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세포구조

Search Result 171,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Role of Actin Filaments during the Formation of Bile Canaliculi in Isolated Rat Hepatocyte Culture System (흰쥐에서 분리 배양한 간세포의 담세관 형성에 있어서 액틴미세섬유의 역할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 Park, Chang-Hyun;Chang, Byung-Joon;Uhm, Chang-Sub
    • Applied Microscopy
    • /
    • v.29 no.4
    • /
    • pp.437-450
    • /
    • 1999
  • Bile canaliculi are the structure delivering bile secreted by hepatocytes into the bile passage. Bile secretion is mainly controlled by the cytoskeletal elements, mainly of actin in the microvilli, pericanalicular web. Most studies on the bile secretion have been done in viva situation, however, to control the various parameters in vitro culture system seem to be more useful. To set up an in vitro experimental system, the investigator isolated hepatocytes with an enzymatic method using a mixture of collagenase and hyaluronidase from normal Sprague-Dawley rat liver and cultured. Isolated hepatocytes were round and formed cords in culture. Microvilli covered the whole surface of hepatocytes. Bile canaliculi were formed between hepatocytes and wer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microvilli of various lengths and shapes mainly arising from small surface mounds. Actin filament core in the microvilli and pericanalicular actin web were incomplete. After cytochalasin D treatment, cultured hepatocytes were round but the surface were irregular with surfacen blebs, folds and grooves. Microvilli on the surface were scarce. Bile canaliculi were markedly dilated often with the detached junctional complexes. Bile canaliculi lacks microvilli almost completely and extended into the pericanalirular cytoplasm showing complex vacuolar and tubular structures by transmission electron mciroscopy. Pericanalicular actin web, intermediate filaments were hardly identified. Subsurface actin filaments were scattered scarcely under the cell membra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epatocytes isolated from rats can survive and form bile canaliculi in culture and the actin filaments are involved in the formation and/or maintenance of the bile canaliculi.

  • PDF

Ultrastructural and Histochemical Study on the Epithelia of Digestive Tract of a Korean Slug, Incilaria fruhstorferi (한국산 산민달팽이 ( Incilaria fruhstorferi ) 소화관 상피조직의 미세구조 및 조직화학적 연구)

  • 이정찬;장남섭;한종민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3 no.2
    • /
    • pp.143-160
    • /
    • 1997
  • 한국산 산민달팽이 Incilariafruhstorferi의 소화관을 부위별로 관찰하고, 소화관 상피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의 종류와 분포수 그리고 분비되는 과립 등을 미세구조적, 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산민달팽이의 소화관은 식도, 위, 장, 직장 등으로 구성되어있으며, 식도는 다시 전식도, 소낭, 후식도로 나누어지고, 장은 전장과 중장, 후장 등으로 구분되었다. 소화관을 부위별롸 관찰한 결과 섬모원주상피세포 2종, 녹색과립세포 3종, 청색과립세포, 점액세포, 투명세포, 망상형세포 그리고 괴사형세포 등 모두 10종류가 확인되었다. 섬모원주세포는 A형과 B형 등 두 종으로 나뉘며, A형은 세포의 상단 자유면에 섬모와 미세융모가 밀생된데 비해, B형은 전자밀도가 높아서 검게 보이고, 장과 직장에서만 관찰되는 특징을 보였다. 섬모의 구조는 9 x 2 + 2 axoneme이었다. 녹색과립세포는 미세구조에 의해 A형, B형 그리고 C형등 3종으로 나누어지며, 소낭과 후식도, 위, 직장에서 주로 관찰되었다. A형과 B형은 Sudan black에 양성인 지방과립(1.36 x 1.6$\mu\textrm{m}$)만을 포함하고 있는데비해 C형은 글리코겐 과립도 포함하고 있었다. 청색과립세포는 10종류의 세포 중 가장 키가 크고 (35$\mu\textrm{m}$), Millon반응에 양성을 보이는 둥근과립(직경, 1.3$\mu\textrm{m}$)을 포함하고 있는데 과립들은 단백질성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은 중장에서만 관찰되었다. 장과 직장에서 주로 많이 관찰되는 점액세포는 세포질 속에 전자밀도가 낮은 투명한 과립과 전자밀도가 높아서 검게 보이는 둥근과립(크기, 1.33 x 0.89$\mu\textrm{m}$)들을 포함하고 있었는데, 이들은 미성숙 시기에는 투명과립(직경, 2.66$\mu\textrm{m}$)으로 관찰되었다. PAS-alcian blue(pH 2.5)반응에서 투명과립은 alcianophillia로 나타난 반면, 검은 과립은 PAS에 양성반을을 보이며, 각각 산성점액과 중성점액과립으로 확인되었다. 투명세포는 광학현미경 관찰에서 A형과 B형으로 구분되었으나, A형은 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신경내분비세포로 확인된 반며, B형은 지방과립을 소지한 지방저장세포로 각각 확인되었다. 신경내분비세포가 소지한 과립의 크기는 0.16$\mu\textrm{m}$ 정도였다. 망상형세포는 주로 위에서 관찰되는 형태가 불규칙한 작은 세포로서 세포질에 비해 큰 핵을 소지하고 있었다. 소량의 세포질 돌기에는 사립체와 과립성소포체를 포함하고 있다. 괴사형세포는 후장과 직장에서 주로 많이 관찰되고, 점액세포의 점액과립이 분비된 후, 붕괴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Anatomical Ultrastructure of Spermiogenesis and Spermatozoa of Pseudobagrus fulvidraco (Siluriformes: Bagridae) from Korea (한국산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의 정세포변형과정과 성숙한 정자의 미세해부학적 구조(Siluriformes: Bagridae))

