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미그용접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Application of Plackett-Burman model in welding experiments : effects of welding parameters on bead shape in Cu-Ni PULSE MIG process (PLACKETT-BURMAN MODEL을 이용한 Cu-Ni합금의 PULSE MIG 용접 변수해석)

  • 문영훈;이기학;허성도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5 no.4
    • /
    • pp.47-53
    • /
    • 198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our test method in the light ofstatistical methods for data interpretation. Our trial to apply Plackett-Burman statistical model in multifactorial welding experiments shows that is saves much time and cost and extracts very accurate results. In this study, the parametric effects of bead shape on pulse MIG process in Cu-Ni alloy are investigated for verifying our trial.

  • PDF

Metal Transfer Characteristics of Aluminium under Pulsed Current Metal Inert Gas Welding (알루미늄의 펄스 전류 미그 용접)

  • 최재호;최병도;김용석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20 no.5
    • /
    • pp.127-133
    • /
    • 2002
  • In this study, metal transfer characteristics in pulsed current metal inert gas (MIG) welding of aluminum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metal transfer characteristics from direct current electrode negative MIG welding, the one drop per one pulse(ODOP) condition was predicted and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The results indicated that experimental pulse range for the ODOP condition is wider than that predicted from the DCEP MIG welding data. In addition, more stable metal trnasfer behavior was obtained at the higher end of the ODOP condition.

A Study on The Variation of Penetration According to The Shielding Gas in A1100 Aluminum Welding (A1100 알루미늄 용접에서 실드가스의 종류에 따른 용입부의 변화 연구)

  • Kim, Jin-Su;Kim, Bub-Hun;Kim, Gue-Tae;Park, Yo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nufacturing Process Engineers
    • /
    • v.12 no.2
    • /
    • pp.49-54
    • /
    • 2013
  • Recently welding of aluminum material is actively carried out to make lightweight in the fields of LNG vessels, aircraft, chemical plants, etc. To obtain high strength, hardness and elongation, elements such as manganese, zinc, silicon, etc should be added in aluminum alloy, which has been improved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like precipitation hardening, age hardening, loosening, corrosion resistance acid resistance. Ar gas is used as a shielding gas of MIG welding for aluminum, also $N_2$, $O_2$, $CO_2$, $H_2$ etc can be added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alloy. In this study, Ar + $O_2$, Ar, and He were used for welding, hardness, penetration status and changes in composition of penetrated par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is made it possible to know the status and changes of the process in the penetrated parts depending on used gas throughout this study.

GMAW of 6K21-T4 Aluminum Alloy for Tailor Welded Blank(TWB) (TWB 적용을 위한 6천계열 알루미늄 합금의 GMA용접)

  • Kim, Yong;Yang, Hyun-Seok;Park, Ki-Young;Seo, Jong-Dock;Choi, Won-Ho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50-5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차체 부품의 경량소재 대체에 따른 Panel Assembly Rear Seat Back 부품 제작에 최신 저입열 미그용접공정을 적용한 TWB(Tailor Welded Blank) 공정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최적 용접조건 도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용접 후 성형이 이뤄지는 제조공정의 특성 상 성형강도에 중점을 둔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해 각 와이어에 따른 용접부의 기계/금속학적 특성이 평가되었다. 대상 시편은 6천계열 열처리형 합금이며, 두께는 각각 1.6t, 1.4t로 이를 맞대기 용접 후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용접은 저입열 GMA용접 공법 중 하나인 CMT 용접법(Cold Metal Transfer)을 사용하였으며, 평가 대상 와이어로는 4043, 4047, 5183 및 5356이 사용되었다. 특성평가는 마크로 및 마이크로 조직, 경도, 인장강도, 기공 및 결함, 성형강도 등에 대해 이뤄졌으며, 희석된 와이어의 조성이 용접부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검토되었다. 실험 결과, 5천계열 와이어가 성형강도에 비교적 더 강인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성형강도는 용접조건 및 초기 갭에 대한 영향은 받았으나, 비드형상과 강도간의 연관성은 찾을 수 없었다. 이에 따라 TWB 적용을 위한 와이어로는 5356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Mechanical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with welding materials in robotic MIG welding of dissimilar Al alloys (이종 알루미늄 합금의 로봇 미그 용접 시 용접재료에 따른 기계적 및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

  • Kim, Seong Jong;Han, Min Su;Woo, Yong Bin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v.12 no.5
    • /
    • pp.245-252
    • /
    • 2013
  • In this study, mechanical and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with welding material in MIG welded with ROBOT for dissimilar Al alloys were investigated using various experiment methods. The MIG welding by ROBOT with ER5183 and ER5556 for the 5456-H116 and 6061-T6 Al alloy were carried out. The hardness of welding zone was lower than that of base metal. In electrochemical experiment, ER5183 welding material presented excellent characteristics. The yield strength and maximum tensile strength in welding with welding material of ER5183 presented lower value than those of ER5556. The elongation and time-to-fracture showed the opposite results.

