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기후 요소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Relation of between the Architectural and Urban Form, Microclimate Factors and Buildings Energy Consumption (도시, 건축형태 및 미기후로 인한 건축물군의 에너지 소비량의 관계)

  • Lee, Gunwon;Jeong, Yunnam;Moon, Yoon-Deok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9 no.10
    • /
    • pp.923-934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s correlations between the impacts of urban and building form and microclimate on the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It applies microscopic elements such as urban form, building form and character, and microclimate as factors in the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To this end, the energy consumption of selected buildings in Seoul in August of 2017 was analyzed. Based on microscopic elements within a radius of 500 meters of 23 Automated Weather Station (AWS) measurement points selected by the Meteorological Office of the City of Seoul. With the exception of a few elements, the urban form and character elements demonstrate a significant relation to the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It is also found that microclimate elements such as wind speed and humidity are pertinent to the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It is helpful in that it suggests results for establishing more effective policies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sustainability and resilience of cities.

The Impact of Comfort of built Environment and Microclimate on Outdoor Activities in Urban Space (건조환경의 쾌적성과 미기후가 도시공간의 외부활동 지속에 미치는 영향 분석)

  • Jeong, Yunnam;Lee, Gunwon
    •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 /
    • v.9 no.5
    • /
    • pp.565-575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microclimate, and comfort on sustaining outdoor activities. This study has identified the main factors that influence sustaining outdoor activities as physical environment, comfort in the physical environment, microclimate and microclimate comfort. For analysis, the study conducted the investigation on pedestrian walkability during spring, summer and winter of the year 2017. The microclimate levels were also recorded at the same time. The method of logit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se outcomes. The result showed that the comfort and safety of the physical environment as well as the ideal climatic conditions, in terms of temperature, wind level, and solar insolation, were related to sustaining outdoor activities. Also, walking and shopping in the physical and climatic environment were the factors that were found to be more influenced than the act of remaining in a place and forming conversations.

개발에 따른 연안역의 변화메커니즘

  • Im, Deok-Min;Do, Geu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5.10a
    • /
    • pp.161-162
    • /
    • 2015
  • 근대사회는 기술의 발달과 산업화에 의해 도시에 인구가 밀집됨으로써 효율화, 평균화, 획일화된 개발로 대도시가 형성되었다. 이후에는 도시 자체의 팽창으로 인하여 주변 지역으로의 도시권 확대를 위한 개발이 진행되었으며 연안지역에서는 해수면 매립이라는 방법으로 도시 영역을 바다로 확장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역의 특성을 고려한 개발을 통해 기후 및 온열환경, 풍환경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내륙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에 착목하여 연안역이 갖는 기후환경적 이점을 유지하면서 개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먼저 연안역의 특성을 파악하고, 개발에 의해 변화되는 환경요소를 유형화하여 연안역 기후환경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안지역의 지형이나 기후와 같은 특성을 조사하고 개발에 따른 연안역의 변화과정을 메커니즘화하여 영향요소를 도출하고자 한다.

  • PDF

Quantification and propagation of climatic and human impacts on streamflow (하천에서의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 영향의 수치화 및 전달 분석)

  • Lee, Dongjun;Shin, Youngchul;Lim, Kyoung Jae;Jung, Yo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48-148
    • /
    • 2015
  • 기후와 인간 활동의 변화는 하천의 유량을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소들 중 하나이다.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이 요소들의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이 하천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수치화하여 관리해야한다. 또한 상류에서의 기후와 인간 활동에 의해 변화된 유량은 하천 하류까지 전달되어 적지 않는 영향을 미치고 있다. 효과적인 하천관리를 위해서는 유역 내 기후와 인간 활동에 의해 변화된 유량과 하류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에서 기후와 인간 활동에 의한 유량 변화를 정량화 하고 그 요소들이 상류에서 하류에 얼마나 많이 전달이 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수리구조물이 설치되어 있는 하천에서는 인간 활동에 의한 유량변화량이 크게 나타났다. 상류의 수리구조물에 의한 영향은 하천 하류에도 크게 전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후적인 요인에 의해 유량의 변화가 큰 지역은 그 외 지역보다 자연 재해에 의한 피해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의 효과적인 수자원관리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Impact of climate change on hydrological cycle components in North Korea basins by statistical analysi (북한지역의 수문순환요소의 통계특성분석을 통한 기후변화 영향 평가)

  • Kwon, Bo Ra;Jeung, Se Jin;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02-202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해 슈퍼태풍 및 극한 강우, 폭설과 한파, 온난화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한반도의 기후변화는 전 세계 평균보다도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북한지역은 오랜 식량난과 에너지난으로 산림생태계가 훼손되어 홍수 및 이수와 같은 기후변화 관련 자연재해에 매우 취약하며, 무분별한 도시화에 따른 불투수층의 증가로 인해 유역내의 수문순환요소가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기상 및 기후정보의 활용이 중요하다. 하지만 본 논문의 대상지역인 북한지역은 우리가 수문자료를 구하기가 힘들고, 직접 측정 할 수 없기 때문에 수문순환분석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WMO에서 제공하고 있는 북한의 27개 기상관측소의 강수량, 기온자료를 제공 받아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상정보를 이용하여 각 관측소별 잠재 증발산량을 산정하였으며, 또한 lumped conceptual model 인 WASMOD 모형을 이용하여 북한 미계측 유역의 유출량을 산정 하였다. 이렇게 산정된 수문순환요소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분석, BCP, 유황분석등 시계열 분석을 통해 북한지역의 수문순환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PDF

