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생물활성

Search Result 3,23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Study on the elution of biostimulant for in-situ bioremediation of contaminated coastal sediment (오염된 연안저질의 현장생물정화를 위한 미생물활성촉진제의 용출특성 연구)

  • Woo, Jung-Hui;Song, Young-Chae;Senthilkumar, Palaninaicker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8 no.3
    • /
    • pp.239-246
    • /
    • 2014
  • A study on the elution characteristics of biostimulating agents (sulfate and nitrate) from biostimulants which are used for in-situ bioremediation for the coastal sediment contaminated with organic matter was performed. The biostimulating agents were mixed with the coastal sediment, and then massed the mixture into ball. Two kinds of ball type biostimulant were prepared by coating the ball surface with two different polymers, cellulose acetate and polysulfone. A granular type biostimulant (GTB) was also prepared by impregnating a granular activated carbon in the biostimulating agent solution. The image of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or the biostimulant coated with cellulose acetate (CAB) showed that the inner side of the coating layer consisted of irregular and bigger size of pores, and the surface layer had tight structure like beehive. For the biostimulant coated with polyfulfone (PSB), the whole coating layer had a fine structure without pore. The elution rate of the biostimulating agents for the CAB was higher than that for the PSB, and the elution rate for the GTB was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for the PSB in distilled water as well as in sea water. The elution rate of the biostimulating agents in turbulent water flow was about 3 times higher than that in standing water, and the elution rate of nitrate was higher than that of sulfate from the stimulating agents.

산업폐수와 미생물

  • 강영희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0 no.1
    • /
    • pp.17-29
    • /
    • 1978
  • 본논에서는 그 많은 미생물의 공업적 이용에서 산업폐수 처리법의 일부분을 발췌해서 논해 볼까 한다. 즉, 생물학적 폐수처리법 중에서 활성오니법을 미생물의 먹이 과정을 더듬어서 살펴보는 정도로 논하자는 것이다. 물론, 활성오니 그자체 만 논하더라도 본지면으로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깊고 방대한 내용이 될 것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도 수처리 분야에 종사하는 소수의 기술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현장처들이 활성오니처리법에 대해서는 생소하기 때문에 본론에서 간력하나마 개론적으로 다듬어서 수처리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활성오니를 소개하자는 것이다.

  • PDF

Characteristics of Citrus By-Product Ferment Using Probiotics as Starter (Probiotic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감귤 가공부산물 발효물의 특성)

  • Moon Young-Gun;Lee Kyeong-Jun;Kim Ki-Young;Song Choon-Bok;Jeon You-Jin;Heo Moon-Soo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34 no.2
    • /
    • pp.158-165
    • /
    • 2006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activity of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citrus by-product ferment. Among the six probiotic bacteria, Bacillus subtilis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ha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Hot water extracts from citrus by-product of ferment were screened for antibacterial activity fish pathogenic bacteria by paper disc method. Among the various hot water extracts, the Bacillus subtilis, Saccharomyces cerevisiae, Pediococcus pentosaceus, Lactobacillus rhamnosus, Lactobacillus plantarum, Enterococcus faecium showed relatively strong antibacterial activities in the order. The reducing activity on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and $O^{2-}$ and OH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were sequentially screened, in search for antioxidant activities of citrus by-product ferment.

빙결정 제어에 의한 최근 식품 보존 기술

  • 김민용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3 no.7
    • /
    • pp.21-25
    • /
    • 2004
  • 생물재료인 식품의 성분 중에서 물은 식품의 주요기능인 영양기능(1차기능), 기호기능(2차기능), 생체 조절기능(3차기능)의 관점에서 무시되는 경우가 많으나 식품의 수송, 보존, 가공 공정에서 직접적으로 제어해야 하는 대상이므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존재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의 보존 공정에서 수분활성은 여러 가지의 화학반응, 효소반응, 미생물의 생육속도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미생물 생육을 위해서는 높은 수분 활성을 필요로 하므로, 수분활성을 제어함으로써 미생물의 제어가 가능하다. 따라서 저온의 이용도 기본적으로는 미생물 및 수분의 활성제어를 위한 공정이라고 말할 수 있다. 최근에는 수분의 활성을 억제하기 위하여 어류의 냉각공정에 사용되는 빙수를 해수나 수도수가 아닌 해양 심층수를 이용함으로써 미생물의 활성을 제어하는 연구가 진행 중이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 and Application of the Glycolipid Biosurfactant (당지질계 미생물 계면활성제의 특성과 그의 응용)

