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세 분석 시스템

Search Result 442,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elerobotic Microsurigical Robot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of Microsurgery (미세수술 동작분석을 통한 원격제어 수술로봇 설계)

  • 송세경;권동수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0 no.4
    • /
    • pp.401-407
    • /
    • 1999
  • A microsurgery telerobotic system has been developed to aid surgeons from physiological tremor, eye stram, hand tremor, contagious and radioactive hazard. This paper identifies four general areas of advanced microsurgery and analyzes the motion, tools, accuracy and applying forces with respect to microsurgery tasks, and proposes the criteria to design the microsurgical robot. The analysis of microsurgery can be helpful to clarify some basic concept and design of surgical robots. Based on this analysis results, we propose an efficient in-parallel-platform manipulator having a special kinematic structure suitable for microsurgery.

  • PDF

Analysis of Microplastic Transport in the Paldang Reservoir Using MPT-Q3D (MPT-Q3D를 이용한 팔당호 내 미세플라스틱 거동 분석)

  • Sun Mi Lee;Inhwa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75-475
    • /
    • 2023
  • 직경 5 mm 이하의 미세플라스틱은 인류 활동에 의해 생산되어 하수처리장 처리수, 우수토구, 도로 분진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하천에 유입되고 있다. 하천에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하천흐름을 따라 하류로 이동하여 해양환경에까지 이른다. 미세플라스틱은 수체를 따라 이동할 뿐 아니라 수생생물에 의해 섭식되기도 하여 인체 위해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서울과 경기도의 주요 상수원인 팔당호는 북한강, 남한강, 경안천이 유입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미세플라스틱의 유입에 따른 이송-분산 거동 평가가 중요한 영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준3차원 입자추적기법을 이용한 미세플라스틱 거동해석 모형, MPT-Q3D를 개발하였으며 팔당호 내 미세플라스틱의 거동 특성을 분석하였다. MPT-Q3D 모형은 2차원 흐름해석모형과 연계한 입자의 준3차원 거동해석을 위해 step-by-step computation method를 적용하였으며, 전단류에 의한 입자의 수평거동과 난류확산에 및 침강속도에 의한 연직거동 두 단계 계산과정에 따라 입자의 거동을 해석했다. 전단류는 2차원 흐름해석결과로부터 유속의 연직분포식을 적용하여 생성하였으며, 생성된 전단류에 의해 각 연직층 별 유속이 계산되고 𝚫t 이후 입자의 종, 횡 방향 이동거리를 계산한다. 또한 난류확산에 의한 무작위적 거동 계산을 위해 Gaussian 분포를 따른 난수 생성을 통해 무작위적 거동을 계산했다. 각 연직층에 위치한 미세플라스틱 입자의 종, 횡 방향 거동을 계산한 후 입자의 연직거동을 계산한다. 입자의 연직 위치는 난류확산과 침강속도에 따라 계산되며 침강속도는 미세플라스틱의 밀도 및 직경에 따라 결정된다. 현장 샘플링 결과에 따라 팔당호로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은 폴리스틸렌(PS), 폴리에틸렌(PE), 폴리에스테르(Polyester)가 있으므로, 세 종류의 미세플라스틱을 동시에 주입하여 팔당호 내 거동을 분석했다. 남한강, 북한강, 경안천의 유량 차이로 인해 팔당호로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은 대체로 남한강과 북한강의 흐름특성에 영향을 받았다. 경안천의 경우 유량이 낮아 팔당호로 유입되지 못하고 좌안을 따라 하류로 이동됐다. 남한강과 북한강에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은 주로 팔당호 내 소내섬을 거쳐 팔당댐 쪽으로 이동했다. 또한 팔당댐 인근에서는 PP, PE, Polyester 순으로 많은 양이 유입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 PDF

Hydrometeorological Drivers of Particulate Matter Using Satellite and Reanalysis Data (인공위성 및 재분석 자료를 이용한 미세먼지 농도와 수문기상인자의 상관성 분석)

