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량영양성분

Search Result 11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Some Nutritional Composition of Barley Flours (보리가루의 영양성분조성에 관하여(노오트))

  • Cheigh, Hong-Sik;Lee, Nam-Sook;Kwon, Tai-Wan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8 no.4
    • /
    • pp.260-262
    • /
    • 1976
  • 한국산 쌀보리 2개품종 및 겉보리 2개품종을 Buhler test mill에 의하여 제분(제분수율은 쌀보리 약 70%, 겉보리 61%) 한 후 주요 무기질 및 비타민, 아미노산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무기질성분중 P의 함량(0.19-0.27%)이 높았고 K 는 0.18-0.27%, 그리고 미량의 Ca 및 Fe가 함유되고 있었다. 비타민중 A 및 C는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았고 $B_1,\;B_2$ 및 niacin은 각각 3.6-5.7, 0.9-1.6 및 $27-39{\mu}g/g$의 범위를 보였다. 보리가루류의 아미노산조성은 품종간에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제한아미노산은 lysine으로서 보리가루 단백질의 amino acid score(FAO 아미노산 표준구성 기준)는 부흥이 61.7, 기타는 모두 58 내외를 보이고 있었다.

  • PDF

Analysis of General Components, Mineral Contents, and Dietary Fiber Contents of Synurus deltoides (수리취(Synurus deltoids)의 일반성분, 무기질 및 식이섬유에 관한 연구)

  • Park, Min-Hee;Choi, Byoung-Gon;Lim, Sang-Hyun;Kim, Kyung-Hee;Heo, Nam-Ki;Yu, Seong-Hee;Kim, Jong-Dai;Lee, Kwang-J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0 no.11
    • /
    • pp.1631-1634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general components, minerals, and dietary fiber contents of Synurus deltoides. S. deltoides contained 81.1% moisture content, and the proportions of crude fat, crude protein, crude ash, and crude fiber were 0.3%, 4.2%, 2.6%, and 3.5%, respectively. Potassium (3,249.1 mg) was the most abundant component among the minerals in S. deltoides. In addition, S. deltoides contained many other minerals, e.g. calcium (854.8 mg), phosphorus (60.3 mg), magnesium (344.7 mg), sodium (57.3 mg), zinc (1.7 mg), iron (30.9 mg), copper (0.8 mg), and manganese (5.8 mg). Almost all of the mineral contents of S. deltoides were higher than those of Aster scaber and Ligularia fischeri, except for zinc, copper, and manganese. Total dietary fiber (TDF), insoluble dietary fiber (IDF), and soluble dietary fiber (SDF) contents of S. deltoides were 42.6 g, 37.9 g, and 4.7 g, respectively, and these were also higher than those of A. scaber and L. fischeri used in this study. These results suggest that S. deltoides may be a valuable nutrient source.

Comparative Analysis of Nutrients and Hazardous Substances in Zophobas atratus Larvae (탈지 전, 후 아메리카왕거저리(Zophobas atratus) 유충의 영양성분 및 유해물질 비교분석)

  • Kim, Sun Young;Kim, Hong Geun;Ko, Hyeon-Jin;Kim, Mi Ae;Kim, In Woo;Seo, Minchul;Lee, Joon Ha;Lee, Hwa Jeong;Baek, Minhee;Hwang, Jae Sam;Yoon, Hyung Joo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9 no.12
    • /
    • pp.1378-1385
    • /
    • 2019
  •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optimal eating stage of the super mealworm, Zophobas atratus (Coleoptera : Tenebrionidae), were investigated to explore its use as a food ingredient. It was determined that 10th instar larvae were most suitable for eating in terms of nutritional value as well as economic aspects. To improve the quality of powder production, the nutritional value of 10th instar larvae before and after degreasing was analyzed. After drying the larvae powder, crude protein was the most abundant nutrient both before (52.3%) and after (60.6%) degreasing while crude fat measured 36.3% and 21.7% before and after degreasing, respectively. In terms of essential amino acids, leucine levels were highest and 1.3 times greater after degreasing (4.5%) than before (3.5%). Oleic acid, the highest unsaturated fatty acid in larvae, was 31.7% after degreasing which was 1.1 times higher than before (33.2%). Among various major minerals, potassium was most abundant and 1.4 times higher after degreasing (1267.0 mg/100 g) than before (879.3 mg/100 g). Harmful substances were 1.3 to 2.0 times lower in the degreased larvae, although mercury or pathogenic bacteria were not detected in either group. We therefore conclude that degreased Z. atratus larvae are more suitable for eating than before degreasing.