  • Lee, S.J.;Nam, K.D.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4 no.1
    • /
    • pp.26-40
    • /
    • 1993
  • Many different types of synthetic surfactant are being used, but it is important to develop for a broad range of purposes in a large variety of different application. Biosurfactant are important because the present a much broader range of surfactant types and properties than the available synthetic surfactant Futhermore, they are easily biodegradable and low toxicity, which reduce the potential of pollution. This article discusses the structure and properties of the glycolipid biosurfactants, their production and isolation from fermentation broths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 PDF

Functional analysis of various effective microorganisms used in the farmer's fields (농업현장에서 활용되는 농업용 미생물의 기능분석)

  • Choi, Eun-Jung;Anandham, R.;Hong, Sung-Jun;Park, Jong-Ho;Han, Eun-Jung;Jee, Hyeong-Jin;Suh, Jang-Sun;Kim, Yo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310-311
    • /
    • 2009
  • 농업현장에서 활용되는 농업용미생물의 효능을 평가하고 현장실용화를 제고할 목적으로 본 시험을 수행하였다. 8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친환경농업 특성화 지원사업 현황을 조사하고, 지자체별 미생물 활용수준을 평가하였으며, 각 지자체별로 활용되는 미생물을 수집하여 항균활성, siderophore 생성, IAA 생성, 질소고정, 인산가용화 능력 및 작물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자체에서 활용하는 미생물은 주로 유산균, 고초균, Bacillus속 세균, 광합성균, 효모 및 EM 등으로 몇가지 종류의 미생물을 활요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배양을 위한 배지는 대부분 균주를 개발한 대학 또는 산업체에서 공급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양기술 측면에서 볼 때 단순 배양 보급하는 지자체가 2개소, 산-학-연간 공급네트워크 및 대량배양체계를 구축하여 미생물을 활용하는 지자체가 7개소, 미생물 대량배양체계를 구축하고 병해충 관리연구를 수행하는 지자체가 1개소 그리고 미생물 선발, 특성검정 및 효과 평가 등 개발 및 응용을 추진하는 지자체가 1개소인 것으로 나타나 지자체에 따라 활용기술 수준은 큰 차이를 보였다. 지자체 공급 농업미생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고초균, 효모, 유산균, 광합성균, Bacillus속 세균 모두에서 균주에 따라 항균활성을 보였는데, 특히 Bacillus 속 세균이 높은 빈도로 황균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철 킬레이트 능력 (Siderophore 형성능)에 있어서는 5개 광합성 균주 중 1균주가, 5종의 효모 중 1균주만이 활성을 보인 반면, Bacillus속 세균(고초균 포함)의 경우에는 11개 균주 모두 활성을 보였다. 작물 생육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IAA(Indole acetic acid)의 생성능에 있어서는 광합성균이 5균주 중 4균주가 활성을 보여 비교적 생성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Bacillus 속 세균의 경우에는 11균주 중 8개 균주가 활성을 보여 광합성균 다음으로 높은 반도를 나타냈다. 효모의 경우에는 5균주 중 1개 균주가 IAA를 생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소고정능에 있어서는 광합성균은 5균주 중 3균주, Bacillus 속세균 11균주 중 6균주가, 효모는 5균중 1균주가 활성을 보인 반면, 유산균 중에는 단 한 균주도 질소 고정능을 보이지 않았다. 연작재배에 따라 토양 내에 축적되는 인산의 가용화능을 분석한 결과, 수집한 대부분의 유산균은 높은 활성을 보인 반면 기타 미생물은 인산가용화능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Bacillus 속 세균은 항균활성이 높고, 작물생육과 밀접한 IAA 생성 및 질소고정능력을 보유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친환경 작물재배시 병 발생을 줄이고 작물생장을 촉진할 수 있는 미생물로 평가되었다. 농업현장에서 기능성 및 효능을 고려하여 미생물을 잘 활용하면 병 발생 관리 및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리라 판단된다.

