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세 몰드 기술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핫 엠보싱을 이용한 3차원 미세 구조물 복제에 관한 연구

  • 박선준;정성일;정해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150-150
    • /
    • 2004
  • 현재의 핫 엠보싱 기술은 나노/마이크로 패턴의 복제 기술로 다방면에서 연구되어지고 있다. 기존에 알려진 핫 엠보싱 기술은 하드 몰드를 사용하여 열과 압력을 가해서 PR 패턴 제작이나 나노/마이크로 구조물을 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하드 몰드의 사용은 3차원 구조물을 구현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드 몰드 대신 소프트 몰드를 사용하여 3차원 미세 구조물을 구현해 보고자 한다.(중략)

  • PDF

Fabrication of micro structure mold using SLS Rapid Prototyping (SLS형 쾌속조형기를 이용한 미세구조 몰드 제작)

  • 유홍진;김동학;장석원;김태완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5 no.2
    • /
    • pp.186-190
    • /
    • 2004
  • By this time, a mold with nano size pattern was produced using a fabrication of X-ray lithography method and in a m icro size's case it was produced using fabrication of Deep UV lithography. In this paper, we produced mold with 400 $\mu{m}$depth pattern using a new technology of SLS(Selective Laser Sintering) Rapid Prototyping method. In addition to enhance strength and thermal stability, we produced Ni structure with a thickness of 300 $\mu{m}$ on a surface of mold using electro forming method.

  • PDF

진공 몰드를 이용한 제품의 안정화 연구

  • 김선오;허용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5.05a
    • /
    • pp.107-110
    • /
    • 2005
  • 몰딩 공정중에 발생된 보이드(void)는 제품의 기계적인 물성치에 큰 영향을 준다. 미세균열(micro crack)이나 박리(delamination)등의 결함을 유발하는 보이드의 형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진공 몰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기압 상태와 진공 상태에서 나타나는 유동 선단에서의 보이드 생성과 소멸을 실험관찰 하였고 몰드 패키지의 현상을 실험적으로 비교하였다. 아울러 진공 몰드의 공정 이론과 조건을 구하였다.

  • PDF

A study on PDMS mold fabrication using thermal embossing method (Thermal embossing 공정을 이용한 PDMS mold 제작에 관한 연구)

  • 김동학;유홍진;김창교;장석원;김태완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5 no.3
    • /
    • pp.223-226
    • /
    • 2004
  • Injection molding using plastic materials was expected to mass production of structure with nano pattern for low cost phase. The PDMS mold was produced easily and uniformly by using thermal embossing. Quartz master for embossing method was made using electron beam lithography it had 100-500 nm size of line and dot type. The PDMS mold was produced after a brief hardening process and the master removal. The results show that various patterns are successfully fabricated the nano scale.. The replicated mold would be useful a stamper fabrication for injection molding.

  • PDF

Fabrication of the Finestructured Alumina Sintering Materials by Replication Method (전사 방법에 의한 미세구조를 가지는 알루미나 패턴 소결체의 제작)

  • Kim, Hong-Dae;Kim, Eok-Soo;Lee, Man-Si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947-949
    • /
    • 2010
  • 임의 형상의 미세구조 패턴의 형성기술은 광전자 공학부터 생물학적 적용까지 넓은 분야에서 폭발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많은 패턴 형성에 관한 연구는 제작 프로세서 비용이 높아 일부의 기능성 반도체 디바이스 혹은 유기물 광학 미디어등에 한정 되고 있으며 고온 구조용 세라믹스에 적용은 거의 예가 없는 실정이다. 최근 들어 MEMS, 고온내열 부재, 광학부재에 관한 연구의 진전과 함께 고온 구조부재의 표면에 미세구조를 부여하는 연구의 니즈가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폴리 비닐 알콜(PVA)과 금형(석영 몰드)의 이형성이 높은 것에 착안하여 특단의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한 전사 방법으로 알루미나 소결체에 미세구조 부여를 시험하였다.

