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립자 물질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Emitting from a Diesel Engine 1st Report (디젤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미립자상물질의 특성 1보)

  • 하종율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2 no.2
    • /
    • pp.3-10
    • /
    • 1990
  • 본 글에서는 미립자의 생성과정과 이미 발표된 생성, 산화모델의 특성, 기관운전조건에 따른 생성 조건 및 저감기술에 대하여 종합하였다. 1. 미립자의 생성과정. 2. 미립자의 생성과 산화의 모델. 3. 미립자 발생의 시간 경과. 4. 연소방식과 미립자의 생성. 5. 연소실내 가스유동.

  • PDF

광물미립자와 포말분리장치를 이용한 사육수재사용시스템에서의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 사육실험

  • 민병서;강필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27-228
    • /
    • 2000
  • 광물미립자(50$\mu$ 이하)는 무한에 가까운 표면적을 가지고 있다. 이들 미립자가 사육수에 교질(膠質)상태(colloidal)로 현탁(懸濁)되어 그 표면에서 사육수에 존재하는 노폐물질들을 흡착, 분해하고, 포말분리장치를 통하여 사육시스템 밖으로 배출된다면 사육수 정화에 필요한 제 과정과 이에 따르는 시설을 단순화시킨 새로운 순환여과시스템이 가능하다는 가설 하에 넙치를 대상으로 하여 본 사육실험이 시도되었다. (중략)

  • PDF

An Overview of the UF/MF Membranes for Water Treatment ; Perparetion Methods and Applications

  • 김정학
    • Proceedings of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04a
    • /
    • pp.1-54
    • /
    • 1997
  • MF : 0.01~submicron범위의 Pore를 가지는 막으로서 주로 입자제거 및 제균목적으로 사용 UF : MWCO 수천~백만(0.001~0.01$\mu$m)의 분리능력을 가지는 막으로서의 고분자 콜로이드에서 미립자, 균등에 이르기까지 물질을 분리, 농축, 정제하는데 사용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Individual Particles by SEM-EDX (SEM/EDX법에 의한 개별입자 성상 및 동정에 관한 연구)

  • 염해진;전보경;최금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96-397
    • /
    • 2003
  • 대기 중에는 가스상 물질뿐만 아니라 액적 또는 고체의 미립자도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입자상 물질은 다른 크기와 화학적 조성을 가지는 입자들로 혼합되어 있고, 그 성상은 시간에 따라 크게 변동한다. 따라서 대기 중 미세입자에 대한 발생원 추정 및 발생원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개개의 입자에 대한 물리ㆍ화학적 정보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입자상 물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물리적인 특성(size, shape 등)과 화학적인 특성이 중요한 요소이다. 입자상 물질의 형상은 그 발생원에 따라 또는 존재에 따라 매우 다양하고 불규칙적이다. (중략)

  • PDF

Comparison of removal efficiency of diesel particulate filter with different measurement methods in a high-speed marine diesel engine (선박용 고속 디젤엔진에 적용한 디젤미립자 필터의 측정방법에 따른 입자상물질 저감효율 비교 연구)

  • Lee, Ik-Sung;Ko, Dong-Kyun;Moon, Gun-Feel;Nam, Youn-Woo;Kim, Shin-Han;Oh, Young-Tai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41 no.4
    • /
    • pp.362-367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articulate removal efficiency of the developed diesel particulate filter using various measurement methods in a high-speed marine diesel engine. A four-stroke mechanical marine diesel engine is used for the test, which has a maximum output of 403 kW and is coupled to an AC dynamometer to control engine speed and load. The test was conducted based on four steady-state engine operating conditions of E3 engine test cycle for the measurement of PM and soot removal efficiency using partial dilution method considered as gravimetric method and filter smoke number method as light absorption method,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removal efficiency measurement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of diesel particulate filter, particulate matter was reduced from 76% to 91% and the soot was reduced by more than 90% while meeting the permissible engine back pressure. From these results, the applicability of diesel particulate filter adopted in high-speed marine diesel engines could be confirmed.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 that the particulate removal efficiency varies with different measurement methods, the necessity of unification of these methods could be identified.

입자 크기 분석 원리 및 연구 동향

  • 조금실;신진섭;김중현
    •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 /
    • v.15 no.2
    • /
    • pp.198-208
    • /
    • 2004
  • 입자의 크기 및 분산도에 관한 지식은 에멀젼 뿐만 아니라 aerosol, dispersion, suspension을 포함하는 미립자 계에서 중요한 정보이다. 특히 유화 중합에 있어서 입자의 크기 및 분산도의 정확한 측정은 중합 속도론 (입자의 생성, 성장 및 응집)을 다루는데 필수적이며, 입자의 크기 및 분산도는 hiding power, tinting strength 등 최종 물질의 물리$.$화학$.$기계적 성질 결정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합성 공정에서도 입자의 크기 및 분산도는 콜로이드의 점도에 많은 영향을 미쳐서 공정의 안정성을 좌우하기도 한다.(중략)

  • PDF

Graphene Attached on Microsphere Surface for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 (그래핀이 표면에 분포된 미립자를 이용한 열전도 복합재료의 개발)

  • Choi, Jae-Yong;Lee, Joo Hyuk;Kim, Mi Ri;Lee, Ki Seok;Cho, Kuk Young
    • Clean Technology
    • /
    • v.19 no.3
    • /
    • pp.243-248
    • /
    • 2013
  • Thermally conductive materials are widely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where effective heat dissipation is required. Graphene shows high potential for various uses owing to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good mechanical strength, and high thermal conductivity. Generally previous works used organic solvents are generally used for the dispersion of graphene in fabrication procedure. In order to achieve clean fabrication it is required to use water media. In this study, we fabricated graphene attached poly(methyl methacrylate) (PMMA) microsphere via microfluidic method. With the aid of surfactant, graphene was well dispersed in water which was used as continuous flow. Thermal conductivity was improved with the small amount of graphene addition and this indicate potential use of this system for thermally conductive composite material.

Synthesis of nanochannel metal particle by chemical deposition (화학석출에 의한 나노크기 채널을 갖는 금속미립자 제조)

  • Jang, Yu-Jin;Kim, Baek-Jin;Kim, Sang-Yong;Sin, Seung-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7.04a
    • /
    • pp.130-131
    • /
    • 2007
  • 지방족 액정 계면활성제를 주형물질로 이용, 화학석출을 통해 나노채널을 갖는 금속미립자를 제조하였다. 편광현미경을 이용한 상태도 분석을 통해 헥사고날 구조를 갖는 주형생성 조건을 결정하였으며, 주형의 배열을 방해하지 않고 화학석출이 가능하도록 환원제의 종류, 농도 및 석출방식 등을 조절하였다. 제조된 금속미립자는 입도분석기를 이용하여 평균입경을 측정하였고, TEM 분석을 통해 나노채널의 형성여부를 확인하였다. BET를 이용한 표면적 측정결과, 비표면적이 $112.6m^2/g$로 나노채널 형성으로 인해 비표면적이 크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