  • Lee, Seul Chan;Jeong, Jae Hwan;Choi, Min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00-100
    • /
    • 2019
  • 최근 대기 중 미세먼지의 농도가 높은 일수가 급증하면서, 미세먼지를 저감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미세먼지는 주로 자동차 혹은 공장 등 인간 활동에 의한 오염물질 배출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태양복사에너지, 토양수분, 강우, 풍속 등의 수문기상학적 인자에 의해 발생, 이동, 소멸의 과정을 거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미세먼지 농도를 관측하기 위해 지점 기반의 관측소를 운영하고 있으며, 관측소가 위치하지 않은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는 선형 보간법 등을 활용한 내삽 기법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미세먼지 농도는 다양한 수문기상인자들의 영향에 의한 차이가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지점 기반의 자료로는 해당 지역의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의 공간적인 분포를 추정하고자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에어로졸 자료와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 수문기상인자를 활용하여 미세먼지 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는 다양한 수문기상인자들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미세먼지와 각 인자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높은 상관성을 갖는 수문기상인자들을 도출하고 최적의 선형회귀분석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베이지안 모델 평균(Bayesian Model Averaging, BMA)을 사용하였으며, 지점 데이터와의 비교를 통해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전체적으로 수문기상인자를 사용한 선형회귀분석 결과에서는 미세먼지농도 변화의 경향을 반영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계절별, 지역별 등 대기 특성을 고려하지 않아 각 기간의 급격한 농도 변화를 감지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수문기상인자와 미세먼지 농도의 패턴이 더욱 정확히 분석된다면, 미세먼지 농도 모니터링과 정확한 예보 시스템의 구축에 효과적으로 활용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lementation of Clustered Microcalcification Computer Aided Detection System in Mammograms (맘모그램 영상에서의 군집화된 미세석회질 컴퓨터 보조 검출 시스템 구현)

  • Lee, Jung-Chel;Om, Kyong-Sik;Lee, Hyung-Ji;Park, Sang-K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1-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유방암의 조기발견에 있어서 중요한 소견중 하나인 군집화된 미세석회질을 유방촬영 영상으로부터 자동으로 분석 및 검출하는 컴퓨터 보조 검출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전처리단계로서 유방영상에 메디안 필터를 사용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히스토그램과 레이블링 연산을 수행하여 실제 유방영역만을 추출 하는 작업을 구현하였다. 그런 후에 추출된 실제 유방영역에서 LoG (Laplacian of Gaussian)연산을 수행하고 히스토그램을 분석하여 이진화를 수행한후에 후보점을 검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를 이용하여 영역확장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미세석회질의 후보영역을 검출한 후, 미세석회질간의 거리를 분석하여 최종 관심영역을 추출하였다. 데이터베이스는 총 20개의 MIAS Mini Database의 맘모그램 영상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 89%라는 검출 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How can we better understand microplastic pollution in the river environments? (어떻게 담수 미세플라스틱 오염을 더 잘 이해할 수 있을까?)

  • Kim, Kyung Min;Jeong, Ha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82-382
    • /
    • 2021
  • 인간이 만들어내는 미세플라스틱은 물환경시스템과 관련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담수환경에서의 미세플라스틱의 생성, 운송, 축적, 그리고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담수환경에서의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보다 나은 이해와 관리를 위해서는 미세플라스틱이 어떤 오염원과 유사한 거동을 보이는지, 또 어떤 인간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지 등에 대한 분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담수 미세플라스틱의 실측자료가 확보된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담수 미세플라스틱과 측정망 수질항목(pH, BOD, DO, T-N, T-P, SS) 및 토지이용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담수 미세플라스틱의 가능한 거동과 관리방안을 논의하였다.

  • PDF

Patent and business model analysis of laser micro-machining system (레이저 미세가공 시스템의 특허 및 비즈니스 모델 분석)

  • Kwon, Young-Il;Son, Jong-Ku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37-438
    • /
    • 2018
  • 레이저 미세가공 시스템 관련 특허가 일본과 미국에서 1990년대 초반부터 출원이 증가하였으며, 2014년에 가장 많은 특허가 출원되었다. 이스라엘과 미국 국적의 출원인이 1, 2위를 차지하였으며, 전체 375건의 특허 중 상위 10위 출원인의 특허출원 비율이 약 26%로 분석되었다. 비즈니스 모델 분석에서는 비즈니스 모델의 강점을 강화하고 약점을 보완하는 비즈니스 모델 수행 전략을 도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Research Topics and Trends in South Korea: Focusing on Particulate Matter (토픽모델링을 이용한 국내 미세먼지 연구 분류 및 연구동향 분석)