Physiology and Nutrition of Pasture Plants (목초의 생리 및 영양)

  • 이주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12 no.3
    • /
    • pp.64-129
    • /
    • 1992
  • 최근 초지중심 사양형태의 증가와 초지면적의 확대에 따라 단순한 사료로서가 아니라 영양가치가 높고 기호성이 높은 목초생산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고위생산을 위해 다량으로 사용된 질소질비료에 의하여 질산태 중독 등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어 목초의 생리 및 영양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사료성분 혹은 영양가치에 대한 연구는 이미 일찍부터 다루어져 왔으나, 주로 야초류, 청예작물 및 농가부산물 등의 일반성분 특히, 조단백질과 조섬유함량의 연구가 주가 되었고 다년생 목초류에 대한 연구는 1975년경부터 본격화 되기 시작하였다. 그동안 한국초지학회지와 축산학회지($1972\sim1991$)에 게재된 총 151편의 생리 및 영양에 관한 연구 중에서 다년생 목초류를 취급한 것은 불과 63편에 머물고 있다. 이 분야의 연구는 각종 목초 사료작물에 대한 재배조건과 생육단계에 따른 생리생태학적 연구와 사료성분, 소화율 및 가소화양분 함량의 일반적인 변화, 경향을 검토하여 사료 가치 평가를 위한 기준으로 삼았다. 그러나 다년생 목초류는 물론 사료 작물에 있어서 육종 생리분야의 연구는 매우 미흡한 상태로써 단지 발아, 생육, 저장탄수화물 및 유독성분 등 단편적인 연구만이 행해지고 있을 뿐이다. 또한 사료 성분이 가축의 기호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므로 금후 탄수화물과 미량 요소에 대한 자세한 연구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특히 목초와 사료작물의 화학적인 조성과 가축의 생리에 관련한 여러가지 문제들도 앞으로 보다 깊이 연구되어야 할 과제라고 생각된다.권을 잡기 위해 10년지기였던 IBM과 MS사는 각각 OS/2와 윈도즈를 내세우고 양보할 수 없는 힘겨루기에 들어갔다. 또 이들 양사는 펜컴퓨터,멀티미디어등 차세대제품의 운영체제 시장을 둘러싸고 일찍부터 격전에 들어갔으며 IBM과 MS사의 혼전을 틈타 썬마이크로시스템을 필두로한 워크스테이션 업체 및 유닉스진영까지 고성능 PC시장을 겨냥한 OS를 속속 개발, 90년대의 OS 전쟁은 한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안개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DOS에서 32비트시대,펜컴퓨터, 멀티미디어에 이르는 차세대제품을 둘러싼 업계의 OS 쟁탈전을 통해 OS의 발전동향과 미래를 전망해 본다. results in the large change of the objective function, the sum of squares of deviations of the observed and computed groundwater levels. 본 논문에서는 가파른 산사면에서 산사태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한 수문학적 인 지하수 흐름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물리적인 개념에 기본하였으며, Lumped-parameter를 이용하였다. 개발된 지하수 흐름 모델은 두 모델을 조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비포화대 흐름을 위해서는 수정된 abcd 모델을, 포화대 흐름에 대해서는 시간 지체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선형 저수지 모델을 이용하였다. 지하수 흐름 모델은 토층의 두께, 산사면의 경사각, 포화투수계수, 잠재 증발산 량과 같은 불확실한 상수들과 a, b, c, 그리고 K와 같은 자유모델변수들을 가진다. 자유모델변수들은 유입-유출 자료들로부터 평가할 수

  • PDF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Pollen Grain Collected by Honey Bee, Apis mellifera (메밀화분의 성분 특성 및 항산화 활성)