Advanced Aluminum Welding Technologies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생산성 향상을 위한 신개념 알루미늄 용접 방법)

  • Cho, Yong-Joon;Lee, So-Young;Chang, In-Sung;Do, Sung-Sup
    • Proceedings of the KWS Conference
    • /
    • 2009.11a
    • /
    • pp.19-19
    • /
    • 2009
  • 최근, 유한한 에너지 자원의 한계와 지구 온난화 등으로 세계의 제조 산업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고 있으며, 특히, 자동차 산업은 화석연료를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는 점과 이 연료를 연소시킬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지구 온난화의 주된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에 주목하고 있다. 그 중에서 자동차의 생산기술 측면에서 볼 때, 가장 중요한 이슈는 차체 경량화다. 자동차 차체는 자동차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부품 중에서 약 40% 정도의 무게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차체 경량화는 연비향상과 이산화탄소 배출가스 감소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다양한 차체 경량화 방법 중에서 가장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이 경량소재 적용에 의한 경량화 방법이다. 현재,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과 같이 무게 절감 비율을 최대화 할 수 있는 소재들도 개발되어 일부 적용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차체 경량화 소재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소재는 알루미늄 합금이며, 이에 대한 차체 적용 비율이 점차로 높아지는 추세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합금이 차체에 적용되었을 때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알루미늄 합금을 적용한 차체 생산과정에서 유의해야 될 사항들과 이를 바탕으로 하는 생산성 극대화 방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기존의 알루미늄 저항 점 용접공법의 단점을 최소화하고 대량생산 체계에 적합하도록 개발된 새로운 개념의 저항 점 용접 시스템에 대해 그 성능과 양산성을 검증하였다. 구리 전극과 알루미늄 피용접물 사이에 프로세스 테이프를 삽입하여 용접하는 이 시스템은 열전도성이 큰 알루미늄 용접부에서 저전류의 조건에서도 효과적으로 균일한 발열현상이 발생하게 하였으며, 전극 팁 드레싱 없이 모든 용접점이 항상 동일한 조건에서 용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용접 조건 설정에 있어서도 용접전류가 통전되는 순간에 전극 가압력을 자유로이 변형시켜 용접부 크랙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알루미늄의 또 다른 대표적인 접합방법인 아크용접에 있어서는 용접 입열량을 조절하여 용접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아크용접 시스템에 대해 양산성과 적용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와이어 송급 방향을 자유자재로 바꿀 수 있는 이 시스템의 특성에 의해 스패터를 최소화하면서 용융금속이 효과적으로 모재에 금속이행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판재, 압출재, 및 다이캐스팅재 등 다양한 차체 소재에 대한 용접 가능성 및 미그-레이저 하이브리드 용접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차체 박판 용접에서도 최소의 열변형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Evaluation of Electrochem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in MIG Welding Parts of Dissimilar Al Alloys for Ship (선박용 이종 알루미늄 합금 미그 용접부의 기계적 및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

  • Woo, Yong-Bin;Kim, Seong-J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 /
    • v.42 no.1
    • /
    • pp.34-40
    • /
    • 2009
  • In the study, it was carried out dissimilar metal welding on materials for Al ship. The electrochemical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evaluated for specimen welded by ROBOT. The hardness of welding zone is lower than those of heat affected zone and base metal. At the result of tensile test, the specimen welded with ER5183 welding material presented excellent property compared with ER5556. The polarization trend for the base metal and welding metal showed the effects of concentration polarization due to oxygen reduction and activation polarization due to hydrogen generation. At the Tafel experiments result, the corrosion density in welded with ER5183 welding material presented the lowest value.

Effect of welding condition on microstructures of weld metal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Plasma-MIG hybrid welding for Al 5083 alloy (알루미늄 5083 합금의 플라즈마 미그 하이브리드 용접시 용접부 미세조직과 기계적 성질 변화에 미치는 용접조건의 영향)

  • Park, Sang-Hyeon;Lee, Hee-Keun;Kim, Jin-Young;Chung, Ha-Taek;Park, Young-Whan;Kang, Chung-Yun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33 no.1
    • /
    • pp.61-71
    • /
    • 2015
  • The effect of welding condition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y of Plasma-MIG Hybrid Weld between Al 5083 plates(thickness : 10mm) was investigated. 1 pass weld without any defects such as puckering, undercut, and lack of fusion was obtained by 150~200A of plasma current and 5~7mm of welding speed. Gas porosities and shrinkage porosities were existed in the weld near fusion line. As welding speed and plasma current were decreasing, the area fraction of porosity was increasing. The hardness of the weld is increasing as welding speed. On the basis of microstructural analysis, Mg segregated region near dendrite boundaries tends to increase with the welding speed. In the result of hardness test, Distribution of hardness in fusion zone showed little change with the plasma current. However, when the welding speed increased, hardness in weld metal markdly increased. It could be considered that effect of heat input to growth of the dendritic solidification structures. Based on tensile test, tensile properties of weld metal was predominated by area fraction of porosities. Consequently, tensile properties can be controlled by formation site and area fraction of porosity.