  • Park, Hyemin;Kim, Taeyong;Kwon, Daewoong;Heo, Junyong;Lee, Juyeon;Yang, Minjune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8 no.5_3
    • /
    • pp.873-885
    • /
    • 2022
  • The particulate matter (PM) has emerged as a hot topic around the world as it has been reported that PM is related to an increase in mortality and prevalence rates. In South Korea, the importance of PM has been recognized since the late 1990s, and various studies on PM have been conduct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M research topics and trends for papers (D=2,764) published in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using topic modeling based on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As a result, a total of 10 topics were identified in the whole papers, and the PM research topics were classified as 'PM reduction (Topic 1)', 'Government policy and management (Topic 2)', 'Characteristics of PM (Topic 3)', 'PM model (Topic 4)', 'Environmental education (Topic 5)', 'Bio (Topic 6)', 'Traffic (Topic 7)', 'Asian dust (Topic 8)', 'Indoor PM (Topic 9)', 'Human risk (Topic 10)'.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papers on topics 'Government policy and management (Topic 2)', 'PM model (Topic 4)', 'Environmental education (Topic 5)', and 'Bio (Topic 6)' to the toal number of papers increased over time (linear slope > 0).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the new literature review methodology related to particulate matter and the history and insight.

A Study on Analysis of Fine Dust Measuring System to Improve Quality of Life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분석 연구)

  • Lee, Kwang-Jae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6
    • /
    • pp.69-77
    • /
    • 2019
  • Among the many factors that threaten the improvement of public health and quality of life, the proportion of fine dust is not so small, and the kinds and causes of the dust are also diversified. However, the domestic measuring instrument is in the initial stage and the certification system is insignificant. Recognizing the threat of fine dust for a long time, the United States has established a protocol of measurement standards and measurement methods and applied the developed fine dust measuring device authentication system. Through this system, the United States is leading the world's fine dust industry, technology and market. The EPA, FRM and FEM of the fine dust-related protocol were analyzed to reduce the harmful effects of repeated fine dust every year. In addition, light scattering method and spectroscopy method which can measure in real time by measuring method were examined, an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ine dust measuring instrument of international certification level were analyzed. Finally, development and service plan of the domestic fine dust measuring instrument are presented.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Micro Cutting Process for DMLS Mold Material (DMLS 금형강의 미세 절삭가공 특성 분석)

  • Yoon, Gil-Sang;Kim, Gun-Hee;Lee, Jeong-Won;Kim, Jong-D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b
    • /
    • pp.518-520
    • /
    • 2011
  • 금속분말 쾌속조형법의 한 종류인 DMLS 공정은 사출성형품의 균일한 냉각이 가능한 3차원 냉각시스템을 포함한 코어, 캐비티 제작이 가능하다. 그러나, 코어 및 캐비티 내 미세형상의 경우 DMLS로 제작하기에는 난해하므로 별도 미세 절삭가공을 통해 제작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MLS금형강 소재의 미세 절삭가공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HIP 공정 적용 전 후 DMLS금형강 소재를 대상으로 미세 절삭가공 실험을 수행하고 버 발생 및 공구마모 경향을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HIP 적용 전 시편이 강도 및 조직측면에서 미세 절삭가공에 상대적으로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achine Learning System for Fine Dust Anomaly Detection based on Big Data (빅데이터 기반 미세먼지 이상 탐지 머신러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Jae-Won Lee;Chi-Ho Lin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4 no.1
    • /
    • pp.55-58
    • /
    • 202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ig data-based fine dust anomaly detection machine learning system. The proposed is system that classifies the fine dust air quality index through meteorological information composed of fine dust and big data. This system classifies fine dust through the design of an anomaly detection algorithm according to the outliers for each air quality index classification categories based on machine learning. Depth data of the image collected from the camera collects images according to the level of fine dust, and then creates a fine dust visibility mask. And, with a learning-based fingerprinting technique through a mono depth estimation algorithm, the fine dust level is derived by inferring the visibility distance of fine dust collected from the monoscope camera. For experimentation and analysis of this method, after creating learning data by matching the fine dust level data and CCTV image data by region and time, a model is created and tested in a real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