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세형태

Search Result 1,625,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참전복, Haliotis discus hannai 소화기관의 구조 및 조직학적 특징

  • 강승완;이제봉;이정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43-244
    • /
    • 2002
  • 연체동물, 복족강의 소화기관에 관한 연구는 20세기 초 Graham (1932, 1939)을 시작으로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형태 및 구조적 측면의 연구가 수행되어져 왔다(Graham, 1941,1964, 1973; Lutfy and Demian,1967; Bevelander, 1988). 복족류 소화관의 점막상피층을 구성하는 세포들의 종류 및 조직학적 특징에 대해서 Boer and Kits (1990)는 Lymnaea stagnaiis를 대상으로 소화관의 조직화학적인 방법과 미세구조적인 연구를 통하여 이들 소화관의 내강 상피조직이 섬모세포와 미세융모 그리고 다양한종류의 선세포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보고한바 있다. (중략)

  • PDF

대복, Gomphina veneriformis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 미세구조

  • 박채규;박정준;이정용;이정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41-242
    • /
    • 2002
  • 수서동물 생식소의 해부학적 구조 및 생식세포의 미세구조는 종 특이성, 생식생태 및 계통에 따라 다르다. 일반적으로 조개류의 정자는 핵과 첨체의 모양, 첨체기둥(acrosomal rod)의 유무, 미토콘드리아 수, 편모의 수 및 형태 등에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Morse and Zardus, 1997). Anadara trapezia 등이 속하는 돌조개과 (Arcidae) 조개들의 정자 두부는 난형이며, 첨체기둥이 없고, 중편에 4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진다. (중략)

  • PDF

Effect of Morphological variations on the Biodegradability of linear and star shaped PGCL (선형과 스타형 Poly(glycolide-co-$\varepsilon$ -caprolactone)의 형태학적 미세 구조변화가 분해성에 미치는 영향)

  • 조도광;박준욱;임승순;김수현;김영하
    • Proceedings of the Korean Fiber Society Conference
    • /
    • 2001.10a
    • /
    • pp.179-182
    • /
    • 2001
  • 지방족 폴리에스터는 보통 의료용 고분자 및 환경분해성 고분자로 알려져 왔으며, 이에 따라 지방족 폴리에스터와 그의 공중합물, 그리고 다른 상용고분자와의 블렌드들의 분해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보고가 이루어져 왔다. 일반적으로 결정성 고분자의 분해성은 일차적인 화학구조외에도 결정의 size나 perfactness, 결정화도 또는 배향도와 같은 미세 구조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 (중략)

  • PDF

기술현황분석 - 미세 입자의 고효율 건조를 위한 분무동결건조 기술

  • Kim, Jae-Hyeong;Ryu, Gyeong-Ha
    • 기계와재료
    • /
    • v.25 no.3
    • /
    • pp.86-91
    • /
    • 2013
  • 최근 식품, 정밀화학, 바이오와 같은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건조 기술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이에 다양한 피건조물의 건조를 위하여 다양한 건조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 동결건조 기술은 물리적/화학적 안전성, 생화학적 보존성 및 복원성 등의 특성을 갖기 때문에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동결건조 기술을 기반으로 미세 입자 형태의 분말 제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한국기계연구원에서는 고효율의 분무동결건조를 위한 장치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PDF

후두미세수술시 성대 점막하주입술(submucosal infusion technique)의 유용성

  • 김형태;조승호;김민식;박영학;선동일;유우정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8.11a
    • /
    • pp.185-185
    • /
    • 1998
  • 배경 : 양성성대질환에 대한 기저막영역과 성대고유층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양성성대질환의 조직병리학적 특성이 밝혀지고 있으며, 질환발생과 관련된 병인과 병태가 밝혀지고 있다. 목적 : 양성성대질환의 병리학적 특성에 맞게 후두미세수술시 성대 고유층 최상층을 최대한 보호하고 병변부위만을 제거할 수 있는 성대점막하주입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략)

  • PDF

Pollen morphology of subfamily Euphorbioideae (Euphorbiaceae) (대극아과(대극과)의 화분형태)

  • Park, Ki-Ryong;Lee, Jung-Hun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43 no.1
    • /
    • pp.1-11
    • /
    • 2013
  • Pollen morphology of 20 species of Euphorbioideae and one from Crotonoideae was examined with light,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pollen morphology presented here did not support the monophyly of Euphorbioideae, and the unique characters of tribe Stomatocalyceae such as absence of aperture margins, and thick and continuous endexine suggest the exclusion of Stomatocalyceae from Euphorbioideae which is in accordance with previous phylogenetic studies and wood anatomical data. Aforementioned pollen features in this tribe support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Acalyphoideae. Two subtribes of Stomatocalyceae were well recognized in terms of pollen morphology: Hamilcoinae includes species with reticulate or microreticulate exine patterns, and Stomatocalycinae includes those with perforate patterns with small supratectal elements. Three subtribes of Euphorbieae, classified in terms of pollen morphology, were further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including perforate in Euphorbiinae, microreticulate in Neoguillauminiinae and reticulate in Anthosteminae, strongly supporting the Webster's subtribal system. Hureae and Hippomaneae, having perforate sculpturing pattern with smooth margo, were similar in pollen morphology. Especially, the presence of small supratectal elements in Hura crepitans pollen suggests the close relationships with Excoecaria species of tribe Hippomaneae.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ies, unique intine thickness along the aperture margin in Euphorbieae was not reported elsewhere in Euphorbiaceae. However, in this study we found the same intine thickness along the aperture margin in Maprounea brasiliensis and Hura crepitans. We hypothesize that the similar intine thicknesses found in Euphorbieae and above two species are the evidence of close relationships among them.

미세가공 기술을 이용한 초소형 각속도계의 연구동향

  • 박정호
    • 전기의세계
    • /
    • v.46 no.3
    • /
    • pp.26-34
    • /
    • 1997
  • 본 고에서는 지금까지 보고된 여러 가지 형태의 초소형 각속도센서들을 분석하고 그 제작에 사용되는 여러 가지 기술들을 살펴봄으로서 새롭게 등장하는 초소형 각속도센서 개발 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