After Trum's Withdrawal from Paris, Nukes Are More Crucial Than Ever (세계의 창 - 트럼프 대통령의 파리 기후협약 탈퇴 선언 후 확대되는 원자력의 중요성)

  • Hansen, James;Shellenberger, Michael
    • Nuclear industry
    • /
    • v.37 no.7
    • /
    • pp.77-78
    • /
    • 2017
  • 태양과 바람은 화석 연료를 완전히 대체할 수 없기 때문에 원자력은 기후 변화와의 싸움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파리 기후협약 탈퇴를 선언한 이후, 미국 내 12개 주 주지사들은 즉시 독단적인 기후변화방지 정책 행보를 표명했다. 주지사들이 채택한 정책 행보는 다양하나, 최근 여러 연구에 따르면 미국이 보유한 가장 풍부하고 안전한 에너지인 원자력발전소 가동이 가장 경제적이며 확실한 탄소 배출 감소 대책이다.

  • PDF

자연에너지와 건축조경계획

  • Jo, Gyun-Hyeong
    • Solar Energy
    • /
    • v.13 no.2_3
    • /
    • pp.22-29
    • /
    • 1993
  • Indoor thermal environment and energy consumption of buildings are preferentially affected by the microclimate around buildings. It is the first method to improve energy conservation effect of buildings and the ways to utilize natural energy for the comfor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icroclimate condition and the indoor thermal condition is made in minimum as far as possible. There are many factors to control and minimize the difference, but landscape element is the major one among the factors. In this respect, the report analyzes landscape elements and their function to control microclimate and presents basic data for the desirable landscape planning mehtods to improve energy conservation effect of buildings and to attain the comfortable residential environment.

  • PDF

Optimization of PRISM Model for Gridded Daily Precipitation in Ungaged Watershed over South Korea (미계측 유역의 일단위 강수량 추정을 위한 PRISM 최적화)

  • Kim, Yong-Tak;Urnachimeg, Sumiya;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83-83
    • /
    • 2020
  • 지속되고 있는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발생하는 기상현상들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따른 국지적 극한 사상에 대한 전망은 수자원 활용 계획을 수립하고 대응하는 데 있어 필수적인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기후, 수문, 지리, 생태 및 환경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신뢰할 수 있는 공간적 강수량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지만 지형의 약 70%가 산악 지형인 우리나라의 경우 기존의 일반적 공간보간 기법인 IDW 및 크리깅 방법은 고도가 높은 지역의 기상인자를 추정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프리즘(Precipitation-Elevation Regressions on Independent Slopes Model, PRISM) 기법은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격자형태의 기상인자를 생산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으로서 미계측 유역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일 단위 강수량 추정을 위하여 SCE-UA (Shuffled Complex Evolution-University of Arizona) 기법을 활용하여 최적화 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PRISM 기법의 국내 적용 시 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mparison of Differences on Microclimatic Factors and Human Thermal Sensation between in situ Measurement and Computer Modeling (실측과 컴퓨터 모델링을 통한 미기후 요소 및 인간 열환경지수의 차이 비교 분석)

  • Park, Sookuk;Kong, Hak-Yang;Kang, Hoo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7 no.1
    • /
    • pp.43-52
    • /
    • 2020
  • For investigating restriction in the use of computer modeling results without adjusting them with measured data,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microclimatic aspects and human thermal sensation between in situ measurement and computer modeling using ENVI-met in and around a small urban park of downtown Changwon in May, 2012. In the results, ENVI-met underestimated air temperatures and wind speeds than the measured ones and overestimated relative humidities. In the radiation analysis, ENVI-met overestimated solar radiation from the sky hemisphere and terrestrial radiation from the ground hemisphere and underestimated terrestrial radiation from the sky hemisphere. Also, the differences of mean radiant temperatures with the measured ones reached up to 19.6℃ which could create an 1.2 PMV difference. ENVI-met overestimated up to 2.3 PMV and 4℃ UTCI at 12:00. The difference was shown clearly in PMV than in UTCI. Therefore, when computer modeling is used in urban microclimate and human thermal sensation (comfort) studies the modeling results should be compared with measured data and adjusted adequately to adopt the results to urban and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Methods with Human Thermal Sensation (인간 열환경 지수(HumanThermal Sensation)를 이용한 조경계획 및 디자인 방법)

  • Park, Soo-Ku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0 no.1
    • /
    • pp.1-11
    • /
    • 2012
  • Human thermal sensation based on a human energy balance model was analyzed in the study areas, the Changwon and Nanaimo sites, on clear days during thesummer of 2009. The climatic input data were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wind speed and solar and terrestrial radiation. The most effective factors for human thermal sensation were direct beam solar radiation, building view factor and wind speed. Shaded locations had much lower thermal sensation, slightly warm, than sunny locations, very hot. Also, narrow streets in the Nanaimo site had higher thermal sensation than open spaces because of greater reflected solar radiation and terrestrial radiation from their surrounding buildings. Calm wind speed also produced much higher thermal sensation, which reduced sensible and latent heat loss from the human body. By adopting climatic factors into landscape architecture, the human thermal sensation analysis method promises to help create thermally comfortable outdoor areas. The method can also be used for urban heat island modification and climate chang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