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세전극

Search Result 42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용해 납 흐름 배터리용 여러 카본 전극의 에너지 효율 특성 비교

  • Min, Hyeong-Seop;Yang, Min-Gyu;Kim, Sang-Sik;Lee, Jeon-Guk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59.1-59.1
    • /
    • 2009
  • 레독스 흐름 배터리 (Redox Flow Battery)는 외부의 탱크 등에 저장해 둔 활성물질(이온 가수가 변화는 금속) 의 용액을 펌프로 전해셀에 공급하여 충전 방전하는 배터리로 신재생 에너지인 풍력과 태양광 발전, 야간의 잉여 전력 저장 등 대용량 전력 저장 장치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대표적인 레독스 흐름 배터리로 알려진 바나듐 레독스 흐름 배터리는 이온 교환막 사용으로 인하여 전기전도도, 기계적 강도, 투과도 및 전해질 내의 화학적 안정성 등 여러 가지 문제점과 함께 비용 문제점을 야기한다. 하지만 새로운 용해 납 레독스 흐름 배터리는 이온 교환막을 사용하지 않아 바나듐 레독스 흐름 배터리의 문제점 및 시설비가 절약되는 장점이 있어 새로이 연구되지고 있다. 본 연구는 레독스 흐름 배터리에 주로 이용되는 카본 전극재료의 따라 형성되는 Pb, $PbO_2$ 박막의 미세 구조를 및 에너지 효율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은 half-cell로 이루어졌으며 작업전극은 Carbon felt, Ordered Graphite, Disordered Graphite, Glassy Carbon 등을 여러 카본 재료를 사용하였고, 상대전극은 Pt, 기준전극으로 Ag/AgCl를 사용하여 Cyclic Voltammetry특성과 충방전 특성을 연구하였다. 전해질은 Lead Carbonate ($PbCO_3$)+Methanesulfonic acid ($CH_3SO_3H$) 들어간 수용성 전해질을 교반을 통해 이용하였다. 여러 carbon 전극재료와 생성된 Pb, $PbO_2$ 막의 표면구조, 미세구조, 상들의 변화는 XRD, SEM, EDX, Raman등을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전기화학 공정의 변수와 전극에 따른 에너지 효율특성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 PDF

Half spherical electrode machining in micro EDM (미세 방전 가공을 이용한 반구형 전극 제작)

  • 김기현;주종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04a
    • /
    • pp.1080-1084
    • /
    • 2001
  • In manufacturing a micro die with half spherical cavity by MEDM, it is necessary to prepare an electrode with the same shape. This paper suggests a simple method to manufacture a half spherical electrode based on tool wear. The tool wears more rapidly at the edge of a cylindrical electrode. In order to make a half spherical micro electrode, cylindrical electrode was fed into the workpiece by the distance of its radius. The d/R(depth/Radius) value varied with respect to capacitance and electrode diameter. The smaller the size of electrode was, the closer the electrode tip geometry approached to a half sphere.

  • PDF

Effect of plating and annealing process of laser doped selective emitter solar cells (레이저 도핑된 선택적 에미터 태양전지의 도금 및 열처리 공정의 영향)

  • Lee, Junsung;Kyeong, Dohyeon;Hwang, Myungick;Oh, Hun;Lee, Wonjae;Cho, Eunchu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48.2-48.2
    • /
    • 2010
  • 고효율 실리콘 태양전지 개발은 단파장의 광 응답 특성 개선을 위한 선택적 에미터 형성과 반사 손실 개선을 위한 미세 패턴 전극을 형성하는데 집중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레이저 도핑된 선택적 에미터 위에 미세 패턴 Ni/Cu 도금 전극을 형성하였다. 니켈과 동 도금은 무전해 Light induced plating(LIP)으로 진행하였다. 니켈 도금 전극의 접착력 개선과 접촉저항 개선을 위해서 니켈 전극을 질소 분위기에서 열처리하여 니켈실리사이드(NiSi)를 형성하였다. 니켈 도금 두께와 니켈실리사이드 열처리 조건을 최적화하여 충실도 77.4%, 변환효율 18.5%를 달성하였다.