  • Kim, Kgu-Hwan;Kwon, Deok-Mun
    •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
    • v.21 no.2
    • /
    • pp.81-86
    • /
    • 2009
  • The spermiogenesis and mature spermatozoa of Pseudobagrus fulvidraco were described by means of scanning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Spermiogenesis is characterized by lateral development of the flagellum, nuclear rotation, deep nuclear fossa formation and compaction into thick granules. The spermatozoa exhibit a round head containing a nucleus that lacks an acrosome, and having a midpiece and a flagellum. The midpiece is small and has a short cytoplasm including several mitochondria separated from the tail by the cytoplasmic canal. The flagellum contains the 9+2 classical axoneme structure and has two axonemal fins. The presence of axonemal fins in the flagellum is a common character in Bagridae.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Bagridae as well as other teleosts are herein discussed.

Histological and Ultrastructural Studies on the Lingual Papillae and the Taste Buds of the Pre-and Postnatal Mice (마우스의 출생전 .후 발생단계에서 설유두와 미뢰에 대한 조직학적 및 미세구조적 연구)

  • 신보철;정영화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7 no.2
    • /
    • pp.182-202
    • /
    • 1994
  • 마우스(ICR mouse)의 줄생전 ·후 발생에 따른 설점막에서 설유두와 미뢰의 발생, 미뢰를 구성하는 미각세포들의 각 형별 미세구조적인 특징 및 미각세포와 신경종말과의 관계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유곽유두는 임신 17일 심상유두와 엽상유두는 출생 후 0일, 사상유두는 출생후 1일에 출현하였으며, 유곽유두와 심상유두에서의 미뢰는 출생 후 0일, 엽상유두에서의 미뢰는 출생후 1일에 관찰되었다. 유곽유두에서는 유두벽 상피 뿐만 아니라 유두 표면상피에서도 성체에서와는 다르게 미뢰가 출현하였다. 출생후 7일과 15일에서 유곽유두의 미뢰에 대한 미세구조적 관찰에서 미각세포는 중간형 세포. 암세포, 명세포, 기저세포 및 주변세포로 구분되었다 중간형 세포는 암세포와 명세포의 중간정도의 전자밀도를 보이는 세포로서 세포질에서는 활면 및 조면소포체가 다수 관찰되었고. 세포질 및 핵질내에서 다소포성소체와 유사한 구조물들이 관찰되었다. 암세포는 전자밀도가 높아 어둡게 보였고. 핵막은 깊은 함입을 보였다 이 세포의 핵주변 세포질에는 미토콘드리아, 섬유상 물질, 조면소포체 및 폴리솜들이 다수 관찰되었으며, 첨부 세포질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아 어둡게 보이는 과립들이 다수 관찰되었다. 명세포는 전자밀도가 낮아 밝게 보였고, 크고 등근 핵을 갖고 있었으며. 세포질내에서 활면소포체, 폴리솜 그리고 크고 작은 공포들이 다수, 조면소포체들은 소수 관찰되었다. 기저세포는 핵질이 풍부한 난원형의 핵을 갖고 있었으며, 전자밀도가 낮아 밝게 보였고, 유리리보솜들은 많았으나, 활면 및 조면소포체들은 소수 관찰되었다 주변세포는 비교적 긴 방추형의 세포로 얕은 핵막 함입들을 보였고, 대부분의 세포소기 관들은 미약하였으나 유리리보솜들은 다소 많이 관찰되었다. 출생후 7일에는 명세포, 15일에는 중간형 세포들이 다른 세포에 비하여 다수 출현하였다 출생후 미각세포들의 형태적 특징 및 세포소기 관들의 분화들로 미루어 암세포 주변세포 및 기저세포는 미성숙세포, 중간형 세포는 미각기능이 활발한 성숙한 세포 그리고 명세포는 퇴행성 세포로 생각된다.

