 사용하여 유변특성을 달리한 도공액을 제조하고 커튼 안정성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PDF

Analysis of domain required for aggregates formation of AL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FTD (Frontotemporal dementia)-linked FUS in mammalian cells (루게릭병 및 전측두엽성 치매 연관 단백질 Fused in Sarcoma (FUS)의 스트레스 응집체 형성에 관여하는 도메인 분석)

  • Jun, Mi-Hee;Lee, Jin-A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8 no.5
    • /
    • pp.331-340
    • /
    • 2015
  • Mutations in Fused in Sarcoma (FUS) have been identified in patients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or Frontotemporal Dementia (FTD). Pathological FUS is mis-localized to cytosol and forms aggregates associated with stress granules (SG), while FUS is normally localized to nucleus. However, it is largely unknown how pathological FUS forms SG-aggregates and which domains are responsible for this process. In this study, we examined cellular localization and aggregation of ALS-linked FUS missense mutants (P525L, R521C, R521H, R521G), analyzed the domains responsible for cytosolic FUS aggregation in HEK293T cells, and confirmed this in cultured mouse neurons. To do this, we firstly generated missense mutants of FUS and then examined their cellular localization. We found that P525L was mostly mis-localized to cytosol and formed FUS-positive SG aggregates while R521C, R521H, or R521G was localized to both nucleus and cytosol. To further characterize the domains required for aggregate formation of cytosolic FUS, we generated different domain-deletion mutants using FUS-∆17 which has a deletion of nuclear localization signal. Interestingly, cytosolic FUS without SYGQ and RGG1 domain or cytosolic FUS without RGG2-ZnF-RGG3 domain did not form FUS-positive SG aggregates, while cytosolic FUS without RRM domain generated more aggregates compared to FUS-∆17.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SYGQ-RGG1 or RGG2-ZnF-RGG3 domain contributes to formation of cytosolic aggregate, while RRM domain might interfere with FUS aggregation. Therefore, our studies will provide important insight for understanding cellular pathogenesis of neurodegeneration associated with FUS aggregate as well as finding therapeutic targets for ALS or F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