  • PDF

미생물의 대사산물로부터 신생리활성물질창출의 최근 경향

  • 이계준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5 no.2
    • /
    • pp.30-32
    • /
    • 1989
  • 종전까지 미생물의 대사산물 중 질병치료에 쓰일 수 있는 것은 일반적 시험균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생물질이라는 좁은 의미에서부터 탈피하여 좀더 다양한 새로운 검색방법을 고안하고 이로부터 넓은 의미의 생리활성물질을 얻고 있는 바 그 몇가지를 열거하고자 한다.

  • PDF

계면활성제에 따른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생물학적 분해 양상

  • Kim Yeong-Mi;An Chi-Gyu;U Seung-Han;Park Jong-M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153-156
    • /
    • 2006
  • 유류오염토양의 자연복원 시 생물이용도(bioavailability)를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제지 폐수로부터 분리한 미생물과 5가지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였다. 계면활성제로는 Brij 35, Brij 30, Triton X-100, Tween 40, Tween 80을 사용하였으며 유류오염물질로는 PAHs를 사용하여 계면활성제 별 미생물의 성장률 및 PAHs 분해율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각각의 계면활성제에 따라 서로 다른 미생물 성장 및 PAHs 분해능을 보였다. 계면활성제에 따른 미생물 성장은 Tween 계열에서 뚜렷했으며 이들 중 Tween 40에서는 PAHs의 분해능 또한 가장 활발하였다.

  • PDF

유류오염토양처리를 위한 미생물활성화방안 연구

  • 최우진;김무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1.02a
    • /
    • pp.74-93
    • /
    • 2001
  • 유류로 오염된 토양에 있어서의 미생물의 분포 및 활성도에 관한 연구는 오염토양의 생물학적 복원기술을 적용시키고자 하는 지역에서는 매우 중요한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류 오염된 지역에서의 미생물 활성도를 ETS(Electron Transport System) 및 그 이외의 몇 가지 방법을 통하여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순화된 토양에서는 이미 유류를 산화시킬 수 있는 Burkholderia spp.가 이미 우점을 이루고 있었고, 생물학적 복원기술 중 Biostimulation법을 적용할 경우 이미 존재하는 미생물(Indigeonous microorganism)에 의한 유류오염물질의 산화를 가속화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각 미생물의 ${\beta}-galactosidase$와 Phytase의 활성비교

  • Jo, Jin-Guk;Jang, U-Jin;Choe, Jin-Yeong;Heo, Gang-Chil;Lee, Jong-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375-379
    • /
    • 2005
  • 본 연구는 ${\beta}-galactosidase$와 phytase활성이 높은 균주의 선발을 목적으로 수각 미생물들을 Kefir와 자연환경에서 분리하여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배양한 유산균과 효모 균체액을 French pressure cell press로 세포를 파쇄하였을 때, 각 미생물의 단백질농도는 효모보다 유산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eta}-galcactosidase$의 비활성은 Kluyveromyces maxiranus와 Candida utilis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0.80{\sim}0.89\;umol/min/mg$ 사이였다. 체적활성의 경우는 Lactobacillus paracasei 및 Lactobacillus rahmnosus, Enterococcus faecium이 각각 15.9 및 14.5, 14.5 umol/ml를 기록하여 ${\beta}-galcactosidase$의 추출재료로 우수하였다. phytase의 비활성은 Lactobacillus paracasei 와 Enterococcus faecium이 0.032와 0.038 umol/min/mg로 가장 높았다. 체적활성의 경우는 Lactobacillus paracasei가 35.12 umol/ml로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beta}-galactosidase$와 phytase의 생산측면에서 이용한 미생물중에서는 Lactobacillus paracasei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