  • PDF

Mercury Free Flat Discharge Lamps for LCD Backlighting (LCD 배면광을 위한 무수은 평면방전램프)

  • Shiga, Tomokazu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5 no.2
    • /
    • pp.31-38
    • /
    • 2001
  • LCD는 비발광형 소자이므로 배면광이 필요하다. 현재의 LCD 배면광용 냉음극 형광램프는 전기-광학적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수은방전을 사용한다. 그러나 수은의 이용은 외부 온도에 따라 특성이 변하는 결점과 환경 문제가 있다. 이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원통방전형, 미세방전형 그리고 평면방전형 등 세가지 방식의 무수은 램프가 개발되어 왔다. 원통 방전형 무수은 램프는 수은 대신 Xe을 사용한다. Xe 방전이 수축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한쪽 전극은 외벽에 코일형태로 감아서 사용한다. 그리고 코일형태의 전극의 권선 간격을 조절하여 균일한 방전을 얻는다. 이 형태는 무수은 냉음극 형광램프의 두배의 광속을 얻을 수가 있다. 미세방전형 무수은 램프는 두 개의 절연체로 절연되 금속 전극사이의 방전공간에 수많은 미세방전을 일으켜 발광시킨다. 이 방식은 대향 방전구조와 면 방전구조의 두가지가 있다. 이 방식은 전극이 유전체로 둘러쌓여 있으므로 수명이 높다. 새로운 평면방전형 무수은 램프를 개발하였다. 이 램프는 두 개의 유리평판 사이에 방전공간을 만들고 한쪽 유리면의 양쪽 가장자리에 두 개의 전극을 설치하여 면방전을 유도한다. 양쪽 유리면에는 삼원색 형광체를 도포하고 Xe을 봉입하여 Xe의 진공자외선으로 형광체를 발광시킨다. 이 램프는 전극이 유전체로 덮혀있어 수명이 길다. 실험결과 기체압력 6.7[kPa], 구동전압 1,130[V]에서 최대휘도 9,200[$cd/m^2$], 광효율 20.4[lm/W]을 었었고, 기체 압력 2.7[kPa] 구동전압 1,120[V]에서 최대효율 34.1[lm/W], 휘도 1,080[$cd/m^2$]을 얻었다. 현재 무수은 램프는 수은 램프에 비해서 광학적 특성이 좋지 못하다. 무수은 램프에서 좋은 광학적 특성을 얻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수축이 없이 방전을 확산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램프구조와 구동법을 최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기체압력을 높임으로서 Xe의 여기복사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Analysis and Usefulness of Microelectrode Recording during Deep Brain Stimulation Surgery in Movement Disorders (이상운동질환에 대한 뇌심부자극 수술 중에 미세전극 기록의 분석과 유용성)

  • Baek, Jae-Seung;Park, Sang-Ku;Kim, Dong-Jun;Park, Chan-Woo;Lim, Sung-Hyuk;Hyun, Soon-Chul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 v.51 no.4
    • /
    • pp.468-474
    • /
    • 2019
  • Deep brain stimulation (DBS) is an effective surgical procedure for treating drug refractory movement disorders, and DBS involves delivering high frequency electrical stimulation to deep brain nuclei. Microelectrode recording (MER) is a complementary test that can precisely identify the location of deep brain nuclei, along with MRI correlation, during DBS surgery to improve the surgical outcome and minimize side effect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neuro-physiological waveforms and identify the usefulness of MER by analyzing the MER performed during DBS surgery for treating movement disorder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28 patients who underwent MER during DBS surgery for movement disorders from January to December 2018. Of the 28 patients, 38 MERs for the subthalamic nucleus (STN), 10 MERs for the globuspallidusinternus (Gpi), and 4 MERs for the ventral intermediate thalamic nucleus (VIM) were performed. In all the cases, the target sites were found and micro-stimulations were used to check for side effects and to readjust the target sites. The clinical symptoms of all 28 patients improved after surgery. In conclusion, MER is a useful test that employs neuro-physiological waveforms to accurately identify the deep brain nuclei, along with MRI correlation, to improve the DBS surgical outcomes for movement disorders and to minimize side effects.

A study on the mechanism of the Electrochemical micromachining using point electrode method (점 전극을 이용한 미세전해가공 기구의 고찰)

  • 이승훈;박규열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0.11a
    • /
    • pp.906-909
    • /
    • 2000
  • To improve dimension accuracy and make very small parts are one of the major purpose on the electrochemical micromachining. This paper introduce a small machine tool by using the point electrode. That has a data acquisition system for gathering applied electric condition between the gap. Point electrode on this system was made by this method as well. It was found that variable phenomena occurred through the acquired V-I curve on the process.