  • PDF

Processing of Polyurhane Microcellular Foam for Thermal Insulation (단열재용 폴리우레탄 미세포 포움의 가공)

  • 윤재륜
    • The Korean Journal of Rheology
    • /
    • v.9 no.4
    • /
    • pp.190-199
    • /
    • 1997
  • 단열용도의 폴리우레탄 미세포 포움의 가공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미세포 구조 를 얻기 위해서는 핵생성율을 증진시키고 균일한 분포의 기포를 생성시켜야 한다. 이를 위 해 이산화탄소 기체를 풀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에 각각 과포화시키고 충돌혼합하여 초음파 가진을 적용하였다. 이산화탄소 기체가 수지 내부에서 기포 내부로 확산함에 따라 기포의 성장이 조절된다고 가정하고 금형이 충전되는 동안에 금형 내부에서의 기포성장기구를 이해 하기 위하여 수치적인 방법으로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경화 시간과 확산 경계를 고려 하여 최종적인 기포의 크기를 계산하였으며 반응속도론을 고려하여 중합반응동안의 폴리우 레탄의 점도의 변화를 예측하고 경화 시간을 결정하였다. 실험적으로 결정된 기체 분자수를 기준으로 하여 이론적으로 확산경계를 예측하였다. 화학적 발포제인 물과 함께 물리적 발포 제인 이산화탄소를 각각 1,2,3기압의 포화압력으로 변화시키면서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에 포화시켜 폴리우레탄 포움을 제작하고 제작된 포움의 밀도, 열전도도, 및 기포의 수와 지름 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로부터 이산화탄소의 포화압력과 초음파 가진이 포움의 기포핵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 PDF

Ultrasonic Processing of Polymer Foam (고분자 포움의 초음파 가공)

  • 변성광;윤재륜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 /
    • v.13 no.4
    • /
    • pp.618-624
    • /
    • 1989
  • Ultrasonically induced bubble formation in thermoplastic matrix was investigated experimentally and theoretically. polystyrene was saturated with nitrogen under the pressure of 0.2 to 3.45 MPa in a pressure chamber, followed by pressure release and ultrasonic bubble nucleation. Zinc stearate was added to polystyrene as the nucleating agent to induce heterogeneous nucleation. Various mixture of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polyethylene wax was also saturated with the gas. The foamed specimens with or without ultrasonically induced bubble nucleation was modeled by modifying the classical nucleation theory. The rate of ultrasonic nucleation was predicted for homogeneous and heterogeneous nucleation at a conical cavity. This study showed that the heterogeneous and heterogeneous nucleation at a conical cavity. This study showed that the heterogeneous nucleation must be employed for ultrasonic production of bubbles in a viscous fluid and the homogeneous nucleation for ultrasonic production of bubbles in a low viscosity flu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