  • PDF

그래핀 표면 접착력을 이용한 전주도금 공정

  • No, Ho-Gyun;Park, Mi-Na;Lee, Seung-Min;Bae, Su-Gang;Kim, Tae-Uk;Ha, Jun-Seok;Lee, Sa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131-131
    • /
    • 2016
  • 기원전 5000년 이집트에서부터 시작된 도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발전하여, 1900년대에 들어 전기를 이용한 도금공정이 개발되었고, 현재 뿌리산업으로써 각종 제조업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도금 공정은 금속을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고, 제품의 심미성과 기능성, 생산성 등을 높이기 위해 주로 이용된다. 전주도금 공정은 완벽하게 동일한 형태의 생산품을 다량으로 제작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높은 생산성으로 주목 받고 있다. 특히, 나노/마이크로 크기의 정밀 소자 등을 가공하는 차세대 기술인 LIGA공정과 접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몰드를 이용하여 복제하는 방식인 전주 도금은 도금공정이 끝난 후 몰드와 완성된 제품을 분리해내는 추가공정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데, 둘 사이의 접착력을 낮추기 위하여 몰드의 표면에 이형박리제를 도포하게 된다. 이형박리제로는 전기가 잘 흐르면서 접착력이 낮은 이산화 셀렌이나 중크롬산이 주로 이용되지만, 원활한 박리를 위해서는 그 두께가 30 um 이상 확보되어야 하기 때문에 정밀한 미세구조 전주도금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화학 약품들은 매우 유독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폐수 처리 공정이 필요하며,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심각한 환경 오염을 초래한다는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매우 얇고 친 환경적이며 안전한 전주도금 이형박리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주도금 몰드로 사용한 구리의 표면에 TCVD를 이용하여 단일 층 그래핀을 성장시킨 후, 그래핀이 코팅된 몰드에 구리를 전주도금하여 박리하였다. 박리 후 그래핀은 몰드에 손상 없이 남아있는 것을 Raman microscopy를 통해서 확인하였고, 몰드와 그래핀 사이의 접착력 (약 $0.71J/m^2$)에 비해 그래핀과 전주도금 샘플간에 낮은 접착력 (약 $0.52J/m^2$)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낮은 접착력을 통해 박리 시 표면구조의 손상 없이 정밀한 구조의 미세 패턴구조를 형성할 수 있었다. 전주도금을 이용한 전극 형성과 고분자와의 융합을 통해 유연기판을 제작하여 bending 실험을 진행하였다. $90^{\circ}$의 bending 각도로 10000회 이하에서는 저항의 변화가 없었고, LED chip을 mounting한 후 곡률반경 4.5 mm까지 bending을 진행하여도 이상 없이 LED가 발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전주도금 공정을 이용하여 고집적 전자기기, 광학기기, 센서기기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부품제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Fabrication of AA4343 Alloys by Twin Roll Casting and their Properties (쌍롤 박판주조법에 의한 AA4343 합금의 제조 및 특성)

  • Euh, Kwang-Jun;Kim, Min-Gyun;Baek, Eun-Ji;Kim, Hyoung-Wo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b
    • /
    • pp.646-64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쌍롤 박판주조(Twin Roll Casting, TRC)법을 이용하여 AA4343 합금을 제작하였다. 주조시 롤 간격을 조절하여 냉각속도를 달리하였으며 인고트 주조(Ingot Casting, IC)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합금과의 미세조직학적 차이와 이에 따른 물성 변화를 고찰하였다. TRC 및 IC로 제조된 합금을 냉간압연하였으며 압연 건전성을 평가하였다. 한편, 냉각속도별로 상이한 미세조직을 구현할 수 있는 스텝몰드(Step Mold Casting, SMC)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합금의 냉각속도에 따른 미세조직 및 경도 차이를 조사하여 상대 비교하였다. 냉각속도가 빠를수록 주조 셀조직의 크기 및 공정 Si 입자의 크기가 감소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경도가 증가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주조시 생성된 공정 Si 입자의 크기는 압연에 의하여 그 크기의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열분석 결과 액상선 온도의 변화가 일부 발생하나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Numerical Analysis of Resin Filling Process for a Molded Dry-type Potential Transformer (몰드형 건식 계기용 변압기 제작을 위한 수지 충진 해석 연구)

  • Kim, Moosun;Jang, Dong Uk;Kim, Seung M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2
    • /
    • pp.511-517
    • /
    • 2016
  • Current oil-type potential transformers for trains are filled with insulating oil, which could have problems like explosions due to rising inner pressure during train operation. Therefore, mold and dry-type potential transformers are being developed to prevent explosions. One problem in manufacturing mold-type transformers is preventing void formation around the coiled core inside the mold during epoxy filling, which could cause an electrical spark. Micro voids can remain in the resin after filling, and macro voids can occur due to the structure shape. A transformer that is being developed has a cavity at the junction of the core and the coil for better performance, and when highly viscous epoxy flows inside the cavity channel, macro voids can form inside i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ree-surface flow of the mold filling procedure was analyzed numerically by applying the VOF method. The results were used to understand the phenomena of void formation inside the cavity and to modify the process conditions to reduce voids.

Fabrication of Anisotropic Hexagram Particles by using the Micromolding Technique and Selective Localization of Patch (미세성형 기술과 패치의 선택적 제거방법을 이용한 이방성의 육각별 입자 제조)

  • Shim, Gyurak;Yeom, Su-Jin;Jeong, Seong-Geun;Kang, Kyoung-Ku;Lee, Chang-Soo
    • Clean Technology
    • /
    • v.24 no.2
    • /
    • pp.105-111
    • /
    • 2018
  • This study presents a novel and eco-friendly process that can precisely control the location of the patches on the patch particles.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se anisotropic hexagram patch particles consists of sequential combinations of two separate methods such as a sequential micromolding technique for fabricating patch particles and a selective localization method for controlling the location of patches on the patch particles. The micromolding technique was carried out using physicochemically stable material as a micromold. In order to fabricate the highly stable patch anisotropic hexagram particles, the perfluoropolyether (PFPE) micromold was used to the process of the micromolding technique because they could prevent the problem of diffusion of hydrophobic monomers while conventional poly(dimethylsiloxane) (PDMS) micromold is limited to prevent the problem of diffusion of hydrophobic monomers. Based on combination methods of the micromolding technique and the selective localization method, the reproducibility and stability have been improved to fabricate 12 different types of anisotropic hexagram patch particles. This fabrication method shows the unique advantages in eco-friend condition, easy and fast fabrication due to less number of process, the feasibility of a mass production. We believe that these anisotropic hexagram patch particles can be widely utilized to the field of the directional self-assemb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