  • Hong, In-Pyo;Woo, Soon-Ok;Han, Sang-Mi;Lee, Mi-Kyoung
    • Journal of Apiculture
    • /
    • v.32 no.3
    • /
    • pp.261-268
    • /
    • 2017
  • We evaluat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 including proximate, amino acid, vitamin, minerals,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uckwheat (Fagopyrum esculentum) pollen grains collected by Apis mellifera bees, to be used as a species of forage plant with Quercus acutissima (acorn) and Actinidia arguta pollen grains.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and fat were found 14.43% and 5.67%, respectively. Eighteen amino acids from buckwheat pollen were found, including 8 essential amino acids. The predominant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lysine, accounting for about 42.7% of total free amino acids. The concentration of vitamin C was the highest value of 13.7 mg/100g, followed by $B_3$ (niacin) and $B_1$ among the detected vitamins. The predominant minerals were potassium (1197.95mg/100g), followed by phosphorus (962.77mg/100g) and magnesium (535.42mg/100g), whereas copper, zinc and manganese were detected as minor elements.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 accounted for 8.1% at $500{\mu}g/ml$ extract and $2.25{\mu}g/mg$, respectively.

A Study on the Mineral Contents of Dolwoe Tea(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 (돌외차(Gynostemma pentaphyllum Makino)의 무기성분에 관한 연구)

  • Park, Young-Hee;Hong, Youn-Ho;Park, Won-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16 no.2
    • /
    • pp.105-109
    • /
    • 1987
  • The mineral content of Dolowe, which were prepared in the laboratory and marketed Korean products of Dolwoe, Japanese product of Dolwoe and Korean-roasted products of Dolwoe were analysed and compared. Dolwoe-leaf tea had high mineral content of Ca, Mg, Mn and Cu, while Dolwone-stem tea had high mineral content of K, Na and Fe. Especially in the ash of Dolwoe-stem tea showed the highest mineral content of K (33.4%) Dolwoe teas were extracted for 5 minutes as ratio of $1,000m{\ell}$ boiling water to 4g Dolwoe tea (250: 1, v/w). Comparing the ratio of extraction of minerals in Dolwoe tea made by us and marketed Dolwoe products, K was the most abundant element of all extractions with the rate of $83.2%{\sim}96.3%$ followed by Mg with $44.8%{\sim}62.2%$, Ca with $23.1%{\sim}64.4%$ and Na with $6.3%{\sim}55.6%$. On the other hand Mn, Fe and Cu were extracted in extremely small quantities.

  • PDF

Study on the Special Nutrient Contents of Eggs Enriched with Vitamins, Fatty Acids and Other Nutrients (지방산, 비타민 및 특정성분 강화란의 성분함량에 관한 연구)

  • 박우문;이희애;전기홍;유익종
    •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 /
    • v.20 no.3
    • /
    • pp.207-213
    • /
    • 2000
  • 계란에 함유되어 있는 영양소 함량을 좌우하는 주요한 요인은 사료적 요인에 의한 닭의 영양상태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료적 변화에 현저하게 반응을 나타내는 것은 다수의 미량괄물질, 비타민, 불포화지방산 등이다. 본 실험에서는 지방산 강화란 16종, 비타민 강화란 4종 및 일반란 10종에 대해서 선분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지방사나 강화한 제품의 경우 16개사 제품에서 모두 DHA가 검출되었고, 6개사를 제외한 10개사의 제품에서 EPA가 검출되었다. DHA 함량은 두 개사 제품에서 69.84 mg, 46.16 mg을 나타낸 반면 대부분의 제품에서 100~300 mg 미만의 DHA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omega$6/$\omega$3비율은 16개사 제품 모두 다른 비율을 나타내었다. 비타민 강화란은 비타민 A와 E를 동시 분리, 정량하였으며 비타민 A와 E 함량은 4개사 제품에서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일반란과의 비교에서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요오드 강화란 및 사포니 강화란과 비교해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특수란의 특수성분 함량은 각 브랜드별로 다양한 분포를 보였으며 특히 비타민 강화란의 경우 일반란과의 차별성이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특수란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를 저하시킬 수 있어 앞으로 이에 대해 관리 및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White Birch Sap with Varying Collection Periods (자작나무수액의 유출시기별 품질특성)