  • PDF

Machining Rate and Electrode Wear Characteristics in Micro-EDM of Micro-Holes (미세구멍의 미세방전 가공에서 가공율과 전극소모 특성)

  • Kim, Gyu-Man;Kim, Bo-Hyun;Chu, Chong-N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6 no.10
    • /
    • pp.94-100
    • /
    • 1999
  • Micro-EDM is widely used in machining of miro-parts such as micro-shafts and micro-holes. In order to select proper machining conditions and to reduce the machining tim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machining characteristics under various machining conditions. Micro-hole machining tests were performed with round shape electrodes with different capacitances and voltages of the power source. The effects of the electrode rotational speed and diameter on the machining rate were also observed.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it was found that capacitance and voltage have significant effects on machining rate and the machined surface integrity. With higher capacitance and higher voltage, higher machining rate was observed together with poorer surface integrity. The electrode diameter was also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machining rate and electrode wear.

  • PDF

Effect of Internal Electrode on the Microstructure of Multilayer PTC Thermistor (적층형 PTC 서미스터의 미세구조와 PTCR 물성에 미치는 내부전극재의 영향)

  • Myoung, Seong-Jae;Lee, Jung-Chul;Hur, Geun;Chun, Myoung-Pyo;Cho, Jeong-Ho;Kim, Byu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11a
    • /
    • pp.181-181
    • /
    • 2007
  • PTCR 세라믹스를 적층형 부품으로 제조할 경우 소형화, 저 저항화 및 과전류 유입 시 빠른 응답특성을 갖는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적층형 부품제조시에는 내부전극재가 부품소자의 물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우수한 옴성 접촉(Ohmic Contact)을 갖는 Zn, Fe, Sn, Ni 등의 적층 PTC용 전극재는 높은 산화특성으로 인해 재산화 과정에서의 비옴성 접촉(Non-ohmic contact)을 갖게 되어 PTC 특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적층형 PTCR 세라믹스의 내부전극재와 반도체 세라믹층의 동시소성거동 및 적층 PTCR 세라믹스의 전기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된 내부전극재로는 Ni 전극을 사용하였고, Ni 전극용 paste로는 무공제 paste, 반도체 세라믹공제 paste, $BaTiO_3$ 공제 paste의 3종 전극재가 이용되었다. 적층형 PTCR 세라믹스의 제조공정은 테이프 캐스팅(Tape casting), 내부전극인쇄, 적층 및 동시소성을 포함하는 적층화공정을 적용하였다. 각각의 전극 paste를 적용하여 제조된 chip은 미세구조관찰, I-V특성, R-T특성 등을 평가하여 내부전극내 세라믹공제의 영향을 고찰하였다.

  • PDF

Glass Infiltration법에 의한 $Al_2O_3$/Glass/$Al_2O_3$ 세라믹스의 Ag 전극 matching

  • Jo, Tae-Jin;Yeo, Dong-Hun;Sin, Hyo-Sun;Hong, Yeon-U;Kim, Jong-Hui;Jo, Y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6a
    • /
    • pp.302-302
    • /
    • 2008
  • 다층 세라믹 기판은 내열성, 내마모성 및 우수한 전기적 특성으로 인하여 기존의 PCB의 대체품으로 많이 이용되며 그 수요가 점점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고집적 다층 세라믹 기판을 보다 다기능화, 고밀도화, 고성능화하기 위해서는 세라믹 층간 정밀도가 아주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으며, 무수촉 기판 소성기술을 이용한 층간 정밀도를 높이는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무수축 기판에서 이러한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극의 수축률을 기판의 수축율과 같은 0%에 가깝게 제어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서 여러 가지 Frit을 이용하여 수축율을 제어를 시도되고 있다. Ag 전극은 낮은 비저항 우수한 접착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가격이 저렴하여 전극재료로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특히 Infiltration법에 의한 무수축소성의 경우 Glass가 Ag paste로 Infiltration되어 Ag paste와 세라믹의 matching성 확보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제조된 Ag conductor paste 에 첨가되는 frit이 무수축 기판과의 매칭성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시편의 준비는 frit이 첨가된 Ag paste를 기판에 screen printing 한 후 $900^{\circ}C$에서 소결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Ag 전극의 미세구조를 관찰하고 전기적 특성과 미세구조와의 연관성에 관해 고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