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래

Search Result 18,037,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 Study on foreseeing the future techonology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정보통신 미래기술 예측에 관한 연구)

  • Min, Jae-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06a
    • /
    • pp.487-490
    • /
    • 2007
  • 정보통신 서비스의 발달에 의해, 미래 사회의 사람들의 일상생활과 사회활동의 모습을 그린 미래상을 분석하고, 정보통신서비스의 상용화를 전망해서 미래 정보통신 시스템 구성법 및 어플리케이션을 명확하게 하고, 이를 기반으로 중장기적인 미래 핵심 및 세부요소 기술을 도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토대로 비용 대비 효과와 효율성이 높은 미래 기술을 예측하여, 기술개발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기술개발의 경쟁력 확보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산업계, 학회 등의 연구개발의 촉진, 표준화 활동에 초석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미래인터넷 보안 구조 설계 및 요구사항 연구

  • Jo, Mi-Yeong;Lee, Sang-Min;Kim, Gi-Cheo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3
    • /
    • pp.49-57
    • /
    • 2012
  • 미래인터넷은 현재 인터넷 구조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미래의 새로운 요구사항을 수용하기 위해 설계 및 개발된 새로운 인터넷을 의미한다. 미래인터넷에서는 다양한 이종 네트워크가 공존하는 형태로 구성될 것으로 전망되며, 안전한 인터넷환경(보안), 자유로운 통신 환경(이동성, 이질성 극복)을 사용자에 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고에서는 미래인터넷 설계 시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미래인터넷 보안 기술 구조를 설계함에 있어 사용자 또는 플랫폼 측면에서의 보안 구조 설계 및 요구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ETRI Vision 2020 Future Strategies Methodology (ETRI 비전 2020 미래전략 고찰)

  • Ryu, Dong-Hyeon;Seo, Gyo-Ung;Ha, Won-Gyu;Hwang, Seong-Hyeon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3 no.4
    • /
    • pp.156-170
    • /
    • 2008
  • 21세기 지식경제사회의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세계 선진국에서는 미래전략 연구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경우 미래전략 연구에 소홀한 실정으로, 지난 2007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는 IT 기반 융합기술 시대를 대비함과 동시에 신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비전연구를 진행하였다. 2012년과 2020년을 각 각 중기와 장기목표로 구분하고, '즐겁고, 편리하고, 안전한 인간중심 IT 비전'을 topdown 방식으로 설정하였다. 설정된 비전 달성을 위해 비전위원회를 구성하여 bottom-up 방식으로 메가 트렌드 분석, 델파이, 시나리오 기법, TRM 설계를 통하여 미래 전략을 수립하였다. 본 고는 국외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미래예측 및 기술예측 등 미래전략 연구 방법론과 사례에 대해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미래전략 방법론을 ETRI 비전수립 과정과 접목한 사례 일부 결과를 고찰하였다. 본 고를 통해 아직 초보단계에 있는 국내 비전연구, 미래예측 및 전략수립에 대한 방향을 제시한다.

미래인터넷 기술과 표준 동향

  • Choe, Yang-Hui;Kim, Dae-Y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3
    • /
    • pp.5-10
    • /
    • 2008
  • 현재의 인터넷 기술들은 수십 년 전에 설계된 구조와 프로토콜을 근간으로 점점 늘어나는 사용자들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부분적으로 개선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어왔다. 향후 $1{\sim}20$년 뒤의 미래를 고려한다면 현재 인터넷의 약점들을 극복하는 혁신적인 방식으로 미래 인터넷 구조와 프로토콜들을 재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미래인터넷 기술에 대한 연구는 미국, 유럽, 일본 등 국제적으로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하였으며 국내에서도 2007년 정보통신부 신성장동력사업의 일환으로 미래인터넷 핵심기술 연구 사업이 선정되어 연구기획, 원천기술연구, 표준화 분야 등에서 국제 협력 및 한국의 미래인터넷 연구를 이끌어 나가고 있다. 국제적으로 경쟁력을 가지는 미래인터넷 연구를 위해서는 국제 협력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지원 및 실험환경 구축이 필수적이며 미래인터넷 연구 인력의 양성이 뒷받침되어야만 할 것이다.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Effects of Youth Future Career Programs (청소년의 미래진로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 Baek, Minjung;Kang, Kyoung-Ky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2 no.3
    • /
    • pp.603-610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Youth Future Career Program for adolescents and to look into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the future efficacy. Through the program, adolescents would predict the future, explore alternative futures to solve future problems, find the shape of the future society they want and desire. In addition, they will discover or create future jobs. In this study, the Youth Future Career Program was developed into four modules: Future Understanding, Future Participation, Future-self, and Future Management. Ninety-three students in K University's Gifted Education Center participated in the Future Career Program (62 males and 31 females, 62 middle school students, and 31 high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responded to 14 questions about the future efficacy of the Youth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8 out of 14 questions (p<.05). In particular, the abilities of the participants were improved as follows: to apply newly learned things to society, to evaluate the current problems, to develop critical thinking to solve the problem, and to communicate with members of society.

Future Technological Foresight and Promising Emerging Technology Selection Frameworks based on Six Human Senses (인간의 6감각 기반의 미래 기술예측조사 및 유망기술 발굴 체제연구)

  • Cho, Ilgu;Lee, Jungman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4
    • /
    • pp.229-236
    • /
    • 2017
  • Technology foresight is the process which investigate long term science, technology, economic and social effects to derive strategic R&D and future promising technologies. This study shows that new systematic framework based on technology classifications of space and action in human society, future six senses was employed as a new research method for effective process of future technology foresight. In addition, to increase the acceptance, forecasting, and uniqueness of new technology, we derived major issues of future society and demand-base products and services through the new process of ICT future mega trend analysis, the findings and selections of future technology, and future scenario based on human six senses.

A study on develop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roadmap through statistical meta analysis (통계적 메타분석을 응용한 미래기술개발로드맵 도출에 관한 연구)

  • Yoo, Young-Sang;Park, Jeong-Seok;Jeong, Nae-Yang;Park, Chan-Keun;Heo, Tae-Young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3 no.4
    • /
    • pp.98-107
    • /
    • 2008
  • As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rket goes more uncertain, foresight activities becomes more important. A number of foresight activities, such as trend analysis, have been used to predict customer needs. However previous studies tend to lack objectivity and systematization. In this study, we suggest a meta analysis methodology which combines both top-down and bottom-up approach in order to systematize the analysis process. Secondly, we applied this approach to ICT market to identify essential future technologies. Based on the result from the meta analysis, we have constructed the future technology roadmap.

  • PDF

An Analysis on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n Korea (경관계획에서 제시된 경관 미래상의 현황 분석)

  • Joo, Shin-ha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4 no.1
    • /
    • pp.80-9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isions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to suggest improvements for it. This study overviews currents methods of making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by group interview with hands-on workers. Thirty-two cases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are reviewed to analyze the forms and contents of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The purpose of urban vision and city slogans are fairly similar to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and compares them. According to this study, we conducted writing direction and policy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s written by consulting the landscape resources survey and visions of upper plans. These writing methods are able to enhance the consistency of each chapter in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the consistency between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upper plans. Thus, it is desirable to revise landscape planning guidelines with this method. The current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s written in the form of a city slogan. But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s not a means of publicity and transformational use. So, the form of the vision needs to be revised.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among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urban vision, and city slogan. There is a closer correspondence between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and urban vision than city slogan. This result means that it is beneficial to write the vision of visual landscape planning in consideration of the upper plan. Henceforward, for maintaining and enhancing consistency detailed contents in landscape planning guidelines are nee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