  • Jeong, Su-Jeong;Lee, Chang-Hyeon;Kim, Hyun-Young;Lee, Sang-Hoon;Hwang, In-Guk;Shin, Chang-Seob;Lee, Jun-Soo;Jeong, Heon-Sa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1 no.1
    • /
    • pp.143-148
    • /
    • 2012
  •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irch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sap with different collection times. The changes of browning index, turbidity, pH, total acidity, organic acid, free sugar, crude protein, crude ash, and mineral content were investigated. The browning index and turbidity increased from 0.076 to 0.222 and from 0.048 to 0.138,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collection time. The pH decreased from 6.09 to 4.72, while total acid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collection time. Citric and malic acids were detected and malic acid increased with increasing collection time. Glucose and fructose as free sugars were detected and their contents were 0.364~0.433% and 0.497~0.664%, respectively. Crude protein and crude ash contents remarkably increased from 3.40 to 32.37 mg% and from 0.01% to 0.04%, respectively, with increasing collection time. Cu, Fe, Ca, Mg, Mn, and K were detected, and increased with increasing collection time. Particularly, K increased remarkably from 5.25 to 37.27 mg/L over tim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ptimum processing method to improve the quality of white birch sap is necessary, because the quality of sap decreased as collection time increased, but nutritional value increased.

A Comparative Analysis for Main Components Change during Natural Fermentation of Persimmon Vinegar (자연발효 감식초의 제조과정 중 지표성분변화 비교분석)

  • Lee, Sang-Hyun;Kim, Jae-Cher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8 no.3
    • /
    • pp.372-376
    • /
    • 2009
  • Physicochemical changes in persimmon were examined during natural organic acid fermentation. Major organic acids in raw persimmon juices were lactic acid (980 mg%) and acetic acid (245 mg%). The content of acetic acid was continuously increased during the whole period of fermentation up to 3 years. Glucose was the dominant free sugar, but the content was decreased after 20 days of fermentation. Most of the glucose was converted to ethanol until 40 days after initiation of acid fermentation. L- and a values of Hunter's color in fermented persimmon juice, which was naturally exuded from persimmon fruit as fermentation continued, increased gradually, while b value decreased. Acetic acid (1584 mg%) was the most abundant organic acid followed by lactic acid (712 mg%) and citric acid (48 mg%) in a persimmon fruit juice after completion of 3 year fermentation. A minute amount of residual free sugars, mainly glucose, even after 3 years of fermentation may cause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while storage for edible use.

The Taste Compounds in Commercial Toha-jeot (시판 토화젓의 정미성분에 관한 연구)

  • 이응호;이정석;주동식;박중제;김희경;장석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5 no.2
    • /
    • pp.325-330
    • /
    • 1996
  • 전남지방의 전통 수산발효식품인 토하젓의 인지도 향상 및 국가경쟁력을 갖춘 지역특산품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일련의 연구로써, 식품학적 기초자료를 얻기위하여 숙성기간이 다른 시판 토하젓을 구입하여 정미성분을 분석.검토하였다. 저온(5$\pm$2$^{\circ}C$)에서 90일간숙성시킨 토하젓의 전체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건물당 1873.0mg/100g)보다 2배이상 많았다. 한편 숙성된 토하젓의 주요 유리아미노산(719.4mg/100g) 보다 2배 이상 많았다. 한편 숙성된 토하젓의 주요 유리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lanine, leucine, valine 및 phenylalanine으로 전체 유리아미노산에 대해 58.6%를 차지하였다. 핵산 관련물질은 담금 직후 및 숙성된 토하젓 모두 hypoxanthine의 함량이 월등히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AMP 및 IMP순이였다. 그리고 숙성된 토하젓은 담금 직후의 토하젓과 비교해서 AMP 및 IMP는 적었으나, hypoxanthine의 함량은 많았다. 불휘발성 유기산을 GC분석한 결과, 담금 직후 및 숙성된 제품 모두에 lactic acid가 가장 많아 각각 건물당 389.3mg/100g 및 752.3mg/100g이였고, succinic acid는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90일간 숙성된 TMAO, betaine 및 total creatinine 함량은 건물량 기준으로 각각 63.6mg/100g, 179.1mg/100g 및 123.7mg/100g이었다. Omission test를 이용하여 각정미성분을 관능검사한 결과, 유리아미노산 및 불휘발성 유기산이 토하젓의 맛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핵산 관련물질은 그다지 맛에 대한 기여도가 높지 않았다. 따라서 시판 토하젓의 맛에는 유리 아미노산 및 불휘발성 유기산이 중요한 역할을 하며, 핵산 관련물질이나 TMAO, betaine 및 total creatinine은 보조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